1. 쿤의 개념 이론 형성 쿤의 개념 이론은 과학교육에 대한 그 자신의 성찰에 뿌리 박고 있다. 쿤은 과학교육이 인문학과는 달리 고전보다는 현대적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렴적 사고를 엄격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4059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쿤의 개념 이론 형성 쿤의 개념 이론은 과학교육에 대한 그 자신의 성찰에 뿌리 박고 있다. 쿤은 과학교육이 인문학과는 달리 고전보다는 현대적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렴적 사고를 엄격히...
1. 쿤의 개념 이론 형성
쿤의 개념 이론은 과학교육에 대한 그 자신의 성찰에 뿌리 박고 있다. 쿤은 과학교육이 인문학과는 달리 고전보다는 현대적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렴적 사고를 엄격히 훈련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학생들은 추상적인 규칙이나 정의가 아니라 예제들과 구체적인 연습문제 풀이를 통해 과학적 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앞서 풀었던 예제들과의 유사성을 인식함으로써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규칙이 아니라 예제들을 통해 과학을 배운다는 관찰은, 정의가 아니라 사례들 간의 유사성을 인지함으로써 개념을 획득한다는 관점으로 발전해갔다.
2.가족유사성을 넘어서: 대조집합의 역할
쿤은 과학교육이 인문학과는 달리 고전보다는 현대적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렴적 사고를 엄격히 훈련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학생들은 추상적인 규칙이나 정의가 아니라 예제들과 구체적인 연습문제 풀이를 통해 과학적 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앞서 풀었던 예제들과의 유사성을 인식함으로써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규칙이 아니라 예제들을 통해 과학을 배운다는 관찰은, 정의가 아니라 사례들 간의 유사성을 인지함으로써 개념을 획득한다는 관점으로 발전해갔다.그러나 모든 다른 집합을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 대신 쿤은 대조집합(contrast set), 즉 동일한 상위 개념에 속하는 모든 하위 개념에 속하는 사례들 간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3. 오래된 텍스트와 공약불가능성
공약불가능성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역사가로서의 쿤의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해되지 않은 오래된 문헌들은 그것이 본래 가지고 있던 의미들을 재발견해냄으로써 이해될 수 있었던 것이다. 과거와 현재 이론의 차이를 쿤은 공약불가능성으로 명명했으며, 이는 일종의 국소적 번역불가능성에 다름 아니다. 즉, 두 이론의 어휘적 분류체계(lexical taxonomy)들이 서로 달라 번역이 되지 않는 것이다. 우리는 미지의 원시 부족을 탐험하는 인류학자와 같이, 이중언어자가 됨으로써 비로소 번역불가능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해되지 않은 오래된 문헌들은 그것이 본래 가지고 있던 의미들을 재발견해냄으로써 이해될 수 있었던 것이다. 과거와 현재 이론의 차이를 쿤은 공약불가능성으로 명명했으며, 이는 일종의 국소적 번역불가능성에 다름 아니다. 즉, 두 이론의 어휘적 분류체계(lexical taxonomy)들이 서로 달라 번역이 되지 않는 것이다. 우리는 미지의 원시 부족을 탐험하는 인류학자와 같이, 이중언어자가 됨으로써 비로소 번역불가능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4. 쿤의 통찰과 인지과학의 결합
이와 같은 쿤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어휘적 분류체계와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쿤의 설명이 아주 명료한 것은 아니다. 하나의 분류체계를 갖는다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공약불가능성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분류체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무중첩 원리의 지위는 무엇인지, 용어와 지시대상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 번역불가능성으로서의 공약불가능성이 함축하는 철학적 귀결은 무엇인지 등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 그런 점에서 안델센(Andersen), 바커(Barker), 첸(Chen)의 공동연구는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그들의 연구는 심리학자 바살루의 개념에 대한 프레임 이론을 활용하여 쿤의 통찰을 정교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쿤 노선의 연장선 상에서 그들의 연구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5. 공약불가능성의 철학적 문제들
공약불가능성이 무엇인지 밝힐 수 있다면, 이제 공약불가능성의 철학적 함축이 무엇인지 논할 차례이다. 흔히 공약불가능성은 비교불가능성과 의사소통불가능성을 함축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따라서 과학혁명 시기의 이론 변화를 비합리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만일 공약불가능성이 경쟁하는 언어공동체의 어휘사전(lexicon)들 간의 충돌이 야기하는 국소적 번역불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라면, 그것이 경쟁 이론의 지지자들 사이의 의사소통이나 이론간 합리적 비교가능성에 대해 어떤 함축을 갖는지 검토하는 일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