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6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악수업을 위한 모형의 개발과 적용은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감상교육의 내실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모형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악수업을 위한 모형의 개발과 적용은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감상교육의 내실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모형의 제시를 위한 이론적 탐색을 주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음악 감상의 유형을 기초로 감상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수업모형의 단계를 감각적 감상, 분석적 감상, 심미적 감상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단계별 감상활동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감상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에서의 감상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한 예시 수업지도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모형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감상수업지도안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둘째, 감상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적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감상수업모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 음악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re meaningful which contributions to a systematic approach to music appreci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re meaningful which contributions to a systematic approach to music appreci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nd evaluate which models were helpful in reinforcing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was examined based on suggestions by music educators and scholars. Secon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sensuous appreciation, analytical appreciation, and aesthetic appreciation, three sequenc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teaching were designed. Third,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applied then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draw upon the learning elements for each sequence models. Lastly, a sample lesson plan was applied to each of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plan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be appli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musical activities in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Third, the music teacher``s expertise is requi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문주, "학교에서의 음악감상" 교육과학사 2015

      2 성경희, "중학교 음악과 수업 방법 개선에 관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994

      3 이석원, "음악심리학" 심설당 1997

      4 승윤희,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초등 음악교육" 학지사 2013

      5 계보경,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7 Copland, A., "What to listen for in music?" Penguin Books 1988

      8 White, J. D., "Understanding and enjoying music" Dodd, Mead and Company 1968

      9 Dettmer, P., "New Blooms in established fields : Four domains of learning and doing" 28 (28): 70-78, 2006

      10 Elliott, D., "Music matters :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 석문주, "학교에서의 음악감상" 교육과학사 2015

      2 성경희, "중학교 음악과 수업 방법 개선에 관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994

      3 이석원, "음악심리학" 심설당 1997

      4 승윤희,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초등 음악교육" 학지사 2013

      5 계보경,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7 Copland, A., "What to listen for in music?" Penguin Books 1988

      8 White, J. D., "Understanding and enjoying music" Dodd, Mead and Company 1968

      9 Dettmer, P., "New Blooms in established fields : Four domains of learning and doing" 28 (28): 70-78, 2006

      10 Elliott, D., "Music matters :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1 Hoffer, M., "Music in the elementary classroom: Musicianship and teaching"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1987

      12 Miller, H. M., "Introduction to music: A guide to good listening" Barnes & Noble Books 1978

      13 Anderson, W. A., "Integrating music into the elementar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8

      14 Leonhard, C., "Foundations of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McGraw-Hill 2003

      15 Meyer, L. B., "Emotion and meaning in music" Chicago University Press 1956

      16 Reimer, B.,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Advancing the vision" Prentice-Hall, Inc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