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세시대 개혁의 선구자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 = Reformational Ecclesiology of John Wyclif, the Pioneer of Reformation in the Middle 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54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세 시대의 대표적인 교회 개혁 사상가 위클리프는 14세기 말 잉글랜드의 시대 상황 속에서 교회의 개혁을 위한 사상을 제시하고 그 실천을 시도한 인물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이 등장한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의 예정으로부터 참 교회 개념을 설명한 위클리프의 교회 이해를 평가하고 교회 개혁을 위해 그가 제시한 실천 방안을 다룬다.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배경은 국내적으로는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왕실과 교회 지도자들 사이의 정치적 갈등었으며 국외적으로는 교황청의 대분열이었다. 또 사상적 배경으로는 14세기 말 옥스포드에서 전개된 철학적 논의 가운데 위클리프가 취한 실재론과 신적 원리와 피조 세계의 원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지배권”개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 위에서 위클리프는 “선택받은 사람들의 총합으로서의 참된 교회”라는 신학적 교회 이해를 제시했다. 그리고 이 이해 위에서 교황을 포함한 교회의 제도적 측면의 오류 가능성을 주장하고 부패의 실상을 지적했다. 성경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과 사제들이 목회자로서의 본분을 회복하는 것, 그리고 세속 군주가 교회의 사적 재산을 몰수하는 것이 위클리프가 제시한 교회 개혁의 실천 방안들이었다. 위클리프의 교회 개념과 그 실천적 함의들이 이후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제시했던 교회론과 여러 점에서 서로 다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성경의 진리를 절대화하면서 이에 대해 교회 제도를 상대화한 점, 교황을 비롯한 사제들의 권위를 그 직임이 아닌 충실한 직무 수행에서 찾으려 한 점, 하나님의 예정과 그리스도의 머리이심을 강조함으로써 지상 교회의 영속성과 개혁의 필연성을 주장한 점들이다. 이와 같은 개혁적 교회론으로 인해 위클리프는 16세기 종교개혁을 예비한 중세 후기 종교개혁의 선구자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번역하기

      중세 시대의 대표적인 교회 개혁 사상가 위클리프는 14세기 말 잉글랜드의 시대 상황 속에서 교회의 개혁을 위한 사상을 제시하고 그 실천을 시도한 인물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위클리프의 ...

      중세 시대의 대표적인 교회 개혁 사상가 위클리프는 14세기 말 잉글랜드의 시대 상황 속에서 교회의 개혁을 위한 사상을 제시하고 그 실천을 시도한 인물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이 등장한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의 예정으로부터 참 교회 개념을 설명한 위클리프의 교회 이해를 평가하고 교회 개혁을 위해 그가 제시한 실천 방안을 다룬다.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배경은 국내적으로는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왕실과 교회 지도자들 사이의 정치적 갈등었으며 국외적으로는 교황청의 대분열이었다. 또 사상적 배경으로는 14세기 말 옥스포드에서 전개된 철학적 논의 가운데 위클리프가 취한 실재론과 신적 원리와 피조 세계의 원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지배권”개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 위에서 위클리프는 “선택받은 사람들의 총합으로서의 참된 교회”라는 신학적 교회 이해를 제시했다. 그리고 이 이해 위에서 교황을 포함한 교회의 제도적 측면의 오류 가능성을 주장하고 부패의 실상을 지적했다. 성경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과 사제들이 목회자로서의 본분을 회복하는 것, 그리고 세속 군주가 교회의 사적 재산을 몰수하는 것이 위클리프가 제시한 교회 개혁의 실천 방안들이었다. 위클리프의 교회 개념과 그 실천적 함의들이 이후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제시했던 교회론과 여러 점에서 서로 다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성경의 진리를 절대화하면서 이에 대해 교회 제도를 상대화한 점, 교황을 비롯한 사제들의 권위를 그 직임이 아닌 충실한 직무 수행에서 찾으려 한 점, 하나님의 예정과 그리스도의 머리이심을 강조함으로써 지상 교회의 영속성과 개혁의 필연성을 주장한 점들이다. 이와 같은 개혁적 교회론으로 인해 위클리프는 16세기 종교개혁을 예비한 중세 후기 종교개혁의 선구자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hn Wyclif, one of the representative reformers of the middle age, presen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and. There are two most noticeable historical backgrounds: Domestically, he developed his ecclesiology in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monarchy and the ecclesiastical leadership in England. Internationally, “the great schism” effec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Concerning philosophical backgrounds, propositional realism, endorsed by Wyclif in the metaphysical controversy of the late fourteenth century Oxford, and his concept of “dominion,” elaborate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and the created order, offered him useful theoretical grounds.
      For Wyclif, the true Church is “the whole congregation of the elect.” This theological idea enabled him to criticize present corruptions of the institutional church. Sincere teaching of Scripture, recovery of the ministerial role of priests, and deprivation of temporal goods of the church by secular rulers were Wyclif’s proposals for reformati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Wyclif’s reformation ecclesiology shows some significant similarities with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ers: the idea of the relative nature of the church compared to the absolute truth of Scripture, the definition of the priestly office not as authoritative position but as pastoral role, and the emphasis on the perpetuity and the continuous need for reforming the Church due to the fact that “Christ is the sole head of the Church.” Those similarities are sufficient reasons for calling Wyclif “a pioneer of reformation” who prepared the way to the protestant reformers.
      번역하기

      John Wyclif, one of the representative reformers of the middle age, presen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and. There are two most noticeable historical backgrounds: Domestically, he developed his ecclesiol...

      John Wyclif, one of the representative reformers of the middle age, presen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and. There are two most noticeable historical backgrounds: Domestically, he developed his ecclesiology in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monarchy and the ecclesiastical leadership in England. Internationally, “the great schism” effec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Concerning philosophical backgrounds, propositional realism, endorsed by Wyclif in the metaphysical controversy of the late fourteenth century Oxford, and his concept of “dominion,” elaborate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and the created order, offered him useful theoretical grounds.
      For Wyclif, the true Church is “the whole congregation of the elect.” This theological idea enabled him to criticize present corruptions of the institutional church. Sincere teaching of Scripture, recovery of the ministerial role of priests, and deprivation of temporal goods of the church by secular rulers were Wyclif’s proposals for reformati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Wyclif’s reformation ecclesiology shows some significant similarities with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ers: the idea of the relative nature of the church compared to the absolute truth of Scripture, the definition of the priestly office not as authoritative position but as pastoral role, and the emphasis on the perpetuity and the continuous need for reforming the Church due to the fact that “Christ is the sole head of the Church.” Those similarities are sufficient reasons for calling Wyclif “a pioneer of reformation” who prepared the way to the protestant reform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위클리프의 생애와 교회론의 의의
      • 2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배경
      • 3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 개념과 개혁 실천 제안
      • 4 결론: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영향과 평가
      • 참고문헌
      • 1 서론: 위클리프의 생애와 교회론의 의의
      • 2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배경
      • 3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 개념과 개혁 실천 제안
      • 4 결론: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영향과 평가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요섭, "위클리프의생애와교회개혁사상" 5 : 81-108, 2016

      2 Wilks, Michael, "Wyclif: Political Ideas and Practice" Oxbow 1-15, 2000

      3 Hudson, Anne, "Wyclif: Political Ideas and Practice" Oxbow 2000

      4 Kenny, Anthony, "Wyclif in His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 Robson, J. A., "Wyclif and the Oxford Scho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1

      6 Stacey, John, "Wyclif and Reform" Lutterworth 1964

      7 Hudson, Anne, "The Premature Reformation: Wycliffite Texts and Lollar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8 Lahey, Stephen E., "The Medieval Theologian" Blackwell 334-354, 2001

      9 Schaff, Philip, "The Creeds of Christendom, vol. III: The Evangelical Protestant Creeds" Baker 1983

      10 Wyclif, John, "Select English Works of John Wyclif. 3 volumes" Clarendon 1871

      1 김요섭, "위클리프의생애와교회개혁사상" 5 : 81-108, 2016

      2 Wilks, Michael, "Wyclif: Political Ideas and Practice" Oxbow 1-15, 2000

      3 Hudson, Anne, "Wyclif: Political Ideas and Practice" Oxbow 2000

      4 Kenny, Anthony, "Wyclif in His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 Robson, J. A., "Wyclif and the Oxford Scho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1

      6 Stacey, John, "Wyclif and Reform" Lutterworth 1964

      7 Hudson, Anne, "The Premature Reformation: Wycliffite Texts and Lollar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8 Lahey, Stephen E., "The Medieval Theologian" Blackwell 334-354, 2001

      9 Schaff, Philip, "The Creeds of Christendom, vol. III: The Evangelical Protestant Creeds" Baker 1983

      10 Wyclif, John, "Select English Works of John Wyclif. 3 volumes" Clarendon 1871

      11 Black, Anthony, "Political Thought in Europe 1250-14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2 Lahey, Stephen E., "Philosophy and Politics in the Thought of John Wycli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Wyclif, John, "Opus Evangelicum" Trübner & Co 1896

      14 Smeeton, Donald Dean, "Lollard Themes in the Reformation Theology of William Tyndale" Sixteenth Century Journal Publishers 1986

      15 Workman, H. B., "John Wyclif: A Study in the English Medieval Church. 2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26

      16 Evans. G. R., "John Wyclif" Lion 2005

      17 Lahey, Stephen E., "John Wyclif"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8 Spinka, Matthew, "John Hus’ Concept of the Chur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6

      19 Calvin, John, "Joannis Calvini Opera Selecta 5 vols" Yale University Press 1952

      20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59):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s. XX and XXI" Westminster Press 1960

      21 Renna, Thomas, "From Ockham to Wyclif" Oxford University Press 267-280, 1987

      22 Luscombe, David, "From Ockham to Wyclif" Oxford University Press 233-244, 1987

      23 Anne Hudson, "From Ockham to Wyclif"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24 Wyclif, John, "De potestate pape" Trübner & Co 1907

      25 Wyclif, John, "De ecclesia" Trübner & Co 1907

      26 Wyclif, John, "De Veritate Sacrae Scripturae 3 volumes" Trübner & Co 1907

      27 Wyclif, John, "De Officio Regis" Trübner & Co 1887

      28 Wyclif, John, "De Dominio Divino" Trübner & Co 1890

      29 Wyclif, John, "De Civili Dominio" Trübner & Co 1885

      30 Lahey, Stephen E., "A Companion to John Wyclif: Late Medieval Theologian" E. J. Brill 1-65, 2006

      31 Levy, Ian Christopher, "A Companion to John Wyclif: Late Medieval Theologian" E. J. Brill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1-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4-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혁신학회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Reformed Theology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Journal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5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