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 당사자의 불출석 = NON-APPEARANCE OF A PERSON CONCERNED IN THE PROCEDURE OF A CIVIL ACTION DURING CHOSUN DYNASTY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7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a court trial was progressed for a civil case when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during Chosun Dynasty Era. The articles 148 & 150 of the current Civil Procedure Act of ROK specify that a non-appearance is considered as ‘Confession’ and ‘Testimony’ respectively. But the article 268 of the same Act considers a non-appearance as the ‘Cancellation of a Lawsuit’. This means not a default judgment(缺席判 決), but a judgment of the accused with the accusor(對席判決) and specifies the effect of a non-appearance of a person concerned.
      On the other hand,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id not appear for a civil suit during Chosun Dynasty Era, if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d away, it was judged that the person concerned lost the lawsu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egal system of Chosun Dynasty was similar to a Default Judgment System. A legal provision, so called,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of Chosun Dynasty was applied when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in a law book,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Since then, there were some discussions on a revision of the provision during the era of the prince, ‘Yeonsan’, but there has been no revision. After that, during the era of the King, ‘Myeongjong’, there were some arguments on whether the other person concerned should appear or not for 30 days or not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oes not appear for 21days. After many times of discus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other person concerned shall have to appear for 30days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for 21 days. After that, the provision was reflected in the “Dae-Jeon-Hu-Sok-Rok (大典後續錄)” and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used to be modified several times via the announcement of a Royal Order (受敎). After that,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has been arranged and incorporated into a law book, ‘Sok-Dae-Jeon(續大典)’ of late Chosun Dynasty.
      And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introduced into the law book was also applied fully to a civil case judgment paper, ‘Geol-Song-Ip-Ahn(決訟立案)’. There were some examples, such as, the ‘Geol-Song-Ip-Ahn’ of Gyeongju-bu in 1578 and that of Yeongil-hyeon in 1689. The accused of a judgment paper of Gyeongju-bu didn’t appear in a court for 23days and that of Yeongil-hyeon didn’t for 28days. Therefore, both defendants lost each lawsui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So, it can be seen that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that was ena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as applied fully for a civil lawsuit of a local area by using the contents of the ‘Geol-Song-Ip-Ahn’. The discussions on the non-appearance of a person concerned of a civil case during Chosun Dynasty are not simple descriptions on the facts of the past.
      Through that,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procedure of the enaction process of a legal provision during Chosun Dynasty and there existed some legal hermeneutics during Chosun Dynasty, too. It means that a statue law was applied to the practices of civil trials.
      번역하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a court trial was progressed for a civil case when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during Chosun Dynasty Era. The articles 148 & 150 of the current Civil Procedure Act of ROK specify that a non-appearance is co...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a court trial was progressed for a civil case when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during Chosun Dynasty Era. The articles 148 & 150 of the current Civil Procedure Act of ROK specify that a non-appearance is considered as ‘Confession’ and ‘Testimony’ respectively. But the article 268 of the same Act considers a non-appearance as the ‘Cancellation of a Lawsuit’. This means not a default judgment(缺席判 決), but a judgment of the accused with the accusor(對席判決) and specifies the effect of a non-appearance of a person concerned.
      On the other hand,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id not appear for a civil suit during Chosun Dynasty Era, if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d away, it was judged that the person concerned lost the lawsu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egal system of Chosun Dynasty was similar to a Default Judgment System. A legal provision, so called,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of Chosun Dynasty was applied when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in a law book,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Since then, there were some discussions on a revision of the provision during the era of the prince, ‘Yeonsan’, but there has been no revision. After that, during the era of the King, ‘Myeongjong’, there were some arguments on whether the other person concerned should appear or not for 30 days or not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oes not appear for 21days. After many times of discus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other person concerned shall have to appear for 30days in case that a person concerned didn’t appear for 21 days. After that, the provision was reflected in the “Dae-Jeon-Hu-Sok-Rok (大典後續錄)” and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used to be modified several times via the announcement of a Royal Order (受敎). After that,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has been arranged and incorporated into a law book, ‘Sok-Dae-Jeon(續大典)’ of late Chosun Dynasty.
      And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introduced into the law book was also applied fully to a civil case judgment paper, ‘Geol-Song-Ip-Ahn(決訟立案)’. There were some examples, such as, the ‘Geol-Song-Ip-Ahn’ of Gyeongju-bu in 1578 and that of Yeongil-hyeon in 1689. The accused of a judgment paper of Gyeongju-bu didn’t appear in a court for 23days and that of Yeongil-hyeon didn’t for 28days. Therefore, both defendants lost each lawsui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So, it can be seen that the provision, ‘Chin-Chak-Geol-Jeol-Beop’ (親着決折法)’ that was ena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as applied fully for a civil lawsuit of a local area by using the contents of the ‘Geol-Song-Ip-Ahn’. The discussions on the non-appearance of a person concerned of a civil case during Chosun Dynasty are not simple descriptions on the facts of the past.
      Through that,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procedure of the enaction process of a legal provision during Chosun Dynasty and there existed some legal hermeneutics during Chosun Dynasty, too. It means that a statue law was applied to the practices of civil t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민사소송에서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어떻게 재판을 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현행 민사소송법은 변론기일에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제148조․제150조에서 자백간주 및 진술간주를 규정하고 있으며, 제268조에서 소의 취하를 간주한다. 이는 결석판결이 아니라 대석판결을 하는 것이며, 당사자의 결석의 효과를 규정한 것이다.
      반면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는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일정한 기간이 도과하면 바로 패소판결을 내렸다. 그러므로 조선시대는 결석판결제도에 가까웠다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親 着決折法은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에 적용되는 법조문이었다. ≪經國大典≫에서 처음으로친착결절법이 제정되었다. 이후 해당 조문에 대한 연산군 대에 개정논의가 있었으나 개정하지는 않았다. 이후 명종 대에는 당사자 한쪽이 21일 불출석한 경우 다른 당사자가 30일을출석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두고 논쟁이 있었다. 여러 차례의 논의 끝에 일방 당사자의 불출석이 21일인 경우 상대방 당사자는 30일을 출석해야 하는 것으로 논의가 정리되었다. 이후 이 규정은 ≪大典後續錄≫에 반영되었으며, 친착결절법은 몇 차례 ≪受敎≫의 공포에 의해다시 수정되었다. 이후 친착결절법은 ≪續大典≫에 정리되어 편입되었다.
      그리고 법전에 도입된 친착결절법은 조선시대의 민사판결서인 決訟立案에서 충실히 적용되었다. 1578년 경주부 결송입안과 1689년 영일현 결송입안이 그 예이다. 경주부 입안의원고는 23일 동안 재판정에 불출석하였으며, 영일현 입안의 피고는 28일 동안 불출석하였다. 따라서 양자 모두 친착결절법에 의해 패소하였다. 결송입안의 내용을 통해 중앙 정부에서 제정된 친착결절법이 지방의 민사소송실무에서도 제대로 준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 당사자의 불출석에 관한 논의는 과거의 사실에 대한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이를 통해 조선조의 법조문 제정과정의 실태를 알 수 있으며, 조선조에도 법해석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제정법이 민사재판실무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민사소송에서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어떻게 재판을 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현행 민사소송법은 변론기일에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제148조․제150조에...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민사소송에서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어떻게 재판을 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현행 민사소송법은 변론기일에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제148조․제150조에서 자백간주 및 진술간주를 규정하고 있으며, 제268조에서 소의 취하를 간주한다. 이는 결석판결이 아니라 대석판결을 하는 것이며, 당사자의 결석의 효과를 규정한 것이다.
      반면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는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 일정한 기간이 도과하면 바로 패소판결을 내렸다. 그러므로 조선시대는 결석판결제도에 가까웠다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親 着決折法은 당사자가 불출석한 경우에 적용되는 법조문이었다. ≪經國大典≫에서 처음으로친착결절법이 제정되었다. 이후 해당 조문에 대한 연산군 대에 개정논의가 있었으나 개정하지는 않았다. 이후 명종 대에는 당사자 한쪽이 21일 불출석한 경우 다른 당사자가 30일을출석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두고 논쟁이 있었다. 여러 차례의 논의 끝에 일방 당사자의 불출석이 21일인 경우 상대방 당사자는 30일을 출석해야 하는 것으로 논의가 정리되었다. 이후 이 규정은 ≪大典後續錄≫에 반영되었으며, 친착결절법은 몇 차례 ≪受敎≫의 공포에 의해다시 수정되었다. 이후 친착결절법은 ≪續大典≫에 정리되어 편입되었다.
      그리고 법전에 도입된 친착결절법은 조선시대의 민사판결서인 決訟立案에서 충실히 적용되었다. 1578년 경주부 결송입안과 1689년 영일현 결송입안이 그 예이다. 경주부 입안의원고는 23일 동안 재판정에 불출석하였으며, 영일현 입안의 피고는 28일 동안 불출석하였다. 따라서 양자 모두 친착결절법에 의해 패소하였다. 결송입안의 내용을 통해 중앙 정부에서 제정된 친착결절법이 지방의 민사소송실무에서도 제대로 준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 당사자의 불출석에 관한 논의는 과거의 사실에 대한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이를 통해 조선조의 법조문 제정과정의 실태를 알 수 있으며, 조선조에도 법해석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제정법이 민사재판실무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

      2 박병호, "한국법제사고" 법문사 1974

      3 張晋藩,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4 한상권,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忌避와 回避" 한국고문서학회 49 : 1-26, 2016

      5 심희기, "조선시대 詞訟에서 제기되는 문서의 眞正性 문제들" 한국고문서학회 46 : 91-115, 2015

      6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7

      7 박병호, "결송입안" 한국사법행정학회 79 : 1979

      8 손경찬, "개화기 민사재판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5

      9 本間靖規, "韓國과 日本의 民事節次法의 變遷과 課題" 문우사 2017

      10 "萬曆六年 興海郡 立案(동의어 1578년 경주부 노비결송입안, 1578년 李浚 형제 決訟立案)"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

      2 박병호, "한국법제사고" 법문사 1974

      3 張晋藩,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4 한상권,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忌避와 回避" 한국고문서학회 49 : 1-26, 2016

      5 심희기, "조선시대 詞訟에서 제기되는 문서의 眞正性 문제들" 한국고문서학회 46 : 91-115, 2015

      6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7

      7 박병호, "결송입안" 한국사법행정학회 79 : 1979

      8 손경찬, "개화기 민사재판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5

      9 本間靖規, "韓國과 日本의 民事節次法의 變遷과 課題" 문우사 2017

      10 "萬曆六年 興海郡 立案(동의어 1578년 경주부 노비결송입안, 1578년 李浚 형제 決訟立案)"

      11 "續大典"

      12 "經國大典"

      13 "燕山君日記"

      14 高橋宏志, "民事訴訟法槪論" 有斐閣 2016

      15 "明宗實錄"

      16 淺古 弘, "日本法制史" 靑林書院 2010

      17 河原直三郞, "改正 民事訴訟法槪論" 巖松堂書店 1928

      18 "康熙二十八年正月日 迎日縣立案: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19 "太祖實錄"

      20 "大典後續錄"

      21 "各司受敎, 受敎輯錄"

      22 張晋藩, "中國法制通史 第七券" 法律出版社 1999

      23 "世祖實錄"

      24 한상권, "16세기 여주이씨 노비소송과 議送" 한국고문서학회 48 : 49-101, 2016

      25 김경숙, "1578년 慶州 驪州李氏 李浚家의 奴婢決訟立案" 한국고문서학회 23 : 243-262, 2003

      26 정긍식, "1517년 安東府 決訟立案 분석" 한국법사학회 (35) : 5-4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28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