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택트 시대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의 관계 : 골프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0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원격강의를 수강한 대학생들이 지각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언택트 시대의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수요에 적합한 비대면 강의 시행을 위한 실증적인 논의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6월 수도권 및 경기도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골프 를 전공하고 온라인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289부를 회수하 여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는 첫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은 학습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몰입은 학습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골프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 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및 감성적 실재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원격강의를 수강한 대학생들이 지각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언택트 시대의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수...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원격강의를 수강한 대학생들이 지각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언택트 시대의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수요에 적합한 비대면 강의 시행을 위한 실증적인 논의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6월 수도권 및 경기도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골프 를 전공하고 온라인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289부를 회수하 여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는 첫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은 학습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몰입은 학습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골프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 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및 감성적 실재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lectures suitable for the needs of students in the untact er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Method] To this end, in June 2021,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ho majored in golf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yeonggi-do and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lectures, and 289 copies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with SPSS 25.0. [Result] The derived results are first,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presence in learn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immersion. Second,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presence in learn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Third,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learning immer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of gol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earners'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lectures suitable for the needs of students in the untact er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

      [Purpos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lectures suitable for the needs of students in the untact er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Method] To this end, in June 2021,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ho majored in golf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yeonggi-do and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lectures, and 289 copies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with SPSS 25.0. [Result] The derived results are first,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presence in learn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immersion. Second,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presence in learn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Third, golf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learning immer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of gol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earners'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가설
      • 초록
      • Abstract
      •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가설
      • 연구방법
      • 1. 연구대상의 표집
      • 2. 조사도구
      • 3. 설문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 4. 자료 분석
      • 결과
      • 1.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2.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 3. 골프전공 학생들의 학습몰입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 논의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현진,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1 (21): 185-200, 2020

      2 이수경,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직과목 수업에서의 사전학습참여, 과제가치, 학습실재감, 수업참여, 학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27-1253, 2020

      3 매일경제, "코로나가 바꾼 일상: 어온강에서 늘온강으로"

      4 손나래,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체육 비대면 실기수업 현황 분석" 2020 (2020): 16-16, 2020

      5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6 임지은 ; 이민혜,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61-485, 2020

      7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8 김아영 ; 탁하얀 ; 이채희,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9 김유진 ; 박주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3 (13): 143-170, 2012

      10 박효성, "비대면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 전현진,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1 (21): 185-200, 2020

      2 이수경,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직과목 수업에서의 사전학습참여, 과제가치, 학습실재감, 수업참여, 학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27-1253, 2020

      3 매일경제, "코로나가 바꾼 일상: 어온강에서 늘온강으로"

      4 손나래,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체육 비대면 실기수업 현황 분석" 2020 (2020): 16-16, 2020

      5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6 임지은 ; 이민혜,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61-485, 2020

      7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8 김아영 ; 탁하얀 ; 이채희,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9 김유진 ; 박주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3 (13): 143-170, 2012

      10 박효성, "비대면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1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2 이해영 ; 하지혜 ; 정혜선,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187-210, 2018

      13 전정아 ; 이정민 ; 배윤주,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수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규명"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11, 2019

      14 강대식 ; 김정겸 ; 정회인,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133-152, 2011

      15 김영민 ; 박기훈, "e-Learning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99-115, 2018

      16 Yu, F. Y., "Learning preferences towards computerised competitive modes" 18 : 341-350, 2002

      17 Kang, M. H.,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s" AACE 2008

      18 Wang, M.,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2006

      19 이영희 ; 박윤정 ; 윤정현,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1-234, 2020

      20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골프학회 -> 골프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 Journal of Golf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