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가브리엘 비엘의 “facere quod in se est(자질대로 행함)” 교리 비판 = A Critique of Oberman’s Interpretation of Gabriel Biel’s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Facere quod in se 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54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저명한 역사신학자 오버만(Heiko A. Oberman)이 자신의 동명의 책에서 “중세 신학의 수확(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이라고 칭한 유명론자 가브리엘 비엘(Gabriel Biel)의 신학을 “하나님은 사람이 자신 안에 있는 것 - 자질 - 으로써 행할 때 은혜 베푸시기를 거부하지 않으신다(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는 교리와 관련하여 일고함으로써 중세와 종교개혁의 연속성(continuity)과 비연속성(discontinuity)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피력하고자 함에 있다. 비엘은 하나님과 인류 사이에 맺은 언약이 그 속성상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과 정서적 능력 그리고 이에 따른 합력적 공로와 합당한 공로의 구원의 질서를 제시한다고 보지만 언약을 불변하는 영원한 구원협약의 역사적 성취경륜으로서 여기지 않는 이상 이를 거론하는 것 자체가 공허하다. 하나님의 사랑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절대적인 두 요소로 삼는 언약은 그 본질상 “facere quod in se est“ 교리와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종교개혁자들의 중세 혹은 중세말의 유명론과의 단절이 분명함을 확인하게 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이러한 단절은 더욱 확고해진 바, 그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말미암아 성도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행위도 의롭게 여겨진다고 함으로써 칭의와 성화의 이중적 은총을 분명히 피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시대에 드리운 여전한 옛 자취가 남아있다면 그것은 새로 취한 무엇이 아니라 아직 버리지 못한 무엇으로서 헤아려져야 할 것이다. 단절을 퇴보로 보는 역사학적 선입관이 없지 않지만, 종교개혁의 역사는 우리에게 단절을 통한 심화를 교훈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저명한 역사신학자 오버만(Heiko A. Oberman)이 자신의 동명의 책에서 “중세 신학의 수확(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이라고 칭한 유명론자 가브리엘 비엘(Gabriel Biel)의 신학을 “...

      본고의 목적은 저명한 역사신학자 오버만(Heiko A. Oberman)이 자신의 동명의 책에서 “중세 신학의 수확(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이라고 칭한 유명론자 가브리엘 비엘(Gabriel Biel)의 신학을 “하나님은 사람이 자신 안에 있는 것 - 자질 - 으로써 행할 때 은혜 베푸시기를 거부하지 않으신다(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는 교리와 관련하여 일고함으로써 중세와 종교개혁의 연속성(continuity)과 비연속성(discontinuity)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피력하고자 함에 있다. 비엘은 하나님과 인류 사이에 맺은 언약이 그 속성상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과 정서적 능력 그리고 이에 따른 합력적 공로와 합당한 공로의 구원의 질서를 제시한다고 보지만 언약을 불변하는 영원한 구원협약의 역사적 성취경륜으로서 여기지 않는 이상 이를 거론하는 것 자체가 공허하다. 하나님의 사랑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절대적인 두 요소로 삼는 언약은 그 본질상 “facere quod in se est“ 교리와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종교개혁자들의 중세 혹은 중세말의 유명론과의 단절이 분명함을 확인하게 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이러한 단절은 더욱 확고해진 바, 그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말미암아 성도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행위도 의롭게 여겨진다고 함으로써 칭의와 성화의 이중적 은총을 분명히 피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시대에 드리운 여전한 옛 자취가 남아있다면 그것은 새로 취한 무엇이 아니라 아직 버리지 못한 무엇으로서 헤아려져야 할 것이다. 단절을 퇴보로 보는 역사학적 선입관이 없지 않지만, 종교개혁의 역사는 우리에게 단절을 통한 심화를 교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Medieval and Reformation era with reference to their doctrinal stance on the revelation and grace of God working in th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f the believers by taking a special look at Gabriel Biel’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God does not deny giving His grace to the one who do his or her best).” According to Biel, the covenant of grace made between God and His people reveals God’s absolute and ordained power and, from these, congruent and condign merit, but not more than a merely synergic grace to enhance each believer’s habitus and qualitas(quod in se est) with a proper infusion of grace. This perspective cannot be compatible with the view to look upon salvation as the historical economy to fulfill God’s eternal decree of unconditional redemption. Calvin clearly deploys his position of this biblical teaching by indicating the fact that by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not only we ourselves but also our works are justified without any payment, gratia immerita. This we cannot find in Biel. He replaces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in this double gra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with the increase(incrementum) of righteousness condignly acquired. This shows a predominant element to set apart between the Medieval and Reformation thought.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Medieval and Reformation era with reference to their doctrinal stance on the revelation and grace of God working in th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f the believers by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Medieval and Reformation era with reference to their doctrinal stance on the revelation and grace of God working in th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f the believers by taking a special look at Gabriel Biel’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God does not deny giving His grace to the one who do his or her best).” According to Biel, the covenant of grace made between God and His people reveals God’s absolute and ordained power and, from these, congruent and condign merit, but not more than a merely synergic grace to enhance each believer’s habitus and qualitas(quod in se est) with a proper infusion of grace. This perspective cannot be compatible with the view to look upon salvation as the historical economy to fulfill God’s eternal decree of unconditional redemption. Calvin clearly deploys his position of this biblical teaching by indicating the fact that by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not only we ourselves but also our works are justified without any payment, gratia immerita. This we cannot find in Biel. He replaces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in this double gra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with the increase(incrementum) of righteousness condignly acquired. This shows a predominant element to set apart between the Medieval and Reformation though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과제와 접근
      • 2 하나님의 의지(voluntas)와 이성(ratio): 절대적 능력(絶對的能力, potentia absoluta)과 정서적 능력(定序的能力, potentia ordinata)
      • 3 그리스도의 의의 절대성과 충족성: 합력적 공로(meritum de congruo)와 합당한 공로(meritum de condigno), 선함(bonitas)과 공훈(dignitas)
      • 4 자질대로 행함(facere quod in se est)
      • 5 칼빈의 거부
      • 1 서론: 과제와 접근
      • 2 하나님의 의지(voluntas)와 이성(ratio): 절대적 능력(絶對的能力, potentia absoluta)과 정서적 능력(定序的能力, potentia ordinata)
      • 3 그리스도의 의의 절대성과 충족성: 합력적 공로(meritum de congruo)와 합당한 공로(meritum de condigno), 선함(bonitas)과 공훈(dignitas)
      • 4 자질대로 행함(facere quod in se est)
      • 5 칼빈의 거부
      • 6 결론: 종교개혁, 단절을 통한 심화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병호, "그리스도의 의(義)의 유일성과 객관성: 칼빈의 트렌트 회의 비판의요지(要旨)와 요체(要諦)" 개혁신학회 32 : 45-93, 2014

      2 Smith, George D.,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 Summary of Catholic Doctrine" The MacMillan Company 1955

      3 Taylor, Henry Osborn, "The Medieval Mind: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ought and Emotion in the Middle Ages. 2 Vols" MacMillan and Co., Limited 1911

      4 Pelikan, Jaroslav,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Eerdmans 1994

      5 Hayes, Zachary, "The Hidden Center: Spirituality and Spectulative Christology in St. Bonaventure" The Franciscan Institutes 1981

      6 Oberman, Heiko A., "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 Gabriel Biel and Late Medieval Nominalism" Labyrinth Press 1983

      7 Oberman, Heiko A., "The Dawn of the Reformation: Essays in Late Medieval and Early Reformation Thought" Eerdmans 1992

      8 Pelikan, Jaroslav,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Vol. 4, Reformation of Church and Dogma (1300-17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9 Lillback, Peter A., "The Binding of God: Calvin’s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venant Theology" Baker 2001

      10 Seeberg, Reinhold, "Text-Book of the History of Doctrines. Complete in Two Volumes" Baker 1964

      1 문병호, "그리스도의 의(義)의 유일성과 객관성: 칼빈의 트렌트 회의 비판의요지(要旨)와 요체(要諦)" 개혁신학회 32 : 45-93, 2014

      2 Smith, George D.,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 Summary of Catholic Doctrine" The MacMillan Company 1955

      3 Taylor, Henry Osborn, "The Medieval Mind: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ought and Emotion in the Middle Ages. 2 Vols" MacMillan and Co., Limited 1911

      4 Pelikan, Jaroslav,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Eerdmans 1994

      5 Hayes, Zachary, "The Hidden Center: Spirituality and Spectulative Christology in St. Bonaventure" The Franciscan Institutes 1981

      6 Oberman, Heiko A., "The Harvest of Medieval Theology: Gabriel Biel and Late Medieval Nominalism" Labyrinth Press 1983

      7 Oberman, Heiko A., "The Dawn of the Reformation: Essays in Late Medieval and Early Reformation Thought" Eerdmans 1992

      8 Pelikan, Jaroslav,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Vol. 4, Reformation of Church and Dogma (1300-17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9 Lillback, Peter A., "The Binding of God: Calvin’s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venant Theology" Baker 2001

      10 Seeberg, Reinhold, "Text-Book of the History of Doctrines. Complete in Two Volumes" Baker 1964

      11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3 Vols" Eerdmans 1995

      12 Steinmetz, David C., "Reformers in the Wings: From Geiler von Kaysersberg to Theodore Beza"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3 Muller. Richard A.,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Vol. 2. Holy Scripture: The Cognitive Foundation of Theology" Baker 1993

      14 Muller. Richard A.,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Vol. 1. Prolegomena to Theology" Baker 1987

      15 McGrath, Alister E, "Mira et nova deffinitio iustitiae. Luther and Scholastic Doctrines of Justification" 74 : 37-60, 1983

      16 McGrath, Alister E.,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Blackwell 1985

      17 Steinmetz, David C., "Luther in Context" Baker 1995

      18 Calvinus, Ioannes,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in libros quatuor nunc primum digesta, certisque distincta capitibus, ad aptissimam methodum"

      19 Schaff, Philip,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6. The Middle Ages from Boniface VIII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1294-1517" Hendrickson Publishers 1996

      20 Harnack, Adolph von, "History of Dogma. Vol. 6 and Vol. 7" Dover Publication 1961

      21 Oberman, Heiko A., "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 Robert Holcot O. P. and the Beginnings of Luther’s Theology" 55 : 317-342, 1962

      22 Faber, J., "Essays in Reformed Doctrine" Inheritance Publications 234-239, 1990

      23 Muller. Richard A.,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Drawn Principally from Protestant Scholastic Theology" Baker 1985

      24 Steinmetz, David C., "Calvin in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5 Casteel, Theodore W., "Calvin and Trent: Calvin’s Reaction to the Council of Trent in the Context of His Conciliar Thought" 63 : 91-117, 1970

      26 Vos, Arvin, "Aquinas, Calvin, & Contemporary Protestant Thought: A Critique of Protestant Views on the Thought of Thomas Aquinas" Eerdmans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1-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4-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혁신학회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Reformed Theology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Journal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5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