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보성용문석에 대한 전승 현황과 계보를 밝히고, 품질이 우수하여 중국 조공물로 왕실에 진상되었던 사실을 기반으로 장흥 임씨 가문으로 이어져 내려온 보성용문석의 제작기술 방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보성용문석에 대한 전승 현황과 계보를 밝히고, 품질이 우수하여 중국 조공물로 왕실에 진상되었던 사실을 기반으로 장흥 임씨 가문으로 이어져 내려온 보성용문석의 제작기술 방식...
이글은 보성용문석에 대한 전승 현황과 계보를 밝히고, 품질이 우수하여 중국 조공물로 왕실에 진상되었던 사실을 기반으로 장흥 임씨 가문으로 이어져 내려온 보성용문석의 제작기술 방식을 재조망하고자 한다. 보성용문석은 조선 후기 장흥 임씨 문중에서 왕실에 진상하게 되면서부터 17대손 임애경에게 최근까지 기술이 전승되었다. 이 기술은 은경밀직 방식으로 짠 백석에 문양을 놓는 기술로 전통 용수초지석의 제작 방식을 계승하고 있다. 자리감으로는 용수초보다 재배가 쉽고 생산량이 많은 왕골을 용수초와 유사한 질감으로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써 돗자리의 질을 향상하고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소재에 대한 개발뿐만 아니라 보성용문석은 백석짜기와 문석놓기 두 과정을 분업화하여 생산 능률을 배가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기존의 은경밀직 기술을 활용한 ‘세석’ 자리짜기 기술은 섬세한 문양을 수놓기에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날줄 한 줄에 씨줄 한 줄을 걸어 짜는 방식으로 궁궐 지의나 문석은 모두 이 방식으로 짜져 있다. 그리고 종전의 왕골쪼개기 방식을 더욱 세분화한 가공 기술방식을 개발하고 세석을 짠 다음 물을 뿌려 햇볕에 말리면서 굵은 홍두께로 밀어주는 후처리 가공을 더 하였다. 이는 노경소직으로 문석을 놓는 기술과 인초돗자리의 기계화생산에도 영향을 주었다.
전승된 현황을 살펴본 바 임씨 가문은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제지 사족으로 농업을 생업으로 하고 농한기에 그 지역의 상황에 적합한 소재와 방식을 개발하여 문석을 짜서 왕실에 진상하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7년 임애경의 작고로 전승 단절의 위기에 놓인 보성 용문석의 전승은 향후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전통건축물의 바닥과 의례용 기물에는 반드시 은경밀직 방식으로 짠 지의와 문석이 필수적이므로 기술 전승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기록문화유산"
2 "해동역사(海東歷史) 권26, 권35, 권36"
3 이종석, "한국의 전통공예" 열화당 1994
4 "한국고전종합DB"
5 정경연 ; 유금자,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4 (14): 23-36, 2011
6 국립문화재연구소, "짚ㆍ풀 工藝"
7 문화재청, "종묘 황화문석 및 황방주욕 교체사업보고서" 2014
8 장경희,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3) : 145-185, 2010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0 장경희,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1 "호남기록문화유산"
2 "해동역사(海東歷史) 권26, 권35, 권36"
3 이종석, "한국의 전통공예" 열화당 1994
4 "한국고전종합DB"
5 정경연 ; 유금자,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4 (14): 23-36, 2011
6 국립문화재연구소, "짚ㆍ풀 工藝"
7 문화재청, "종묘 황화문석 및 황방주욕 교체사업보고서" 2014
8 장경희,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3) : 145-185, 2010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0 장경희,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11 "전라남도 행복마을"
12 "전남타임스"
13 "장흥 임씨 역사-항렬표 세상의 모든 이야기"
14 "임원경제지(林園經濟地) 엄용지, 만학지"
15 白承正, "우리나라 莞草工藝品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디자인의 實用性을 中心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1985
16 鄭善和, "우리나라 花紋席에 關한 연구 : 寶城 龍紋席을 中心으로"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2
17 "완초장의 장인기술"
18 "속잡록(續雜錄) 4권"
19 "세종지리지(世宗地理志) 권151"
20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7집" 1993
21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 공예종목발굴 기능조사 연구보고서" 1999
22 "만기요람(萬機要覽) 재용편"
23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24 대한한의학회,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5 석진영, "궁궐 연향 공간의 지의(地衣)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9 (29): 79-88, 2020
2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27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28 "고려사(高麗史) 권29"
29 "고려도경(高麗圖經) 권28"
30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防寒 설비와 炊事 도구"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41-68, 2007
31 "續修增補 江都志 上卷"
32 조규춘, "民俗傳來工藝品 龍紋席 保護育成方案 = (A) study on a method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Yong- Mun-Seok" 朝鮮大學校 1982
33 보성군청, "寶城郡廳, 寶城那 椰土史"
평양랭면, 바게트, 보르쉬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음식 종목의 특징과 시사점
생업·생활과 괴리된 무형문화재 민요 종목의 현실상 -인천근해 갯가노래 뱃노래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