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원 심야교습시간을 22시로 제한하는 조례의 개정 이후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09년, 2014...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73363
2019
Korean
고등학생 ; 생활시간조사 ; 수면시간 ; 심야교습시간 ; 조례 ; high school students ; time use survey ; late-night study time ; sleep time ; ordinance
334
KCI등재
학술저널
219-250(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원 심야교습시간을 22시로 제한하는 조례의 개정 이후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09년, 2014...
본 연구는 학원 심야교습시간을 22시로 제한하는 조례의 개정 이후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09년,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조례 개정지역과 미개정지역의 22시부터 24시까지의 학원교습시간, 22시부터 24시까지의 수면시간, 22시부터 08시까지의 수면시간에 대해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례개정지역과 미개정지역 모두에서 2009년에 비해 2014년의 22시부터 24시까지의 학원교습시간이 감소하여 조례 개정지역에서 추가적인 교습시간감소가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시부터 24시까지의 수면시간의 경우 조례 개정지역과 조례 미개정지역 모두 2009년에 비해 2014년에 오히려 수면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시부터 08시까지의 수면시간의 경우 조례 미개정지역에 비해 조례 개정지역에서 수면시간 증가폭이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추가적으로 시간대별 학원교습시간 행위자비율과 수면시간 행위자비율을 살펴보고 이중차이분석 결과 조례 개정지역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이중차이분석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전반적인 학원 심야교습시간은 줄어들었으나 이것이 고등학생의 수면시간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고등학생의 아침기상시간 변화가 수면시간 증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dinance, which limits hagwon operating hours to 10 p.m., on the late-night study time at the hagwon itself and the sleep time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goal, we compared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dinance, which limits hagwon operating hours to 10 p.m., on the late-night study time at the hagwon itself and the sleep time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goal, we compared the regions where the revised ordinance applied and the other regions where it is not focusing on the study hours at the hagwon and sleeping hours from 10 to 12 p.m. and sleeping hours from 10 p.m. to 8 a.m. We employed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using the data harvested from the 2009 and 2014 Korea Time Us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time spent on studying at the hagwon was between 10 p.m. to 12 a.m. and decreased in 2014 in those regions where the revised ordinance has been introduced.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leep time between the regions with the revised ordinance and the other regions.
We also discussed why this ordinance has apparently been ineffective on the study time spent by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possible ways to increase their sleeping hou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은기수,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텔레비전 시청 시간의 성별 차이"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395-427, 2010
2 정은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Ⅷ: 데이터분석보고서:청소년 수면시간의 긍정적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3 정은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Ⅴ: 기초분석보고서 Ⅰ: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장근영, "한국 청소년의 생활시간 국제비교와 라이프스타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39-155, 2009
5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Ⅵ: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6 김지하, "학원교습시간 규제의 사교육 수요경감 효과 분석 -사교육비와 사교육 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465-487, 2009
7 김순남, "학원경영 정책 성과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김영철, "학원 휴일휴무제 및 학원비 상한제 도입 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9 김범수, "학원 교습시간 규제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통상학회 22 (22): 73-100, 2017
10 최경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기보호능력을 매개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125-147, 2012
1 은기수,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텔레비전 시청 시간의 성별 차이"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395-427, 2010
2 정은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Ⅷ: 데이터분석보고서:청소년 수면시간의 긍정적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3 정은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Ⅴ: 기초분석보고서 Ⅰ: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장근영, "한국 청소년의 생활시간 국제비교와 라이프스타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39-155, 2009
5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Ⅵ: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6 김지하, "학원교습시간 규제의 사교육 수요경감 효과 분석 -사교육비와 사교육 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465-487, 2009
7 김순남, "학원경영 정책 성과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김영철, "학원 휴일휴무제 및 학원비 상한제 도입 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9 김범수, "학원 교습시간 규제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통상학회 22 (22): 73-100, 2017
10 최경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기보호능력을 매개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125-147, 2012
11 김영선,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의 영향요인 예측연구: 제8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기반"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3337-3355, 2015
12 김기헌, "아동․청소년의 생활패턴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009
13 매일경제, "심야교습 단속 비웃듯…신학기 대치동 학원가는 ‘불야성’"
14 정유경, "심야교습 금지는 사교육 수요 경감효과를 가져왔는가?" 중앙대학교대학원 2015
15 전지원, "시간균형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잠: 다국적시간연구(MTUS) 자료를 활용한 생애주기별 수면시간 국제 비교 연구" 통계청 22 (22): 26-52, 2017
16 이정진,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신경학회 21 (21): 100-110, 2013
17 조성중, "수면시간과 수면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5 (5): 218-223, 2015
18 강시현, "남자 고등학생들의 아침-저녁형 수면 양상과 주간 졸음, 피로도와의 관련성" 19 (19): 89-96, 2012
19 국가청소년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밤 10시 이후 학원심야교습 반대’ 보도자료"
20 김경호, "고등학생의 수면시간(sleep dur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제5차년도 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57-84, 2017
21 한겨레, "경기도 학교들 ‘9시 등교’ 속앓이"
22 Patrick A. Puhani, "The treatment effect, the cross difference, and the interaction term in nonlinear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s" Elsevier BV 115 (115): 85-87, 2012
23 Michael Lechner, "The Estimation of Causal Effects by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sEstimation of Spatial Panels" Now Publishers 4 (4): 165-224, 2010
24 Pinar Karaca-Mandic, "Interaction Terms in Nonlinear Models" Wiley 47 (47): 255-274, 2012
25 Cain, N., "Electronic media use and sleep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review" 11 (11): 735-742, 2010
27 Choi, H., "Does hagwon curfew work? - Effect of a regulation over operating hours of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in Korea" Lund University 2013
28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
청소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한국과 영국 니트족 유입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비교연구
특성화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학생 및 학교요인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5-3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86 | 2.86 | 3.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3.84 | 3.58 | 4.967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