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광고를 타게 마케팅(Target Marketing)의 관점에서 검색엔진(Search Engine)사이트의 키워드/디렉토리중심 타게팅과 무료 이메일 사이트의 인적특성중심 타게팅 방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9958
199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9-178(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 광고를 타게 마케팅(Target Marketing)의 관점에서 검색엔진(Search Engine)사이트의 키워드/디렉토리중심 타게팅과 무료 이메일 사이트의 인적특성중심 타게팅 방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인터넷 광고를 타게 마케팅(Target Marketing)의 관점에서 검색엔진(Search Engine)사이트의 키워드/디렉토리중심 타게팅과 무료 이메일 사이트의 인적특성중심 타게팅 방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인터넷 광고를 집행함에 있어 사이트 타게팅 방식에 따라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인터넷 광고효과 분석을 위해 인지효과는 노출(Impression)수로, 접속효과는 CTR(Click Through Rate)로 측정하였으며, 인지효과의 비용효율은 CPI(Cost Per Impression)로, 접속효과의 비용효율은 CPC(Cost Per Clic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키워드/디렉토리중심 타게팅과 인적특성중심의 타게팅 방식을 비교한 결과, 접속효과와 접속효과의 비용효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키워드/디렉토리중심 타게팅이 인지효과와 인지효과의 비용효율이 더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사용자들에게 노출된 배너광고를 클릭으로 연결시킨 비율인 접속효과와 1회의 클릭에 소요된 비용인 접속효과의 비용효율 측면에서는 인적특성중심의 타게팅 방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효과적이었다.
베이지안 MDS 모형을 이용한 시장구조분석과 소비자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다양성 추구 성향과 성향을 고려한 상표선택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