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오픈프라이스제도 실시가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유통업체 이윤과 소비자잉여 및 사회적 후생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9956
199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7-141(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오픈프라이스제도 실시가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유통업체 이윤과 소비자잉여 및 사회적 후생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
이 연구는 오픈프라이스제도 실시가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유통업체 이윤과 소비자잉여 및 사회적 후생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동일 제품을 취급하고 있으나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두 개의 유통업체가 있는 시장을 상정하여 권장소비자가격제도와 오픈프라이스제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권장소비자가격하에서 유통업체들이 할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략적 상황의 경우, 권장소비자가격이 너무 낮게 책정되지 않으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통업체가 할인을 실시하기 때문에 권장소비자가격제도는 별도 감시체계가 수반되지 않는 한 유지되기 힘들다. 시장에서 한 유통업체만이 가격을 할인하면 할인하는(하지 않는) 유통업체의 이윤이 증가(감소)하지만, 두 유통업체가 할인한다면 두 유통업체 모두의 이윤이 감소하는 죄수의 딜레머(prisoner`s dilemma) 상황에 빠진다. 가격 할인이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픈프라이스제도의 실시에 따른 효과는 시장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소비자가 제품에 부여하는 가치가 할인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두 유통업체가 모두 할인하는 상황에서 오픈프라이스 제도가 실시되면 시장에는 아무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한 개의 유통업체만이 할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픈프라이스 제도가 실시되면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지불하는 가격 및 유통업체의 이윤이 감소하고 사회적 후생은 증가한다. 둘째, 소비자가 제품에 부여하는 가치가 할인율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경우 두 유통업체가 모두 할인하는 상황에서 오픈프라이스제도가 실시되면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지불하는 가격 및 유통업체의 이윤이 증가하고 사회적 후생은 변하지 않는다. 한편 한 개의 유통업체만이 할인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픈프라이스제도가 실시되면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지불하는 가격 및 사회적 후생이 증가한다. 또한 할인을 실시하지 않던 유통업체의 이윤은 증가하며 할인을 실시하던 유통업체의 이윤변화는 불확실하다.
베이지안 MDS 모형을 이용한 시장구조분석과 소비자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다양성 추구 성향과 성향을 고려한 상표선택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