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지용 번역 연구(1) :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의 특징 - 정지용의 타고르(R. Tagore)와 블레이크(W. Blake) 시 번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lation of Jeong Ji-Yong (1) : Special References of Jeong Ji-Yong’s Early translated poems -Mainly R. Tagore and W. Blake’s poems translated by Jeong Ji-Y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5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Jeong Ji-yong's translation in his literature in three major ways. First, I will show the influence of R. tagore and W. Black on Jeong Ji-Yong's poetry as considering special references of his early translated poems. Second, I deal with the stories of Greek mythology, translated by Jeong Ji-Yong when he was in high school(1923). These myths were undergoing poetic transformation and becoming his poems. In this process, I will look at how ancient mythical images are used as poetic motifs and analyze Jeong Ji-yong's interests in the myths. Third,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 Ji-yong's translation experience and Catholicism.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At present Jeong Ji Yong’s poems are about 175, excluding the poems written by Japanese. Translated poems are about 50, therefore these poems must be regarded importantly.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Jeong Ji-Yong’s translation is still sufficiently studied in his literature research. However, if giving significant meaning to Jeong Ji-yong's translation, we are able to adva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ture. In this study, I divide Jung Ji-yong's translation activities into three periods, the earliest period included the translation work of R. Tagore and W. Blake. Before Jeong Ji-yong published his poems in Hakjo(學潮) in 1926, he translated and published nine of Tagore's poems which were selected and reconstructed while he was in High School Whimoon. After entering Doshisha University's, department of English Literature, he not only wrote his thesis with William Blake, but also translated and published several poems of Blake's works. These two poems showed romanticity and a mystical divinity in comm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also secured through the words of Yeats, who wrote the preface to GITANJALI. In Chapter 2, I analyze the references of Tagore and Blake and the reasons why Jeong Ji-yong selected these poets. In Chapter 3, I look for Jeong Ji-Yong's intention in the poem translation. For Jeong Ji-yong, translation was to go beyond translating meaning at the level of the literal translation, and to create a work that was aesthetically complete in itself. We can find not only Jeong Ji-yong's subjective yet bold appropriation of poetic images but also the way he changes the poetic atmosphere with familiar images and words. This paper shows the content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ed text. As a result, empirically revealed the impact of translation revealed in Jeong Ji-yong's work.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Jeong Ji-yong's translation in his literature in three major ways. First, I will show the influence of R. tagore and W. Black on Jeong Ji-Yong's poetry as considering special references of his early translated p...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Jeong Ji-yong's translation in his literature in three major ways. First, I will show the influence of R. tagore and W. Black on Jeong Ji-Yong's poetry as considering special references of his early translated poems. Second, I deal with the stories of Greek mythology, translated by Jeong Ji-Yong when he was in high school(1923). These myths were undergoing poetic transformation and becoming his poems. In this process, I will look at how ancient mythical images are used as poetic motifs and analyze Jeong Ji-yong's interests in the myths. Third,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 Ji-yong's translation experience and Catholicism.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At present Jeong Ji Yong’s poems are about 175, excluding the poems written by Japanese. Translated poems are about 50, therefore these poems must be regarded importantly.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Jeong Ji-Yong’s translation is still sufficiently studied in his literature research. However, if giving significant meaning to Jeong Ji-yong's translation, we are able to adva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ture. In this study, I divide Jung Ji-yong's translation activities into three periods, the earliest period included the translation work of R. Tagore and W. Blake. Before Jeong Ji-yong published his poems in Hakjo(學潮) in 1926, he translated and published nine of Tagore's poems which were selected and reconstructed while he was in High School Whimoon. After entering Doshisha University's, department of English Literature, he not only wrote his thesis with William Blake, but also translated and published several poems of Blake's works. These two poems showed romanticity and a mystical divinity in comm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also secured through the words of Yeats, who wrote the preface to GITANJALI. In Chapter 2, I analyze the references of Tagore and Blake and the reasons why Jeong Ji-yong selected these poets. In Chapter 3, I look for Jeong Ji-Yong's intention in the poem translation. For Jeong Ji-yong, translation was to go beyond translating meaning at the level of the literal translation, and to create a work that was aesthetically complete in itself. We can find not only Jeong Ji-yong's subjective yet bold appropriation of poetic images but also the way he changes the poetic atmosphere with familiar images and words. This paper shows the content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ed text. As a result, empirically revealed the impact of translation revealed in Jeong Ji-yong's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지용 번역이 그의 문학세계에서 지니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려는 목적 하에 진행되었다. 첫째는 1923년부터 시작되는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이 지니는 특징을 타고르와 블레이크를 중심으로 살피고, 이 두 시인이 정지용 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둘째는 정지용이 휘문고보 시절(1923년) 번역하여 발표하였던 그리스 신화 이야기가 시적 변용을 거치게 된 내용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고대의 신화적 이미지가 모티프로 차용되는 방식과 정지용의 신화에 대한 관심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는 정지용의 번역 경험과 가톨리시즘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본고는 그 첫 번째 연구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정지용의 작품이 일본어 창작시를 제외하고는 약 175편인데, 번역시가 50여 편에 이르는 것으로 보아, 결코 번역시의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지용 문학 연구에서 번역은 충분히 연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정지용의 번역에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한다면, 기존의 정지용 문학이 시작되는 시점이 더 앞당겨질 가능성이 생겨난다. 본고에서는 정지용의 번역 활동을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보았고, 그중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에는 타고르와 블레이크 시 번역 활동이 속한다. 정지용이 1926년 학조(學潮)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하기 3년 전, 휘문고보 재학 시절 타고르의 시 9편을 선별 및 재구성한 것을 번역하여 실었다. 이후 도시샤 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하고 나서는 윌리엄 블레이크로 학위 논문을 썼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크의 여러 작품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이 두 시인의 공통점은 낭만주의적 경향과 신비주의적 신성성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기탄잘리 서문을 쓴 예이츠의 말을 통해 양자 사이의 관련성도 확보된다. 이를 중심으로 시인 별 특징과 정지용이 이 두 시인을 선별한 이유를 2장에서 분석한다. 3장에서는 실제적인 시 번역에서 나타난 정지용의 의도를 파악한다. 정지용에게 번역은 직역 수준의 의미 변환에서 더 나아가 그 자체로 하나의 미학적 작품을 완성하는 일이었다. 또한 주체적이면서도 과감하게 이미지를 전유하고 익숙한 이미지와 소재들로 시적 분위기를 바꿔놓는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원본 텍스트와 번역 텍스트의 비교‧대조를 통하여 이러한 내용들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정지용 작품에서 드러난 번역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정지용 번역이 그의 문학세계에서 지니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려는 목적 하에 진행되었다. 첫째는 1923년부터 시작되는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이 지니는 특징을 타...

      이 연구는 정지용 번역이 그의 문학세계에서 지니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려는 목적 하에 진행되었다. 첫째는 1923년부터 시작되는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이 지니는 특징을 타고르와 블레이크를 중심으로 살피고, 이 두 시인이 정지용 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둘째는 정지용이 휘문고보 시절(1923년) 번역하여 발표하였던 그리스 신화 이야기가 시적 변용을 거치게 된 내용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고대의 신화적 이미지가 모티프로 차용되는 방식과 정지용의 신화에 대한 관심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는 정지용의 번역 경험과 가톨리시즘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본고는 그 첫 번째 연구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정지용의 작품이 일본어 창작시를 제외하고는 약 175편인데, 번역시가 50여 편에 이르는 것으로 보아, 결코 번역시의 비중이 작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지용 문학 연구에서 번역은 충분히 연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정지용의 번역에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한다면, 기존의 정지용 문학이 시작되는 시점이 더 앞당겨질 가능성이 생겨난다. 본고에서는 정지용의 번역 활동을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보았고, 그중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에는 타고르와 블레이크 시 번역 활동이 속한다. 정지용이 1926년 학조(學潮)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하기 3년 전, 휘문고보 재학 시절 타고르의 시 9편을 선별 및 재구성한 것을 번역하여 실었다. 이후 도시샤 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하고 나서는 윌리엄 블레이크로 학위 논문을 썼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크의 여러 작품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이 두 시인의 공통점은 낭만주의적 경향과 신비주의적 신성성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기탄잘리 서문을 쓴 예이츠의 말을 통해 양자 사이의 관련성도 확보된다. 이를 중심으로 시인 별 특징과 정지용이 이 두 시인을 선별한 이유를 2장에서 분석한다. 3장에서는 실제적인 시 번역에서 나타난 정지용의 의도를 파악한다. 정지용에게 번역은 직역 수준의 의미 변환에서 더 나아가 그 자체로 하나의 미학적 작품을 완성하는 일이었다. 또한 주체적이면서도 과감하게 이미지를 전유하고 익숙한 이미지와 소재들로 시적 분위기를 바꿔놓는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원본 텍스트와 번역 텍스트의 비교‧대조를 통하여 이러한 내용들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정지용 작품에서 드러난 번역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윤회, "한국의 현대시와 시론" 소명출판 2007

      2 김효중, "한국의 문학번역이론" 한국비교문학회 15 : 1990

      3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 학연사 1986

      4 김윤식, "한국 新文學에 있어서의 타골의 影響에 대하여" 진단학회 32 : 1969

      5 로이알록꾸마르, "타골의 문학사상, 그 한국적 수용" 한국문학연구소 (17) : 57-76, 1995

      6 홍은택, "타고르 시의 한국어 번역의 문제 - 「동방의 등불」, 「쫓긴 이의 노래」, 「기탄잘리 35」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62) : 265-293, 2014

      7 정지용, "지용문학독본" 박문출판사 1948

      8 정지용, "정지용전집1 시" 서정시학 2015

      9 김효중, "정지용의 휘트먼 시 번역에 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21 : 1992

      10 최동호,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9) : 11-48, 2011

      1 허윤회, "한국의 현대시와 시론" 소명출판 2007

      2 김효중, "한국의 문학번역이론" 한국비교문학회 15 : 1990

      3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 학연사 1986

      4 김윤식, "한국 新文學에 있어서의 타골의 影響에 대하여" 진단학회 32 : 1969

      5 로이알록꾸마르, "타골의 문학사상, 그 한국적 수용" 한국문학연구소 (17) : 57-76, 1995

      6 홍은택, "타고르 시의 한국어 번역의 문제 - 「동방의 등불」, 「쫓긴 이의 노래」, 「기탄잘리 35」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62) : 265-293, 2014

      7 정지용, "지용문학독본" 박문출판사 1948

      8 정지용, "정지용전집1 시" 서정시학 2015

      9 김효중, "정지용의 휘트먼 시 번역에 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21 : 1992

      10 최동호,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9) : 11-48, 2011

      11 정정덕, "정지용의 졸업논문 번역" 한국언어문학학회 13 : 1995

      12 이근화, "정지용의 영문시 번역과 시 창작의 상관성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4 : 147-170, 2013

      13 김예리, "정지용의 시적 언어의 특성과 꿈의 미메시스" 한국현대문학회 (36) : 315-345, 2012

      14 최호빈, "정지용의 번역시" 서정시학 2015

      15 김구슬, "정지용의 논문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에 있어서의 상상력?과 원전비평"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7) : 37-54, 2002

      16 이선우, "정지용과 윌리엄 블레이크의 유기체론 연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2) : 131-157, 2010

      17 김효중, "정지용 시의 영역에 대한 고찰" 한국번역학회 3 : 2002

      18 이석우, "정지용 시의 연구 :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0

      19 전세진, "정지용 시에 나타난 육화적 이미지 연구" 서울대학교 2017

      20 김언정, "윌리엄 블레이크의 상징주의 연구-상징을 통한 상상력의 구상화" 조선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21 : 2011

      21 정영효,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한국문학언어학회 (52) : 287-313, 2010

      22 김우조, "영역 본 『기딴잘리』에 나타난 인도낭만주의의 특성 -R. 타고르 시의 발전단계를 중심으로-" 인도연구소 18 (18): 19-48, 2013

      23 Aristotle, "시학" 문예출판사 1991

      24 박용철, "시문학에 대하야"

      25 정지용, "산문" 동지사 1949

      26 Blake, William, "블레이크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27 Blake, William, "블레이크" 혜원출판사 1987

      28 김문주,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3) : 337-361, 2011

      29 Benjamin, Walter, "발터 벤야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83

      30 Bhabha, Homi,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31 김기림, "모더니즘 의 역사적 위치" 1939

      32 현태리, "만해축전-현대시의 반성과 만해문학의 국제적 인식" 만해사상실천선양회 1999

      33 최라영,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3) : 335-362, 2012

      34 R.타고르, "기탄잘리" 열린책들 2013

      35 김억, "기탄잘리" 이문관 1923

      36 타고르, "기탄잘리" 열린책들 2013

      37 노아, "기탄자리" 6 : 1922

      38 오천석, "기탄자리" (7) : 1920

      39 하재연, "근대시의 모험과 움직이는 조선어" 소명출판 2012

      40 김병철, "韓國近代飜譯文學史硏究" 을유문화사 1975

      41 김용직, "韓國現代詩史硏究" 일지사 1974

      42 김용직, "韓國 現代詩에 미친 Rabindranath Tagore의 影響" 아세아문제연구소 14 (14): 1971

      43 김우탁, "英文學史1 英國詩史" 乙酉文化史 1986

      44 정지용, "[단행본] 정지용 전집" 민음사 1988

      45 Bassnett, Susan, "Translation Studies" Routledge 1980

      46 de Man, Paul, "The Resistance to Theor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6

      47 Blake, William, "The Complete Poetry and Prose of William Blake" Harold bloom 1988

      48 Blake, William, "Collected Poems" Routledge 1905

      49 김기림, "1933년 시단의 회고"

      50 장정희, "1920년대 타고르 시의 수용과 小波 方定煥의 위치" 인문과학연구소 (63) : 1-2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