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적 외항상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기전승 필요성과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0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이 연구는 한국 해기사의 수급 동향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 해기사의 육성 필요성의 논리를 개발·제시하며, 우리 해기사의 SWOT 분석을 통하여 해 기전승과 자율운항선 시대에 대비하기 위하여 추진하여야 할 추진전략과 전략 과제 등 개선사항을 연구·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해기사 수급과 관련하여 직급별 역삼각형 구조 심화, 초급해 기사의 이직률 증가, 학령인구의 감소 문제와 더불어 향후 10년간 해기사의 공 급부족과 상급해기사의 육성 불가, 해상의 승선경험이 풍부한 상급 해기사의 육상 전직 부족 문제가 발생하므로 우리 해기사의 고용인원수를 일정 수준이상 유지하지 않으면 해사사회와 해사산업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해상과 육상의 해기사를 공급받을 수 없게 되어 해기단절이 일어나게 된다.
      둘째, 상위직급 비중이 높고 고령화되어 있는 해상 해기사의 인력구성을 조 정하여 신입 해기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장기승선을 통해 상위직급 해기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해기인력의 양성 및 공급, 이직 및 퇴직, 승진, 승선지원 등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에서 도출한 비전을 지향하면서 제시된 추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기전승의 필요성 인식 제고, 해기사 수급의 균형회복, 해기직업교육의 개선 및 선원직업의 매력화라는 추진전략과 그를 위한 세부과제를 실천해 나가 야 한다.
      번역하기

      선이 연구는 한국 해기사의 수급 동향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 해기사의 육성 필요성의 논리를 개발·제시하며, 우리 해기사의 SWOT 분석을 통하여 해 기전승과 자율운항선 시대에 대비하�...

      선이 연구는 한국 해기사의 수급 동향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 해기사의 육성 필요성의 논리를 개발·제시하며, 우리 해기사의 SWOT 분석을 통하여 해 기전승과 자율운항선 시대에 대비하기 위하여 추진하여야 할 추진전략과 전략 과제 등 개선사항을 연구·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해기사 수급과 관련하여 직급별 역삼각형 구조 심화, 초급해 기사의 이직률 증가, 학령인구의 감소 문제와 더불어 향후 10년간 해기사의 공 급부족과 상급해기사의 육성 불가, 해상의 승선경험이 풍부한 상급 해기사의 육상 전직 부족 문제가 발생하므로 우리 해기사의 고용인원수를 일정 수준이상 유지하지 않으면 해사사회와 해사산업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해상과 육상의 해기사를 공급받을 수 없게 되어 해기단절이 일어나게 된다.
      둘째, 상위직급 비중이 높고 고령화되어 있는 해상 해기사의 인력구성을 조 정하여 신입 해기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장기승선을 통해 상위직급 해기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해기인력의 양성 및 공급, 이직 및 퇴직, 승진, 승선지원 등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에서 도출한 비전을 지향하면서 제시된 추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기전승의 필요성 인식 제고, 해기사 수급의 균형회복, 해기직업교육의 개선 및 선원직업의 매력화라는 추진전략과 그를 위한 세부과제를 실천해 나가 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status quo of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ship officers and relevant issues, develop and propose the logic relating to the necessity of fostering Korean ship officers, and study and propose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and the preparation of the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era through the SWOT analysis with respect to Korean ship officer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unless the number of Korean ship offices is not maintained at a proper level,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would not be possible to attain due to the insufficient supply of certificated officers aboard as well as ashore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maritime community and industry, arising from the various problems regar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ship officers, such as deepening inverse triangular structure relating to senior and junior officers, increasing turnover rate of junior officers,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together with insufficient supply of ship officers for the next 10 years, inability in fostering senior officers and lack of supplying experienced senior officers to shore maritime sectors, etc.
      Secondly,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measures concerning training and supply of ship officers, turnover and retirement, promotion and support, etc. in order to adjust current inverse triangular structure of ship officers and aging senior officers so that new officers can continuously be supplied and the stable supply of experienced senior officers can be secured
      Thirdly, the proposed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relating thereto, such as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n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restoring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ship officers, improvement of maritime vocational training and fascinating seafaring jobs, should be practised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objectives while aiming the vision derived and set out by this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status quo of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ship officers and relevant issues, develop and propose the logic relating to the necessity of fostering Korean ship officers, and study and propose the strategic directions a...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status quo of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ship officers and relevant issues, develop and propose the logic relating to the necessity of fostering Korean ship officers, and study and propose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and the preparation of the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era through the SWOT analysis with respect to Korean ship officer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unless the number of Korean ship offices is not maintained at a proper level,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would not be possible to attain due to the insufficient supply of certificated officers aboard as well as ashore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maritime community and industry, arising from the various problems regar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ship officers, such as deepening inverse triangular structure relating to senior and junior officers, increasing turnover rate of junior officers,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together with insufficient supply of ship officers for the next 10 years, inability in fostering senior officers and lack of supplying experienced senior officers to shore maritime sectors, etc.
      Secondly,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measures concerning training and supply of ship officers, turnover and retirement, promotion and support, etc. in order to adjust current inverse triangular structure of ship officers and aging senior officers so that new officers can continuously be supplied and the stable supply of experienced senior officers can be secured
      Thirdly, the proposed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relating thereto, such as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n the succession of ship officers, restoring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ship officers, improvement of maritime vocational training and fascinating seafaring jobs, should be practised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objectives while aiming the vision derived and set out by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 론
      • Ⅱ. 국내 외항상선 선원 고용 동향과 문제점
      • Ⅲ. 외항상선분야 해기전승의 필요성 검토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 론
      • Ⅱ. 국내 외항상선 선원 고용 동향과 문제점
      • Ⅲ. 외항상선분야 해기전승의 필요성 검토
      • Ⅳ. 외항상선분야 해기전승을 위한 추진전략과 과제
      • Ⅵ.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희, "혼승선박내에서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갈등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 - 외항상선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31 (31): 23-54, 2019

      2 황진회, "해운· 조선· 철강산업의 연계발전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57 : 2006

      3 김성국, "해상운송안보를 위한 선원 확보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4 (24): 18-28, 2018

      4 김영모, "해기직업 경로상의 행동요인 영향 분석" 해양환경안전학회 15 (15): 369-374, 2009

      5 양종서, "한중일 조선업 경쟁력 분석 및 전남 중형조선산업 지속발전전략" 한국은행 목포본부 2016

      6 한국해기사협회, "차세대 해기전문인력 육성 필요성과 방안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

      7 전형진, "주요국의 연안해운정책 비교·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13 : 2002

      8 마영준, "일본해사산업에 관한 연구-산업클러스터 특화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9 장유락, "우수 해기인력을 통한 국가안보 강화방안" 한국해사법학회 30 (30): 35-74, 2018

      10 장유락, "우수 해기인력 확보를 위한 승선근무예비역 제도의 유지·발전방안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30 (30): 301-326, 2018

      1 이창희, "혼승선박내에서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갈등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 - 외항상선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31 (31): 23-54, 2019

      2 황진회, "해운· 조선· 철강산업의 연계발전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57 : 2006

      3 김성국, "해상운송안보를 위한 선원 확보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4 (24): 18-28, 2018

      4 김영모, "해기직업 경로상의 행동요인 영향 분석" 해양환경안전학회 15 (15): 369-374, 2009

      5 양종서, "한중일 조선업 경쟁력 분석 및 전남 중형조선산업 지속발전전략" 한국은행 목포본부 2016

      6 한국해기사협회, "차세대 해기전문인력 육성 필요성과 방안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

      7 전형진, "주요국의 연안해운정책 비교·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13 : 2002

      8 마영준, "일본해사산업에 관한 연구-산업클러스터 특화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9 장유락, "우수 해기인력을 통한 국가안보 강화방안" 한국해사법학회 30 (30): 35-74, 2018

      10 장유락, "우수 해기인력 확보를 위한 승선근무예비역 제도의 유지·발전방안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30 (30): 301-326, 2018

      11 신한원,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783-795, 2018

      12 전영우, "외항상선 선원고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31 (31): 35-76, 2019

      13 해양산업드론일자리창출협동조합, "승선근무예비역의 병역제도 개선 방안 연구" 2019

      14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선원의 역할과 가치" 동원문화 2014

      15 국토해양부, "선원양성 및 복지증진을 위한 선사역할 제고방안 마련 연구" 국토해양부 2011

      16 권창영, "선원법해설" 법문사 2018

      17 전영우, "선원고용제도의 개선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9 (29): 1-40, 2017

      18 김종관, "선원 고령화에 따른 해기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5 (25): 874-880, 2019

      19 황진회, "내항 여객선 선원의 경력개발 실태와 역량강화 방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5

      20 박용안, "그리스 해운산업의 강점 및 지원정책의 시사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 : 2007

      21 김종덕, "국가해양력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6

      22 황진회, "국가필수국제선박의 합리적 국적선원승선기준 및 종합발전방안" 국토해양부 2009

      23 Vinh V. Thai, "The flagship journal of international shipping and port research" 40 (40): 2013

      24 European Commission, "Study supporting a possible network of maritime training academies and institutes in the Mediterranean Sea basin" EASME / DG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6

      25 Zvonimir Lušić, "Seafarer Market – Challenges for the Future" 8 (8): 2019

      26 Carolyn A. E. Graham, "Maritime Security and Seafarers’Welfare : Towards Harmonization" 8 (8): 2009

      27 융합금융처, "KOSME 산업분석 리포트-조선산업-" 융합금융처 2019

      28 서양수, "IMO 2020년 황산화물 규제에 따른 용선계약상 고려사항" 한국해법학회 41 (41): 69-94, 2019

      29 Michael Barnett, "Barriers to Progress or Windows of Opportunity? A Study in Career Path Mapping in the Maritime Industries" 5 (5): 2006

      30 Manolis G. Kavussanos,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risk management and shipping derivatives : the case of greece" 34 (34): 2007

      31 European Commission DG Fisheries and Maritime Affairs, "An exhaustive analysis of employment trends in all sectors related to sea or using sea resources" ECOTEC Research & Consulting 2016

      32 Gelina Harlaftis, "A History of Greeck owned shipping – The making of an international trampfleet, 1830 to the present day" Routledge 1830

      33 안영중,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선원재교육의 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072-108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58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