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허영헌법학의 계보와 발전적 계승 = Genealogy(Lineage) and Progressive Succession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허영 헌법학의 등장은 국내 헌법학계의 새로운 바람이었고, 그 바람은 일순(一瞬)이 아닌 명맥있는 흐름이 되어 현재에도 헌법학 내에서 존속·발전되고 있다. 이 글은 ‘공법학 원로와의 대...

      허영 헌법학의 등장은 국내 헌법학계의 새로운 바람이었고, 그 바람은 일순(一瞬)이 아닌 명맥있는 흐름이 되어 현재에도 헌법학 내에서 존속·발전되고 있다. 이 글은 ‘공법학 원로와의 대화’ 중 헌법학교수로서의 허영 교수의 일생을 조감하는 자리에서 그 하나의 내용으로 “새로웠던 그 학문적 바람”이었던 허영 헌법학의 계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이론은 어떻게 발전적으로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것이다. 때문에 이 글에서의 계보분류의 기준과 계승내용에 대한 판단은 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로 인해 본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생략되거나 약술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이에 대한 걱정은 여전히 남아 있다. 허영 헌법학의 계보와 계승에 관한 고찰의 시점(始點)은 당연히 허영 헌법학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독일이론의 수입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 연구방법까지 도입하여 이론생산적인 연구자로 평가받는 허영 헌법학의 중심적인 내용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나서 허영 헌법학의 계보를 고찰함에 있어서는 허영 헌법학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지도를 받았던 학문의 주체를 중심으로 제1세대와 제2세대, 그리고 법조인군과 그 외 연구자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허영 헌법학의 발전적 계승에 관한 고찰은 허영 헌법학의 계승으로서의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하되 각 연구자들의 독자적인 방향성과 색깔을 지니고 각자의 연구 및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후학들의 학문적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후학들의 자성적(自省的)인 고찰은 허영 헌법학의 계승이 발전적인 계승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ill be prepared for a session of “A Dialogue with the Veteran of Public Law Academic -Professor, Young Huh-”. The appearance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was a new wave of domestic constitutional academic, the wind is still ...

      This article will be prepared for a session of “A Dialogue with the Veteran of Public Law Academic -Professor, Young Huh-”. The appearance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was a new wave of domestic constitutional academic, the wind is still being continued and has been developed in korean constitutional academics. This article is one stud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is existence and development. There is only one thing which I wish to tell,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judgement of inherited contents in this article is due to the subjective of mine as a author. For this study is starting from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first I classified the central contents of his works in four and considered them. And then I traced his academical lineage. That was determined by subject who was affected by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and was under his academical guidance: the first generation, the second generation, lawyers and other researchers, and. Next, I examined with respect to progressive succession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by junior scholars. This examination was based on the academical common factors and mainly of their academic contents with their own academical direction and col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하)" 박영사 1987

      2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중)" 박영사 1984

      3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상)" 박영사 1979

      4 이종수, "헌법에 있어서 학설과 판례의 관계" 한국공법학회 40 (40): 57-75, 2011

      5 국순옥, "허영 교수의 동화적 통합론과 「한국헌법론」의 상식 밖 논리들" (14) : 2004

      6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7 최종고, "한국의 학파와 학풍" 우석 1982

      8 김 철, "한국법학의 반성" 한국학술정보 2007

      9 이종수, "한 法學者의 빗나간 憲法사랑-박홍규의 ‘그들이 憲法을 죽였다(개마고원, 2001년)’를 위한 提言" 4 : 2002

      10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08

      1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하)" 박영사 1987

      2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중)" 박영사 1984

      3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상)" 박영사 1979

      4 이종수, "헌법에 있어서 학설과 판례의 관계" 한국공법학회 40 (40): 57-75, 2011

      5 국순옥, "허영 교수의 동화적 통합론과 「한국헌법론」의 상식 밖 논리들" (14) : 2004

      6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7 최종고, "한국의 학파와 학풍" 우석 1982

      8 김 철, "한국법학의 반성" 한국학술정보 2007

      9 이종수, "한 法學者의 빗나간 憲法사랑-박홍규의 ‘그들이 憲法을 죽였다(개마고원, 2001년)’를 위한 提言" 4 : 2002

      10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08

      11 이한우, "우리의 학맥과 학풍" 문예출판사 1995

      12 "법률신문"

      13 박홍규, "그들이 헌법을 죽였다" 개마고원 2001

      14 김주환, "공법학원로와의 대화-허영 교수- 토론문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0.8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