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현황과 방향 -대학 학부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direction of case management education for school soci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5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at the undergraduate level of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is aimed at setting a direction that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social welfare and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opened trackings at four-year colleges focusing on the Korea institute for school council members and we had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who taught in school social work course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last 3 years. In addition, we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direction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cial welfare course in regular university curriculum was about 71%,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was to open approximately 48% and were found to have a case management information on school social work curriculum covers approximately 80%. The difficultie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operating in university were the lack of time to teach the case management, the lack of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s to use during class,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uniqueness of school field, the variations of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whether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completion. the lack of textbooks and related materials and the lack of field experience of educators. And we have some suggestions for the role of the preferred university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content and methods and development measures, and the role of the institutes and associations for case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school social welfare case managemen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at the undergraduate level of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is aimed at setting a direction that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at the undergraduate level of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is aimed at setting a direction that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social welfare and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opened trackings at four-year colleges focusing on the Korea institute for school council members and we had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who taught in school social work course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last 3 years. In addition, we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direction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cial welfare course in regular university curriculum was about 71%,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was to open approximately 48% and were found to have a case management information on school social work curriculum covers approximately 80%. The difficultie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operating in university were the lack of time to teach the case management, the lack of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s to use during class,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uniqueness of school field, the variations of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whether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completion. the lack of textbooks and related materials and the lack of field experience of educators. And we have some suggestions for the role of the preferred university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content and methods and development measures, and the role of the institutes and associations for case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school social welfare case managemen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 수준에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례관리 교과목 개설 현황을 한국교육협의회 회원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최근 3년 동안 4년제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을 가르친 전임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정규교육과정 내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은 조사 대상 중 약 71%, 사례관리 교과목은 약 48%의 대학이 개설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교과목 내에서 사례관리 내용을 약 80%의 대학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사례관리를 가르칠 시간부족, 수업 시 활용할 구체적인 적용 사례 부족, 학교현장의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사례관리 교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도 편차, 관련 교재와 자료 부족 및 교육자의 현장경험 부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자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내용과 방법 및 발전방안, 사례관리 교육을 위한 학회와 협회의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방향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 수준에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 수준에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례관리 교과목 개설 현황을 한국교육협의회 회원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최근 3년 동안 4년제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을 가르친 전임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정규교육과정 내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은 조사 대상 중 약 71%, 사례관리 교과목은 약 48%의 대학이 개설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교과목 내에서 사례관리 내용을 약 80%의 대학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사례관리를 가르칠 시간부족, 수업 시 활용할 구체적인 적용 사례 부족, 학교현장의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사례관리 교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도 편차, 관련 교재와 자료 부족 및 교육자의 현장경험 부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자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내용과 방법 및 발전방안, 사례관리 교육을 위한 학회와 협회의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방향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둘, "한국의 "사례관리” 교과과정: 사회복지학의 맥락에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1 (11): 33-53, 2010

      2 전재일, "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3 조흥식,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4 주석진, "학교사회복지론" 양서원 2013

      5 정수경, "학교사례관리 준거틀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전주지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393-423, 2009

      6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부설 교육복지연구소, "학교교육과 복지" 양서원 2006

      7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6

      8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1

      9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 2014

      10 김혜래, "델파이 조사를 통한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방향 모색"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2 : 51-72, 2010

      1 정순둘, "한국의 "사례관리” 교과과정: 사회복지학의 맥락에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1 (11): 33-53, 2010

      2 전재일, "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3 조흥식,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4 주석진, "학교사회복지론" 양서원 2013

      5 정수경, "학교사례관리 준거틀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전주지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393-423, 2009

      6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부설 교육복지연구소, "학교교육과 복지" 양서원 2006

      7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6

      8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1

      9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 2014

      10 김혜래, "델파이 조사를 통한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방향 모색"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2 : 51-72, 2010

      11 이상균,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53-85, 2010

      12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육과정" 3 (3): 65-80, 2012

      13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과과정 내용구성: 델파이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9 : 88-108, 2012

      14 안정선,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사 직무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9 : 1-35, 2010

      15 Marfleet, F., "ational standards of practice for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Society of Australia 2013

      16 Barton, A., "Tracking outcomes in community-base care" 16 (16): 171-176, 2004

      17 Liu, W-I., "The development and descriptions of evidence-based cas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31 (31): 51-57, 2011

      18 Schein, C., "The assoication between specific nurse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and elder health" 53 (53): 597-602, 2005

      19 CMSA, "Standards of practice for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Society of America 2010

      20 Paula Allen-Meares,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s" University of Illinois 2009

      21 Allen-Meares, P.,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Pearson 2009

      22 Massat, C. R., "School social work : Practice, policy and reasearch" Lyceum books 2009

      23 Schulte, A., "Pediatric asthma case management : A review of evidence and and experimental study design" 19 (19): 304-310, 2004

      24 Marfleet, F., "National code of ethics for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Society of Australia 2013

      25 NASW,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1992

      26 NASW, "NASW School social work standards" 2012

      27 Dickerson, P. S., "Education for effective case management practice" 34 (34): 54-58, 2003

      28 Fletcher, I. L., "Case management in the nursing curriculum" 38 (38): 371-373, 1999

      29 Powell, S. K., "CMSA core curriculum for case management"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7

      30 Smith, A. J., "C-STARS School based interprofessional case management: An interagency program for at-risk students and their families. The Center for the Study and Teaching of At-Risk Students" Washington University 1992

      31 De Jong, T., "A kit on effective school case management" EdithCowan Australian Guidance and Counselling Association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