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초대 교회에 있었던『70인 역』에 대한 주요 논의들을 통해 오늘날 한국 (개신교) 교회 내에서의『70인 역』의 의미와 위치를 찾아보는 시도로 작성되었다. 『70인역』은 신약 성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54705
2016
-
23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3-104(4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초대 교회에 있었던『70인 역』에 대한 주요 논의들을 통해 오늘날 한국 (개신교) 교회 내에서의『70인 역』의 의미와 위치를 찾아보는 시도로 작성되었다. 『70인역』은 신약 성경...
본 논문은 초대 교회에 있었던『70인 역』에 대한 주요 논의들을 통해 오늘날 한국 (개신교) 교회 내에서의『70인 역』의 의미와 위치를 찾아보는 시도로 작성되었다. 『70인역』은 신약 성경 저자 이래로 교회의 구약 성경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번역본이요 전승 방법이 불명확한 것으로 치부되어 초대 교회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대해 혹자들은『70인 역』을 지키려고 했고, 다른 이들은 히브리어 원문과의 신중한 비교로 『70인 역』을 극복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교회사에서『70인 역』에 대한 교회의 전통과 쇄신이라는 두 입장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입장을 살펴봄으로 교회 내에서의 『70인 역』의 의미와 위치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필자는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와 오리게네스와 아프리카누스가 교환한 서신들 (『아프리카누스에게』; 아프리카누스, 『 오리겐에게』)을 분석하여 주후 3세기 초반에 있었던 『70인 역』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오리게네스는 당대에 사용되던『70인 역』의문제점을직시하고, 『 70인역』의 원형을 찾으려는 시도로 전통과 쇄신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이후, 라틴어 구약 성경 번역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 (『70인역』지지)-히에로니무스(히브리어 성경을 지지)의 논쟁적 서신들도 분석을 통해 주후 4-5세기에 있었던『70인 역』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았다. 서신서들에는 양자 모두(비록 히에로니무스가 더 철저했지만) 본문을 비교-설명하려 시도했으나, 동시에『70인 역』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았다. 이들의 태도 역시 오리게네스처럼, 성경 본문에 대한 열정과 더불어 그들이 속한 교회와 성경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전통과 쇄신을 함께 추구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오늘날 한국 (개신교) 교회 내에서『70인 역』의 가치를 재고하며(전통) 진리를 추구하는데 귀하게 사용할 것(쇄신)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ries to locate the Septuagint(LXX) in the proper place within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referring to important discussions of the early Christianity on the Septuagint. The Septuagint had had a canonical position since the beginnin...
This article tries to locate the Septuagint(LXX) in the proper place within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referring to important discussions of the early Christianity on the Septuagint. The Septuagint had had a canonical position since the beginning of Christianity. However, both its identity as a translation and its transmissional uncertainty often led to various evaluations of it in the early Christianity. In terms of such evaluations, some tried to defend the Septuagint, the others wanted to renovate it with critical comparison with Hebrew original. I think that such efforts reflect a twofold attitude(i.e. tradition and renovation) of the early Christianity on the Septuagint, and based on their attitude “we” may find the position of the Septuagint with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n order to find some ground for it, I analysed Origen’s works on the Septuagint, i.e. the Hexapla and letters between Origen and Africanus, which revealed an attitude of the third-century Christianity on the Septuagint. Origen who had found some problems of the Septuagint used in his times carefully considered both tradition and renovation in order to pursue the original form of the Septuagint. And then, I tried to look at the fourth and fifth-century attitude on the Septuagint through analysing the argumentative letters between Augustine and Jerome on the translation issue of Latin Old Testament. These letters revealed that both(in case of Jerome, more critically) not only attempted to compare the Septuagint with Hebrew/Latin sources, but also respected it. Their attitude to the Septuagint favored to both tradition and renovation that targeted to the restoration of tex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nd the contemporary church, just as Origen did. Such conclusions hint today’s Korean (Protestant) church to reconsider some value of the Septuagint within the church(tradition) and use it in order to pursue the truth of the Bible(renov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영진, "희랍어칠십인역예레미야에반영되지않은히브리어요소들" (3) : 114-173, 1977
2 우상혁, "칠십인역의번역기술과히브리어동사형태: 욥기를중심으로" (20) : 311-328, 2007
3 우상혁, "칠십인역 현대어 번역 고찰 -알렉산드리아 성경 중심으로-" (재)대한성서공회 (31) : 66-87, 2012
4 김주한, "칠십인역 헬라어의 Auvto,j(단수 주격 형태) 용법 연구 -칠십인역 창세기, 룻기, 전도서, 이사야, 마카비2서 분석-" (재)대한성서공회 (32) : 112-136, 2013
5 이은우, "칠십인역 성경 연구와 우리말 번역의 필요성에 대한 재고 - 여호수아 4장 본문의 역사(Textual History) 연구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39) : 35-60, 2010
6 김지찬, "칠십인경이란무엇인가-오리겐의헥사플라가칠십인경전승사에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249) : 10-48, 1996
7 김동주, "초기 교부들의 70인역 이해에 대한 역사신학적 연구" 한국교회사학회 (26) : 137-169, 2010
8 김주한, "제자들이 이어가는 이야기: 열매로 알리라" 총신대학교 출판부 380-412, 2013
9 Metzger, B. M., "외경이란무엇인가" 컨콜디아사 1995
10 우상혁, "아리스테아스 서신과 칠십인경 개정" 한국신학연구소 (146) : 39-70, 2009
1 민영진, "희랍어칠십인역예레미야에반영되지않은히브리어요소들" (3) : 114-173, 1977
2 우상혁, "칠십인역의번역기술과히브리어동사형태: 욥기를중심으로" (20) : 311-328, 2007
3 우상혁, "칠십인역 현대어 번역 고찰 -알렉산드리아 성경 중심으로-" (재)대한성서공회 (31) : 66-87, 2012
4 김주한, "칠십인역 헬라어의 Auvto,j(단수 주격 형태) 용법 연구 -칠십인역 창세기, 룻기, 전도서, 이사야, 마카비2서 분석-" (재)대한성서공회 (32) : 112-136, 2013
5 이은우, "칠십인역 성경 연구와 우리말 번역의 필요성에 대한 재고 - 여호수아 4장 본문의 역사(Textual History) 연구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39) : 35-60, 2010
6 김지찬, "칠십인경이란무엇인가-오리겐의헥사플라가칠십인경전승사에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249) : 10-48, 1996
7 김동주, "초기 교부들의 70인역 이해에 대한 역사신학적 연구" 한국교회사학회 (26) : 137-169, 2010
8 김주한, "제자들이 이어가는 이야기: 열매로 알리라" 총신대학교 출판부 380-412, 2013
9 Metzger, B. M., "외경이란무엇인가" 컨콜디아사 1995
10 우상혁, "아리스테아스 서신과 칠십인경 개정" 한국신학연구소 (146) : 39-70, 2009
11 Metzger, B. M., "신약의본문: 본문의전달, 훼손, 복원" 한국성서학연구소 2009
12 김정우, "시편본문비평에있어서70인역과쿰란사본의위치와가치" (3) : 291-317, 1998
13 Würthwein, E., "성서본문비평입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8
14 Harris, R. L., "성경의영감과정경" 한국개혁주의신행협회 1998
15 McDonald, L. M., "성경의 형성: 교회의 정경 이야기" 솔로몬 2015
16 최명덕, "다니엘서의 구그릭어(Old Greek) 사본과 마소라 사본과의 상관관계" 29 : 269-281, 1997
17 천민희, "다니엘서본문에나타나는MT와LXX의사이의다름에대한이해" 48 : 93-132, 2006
18 "구-라틴어 역본 사이트"
19 McLay, R. T., "The Use of the Septuagint in New Testament Resear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20 Marcos, N. F., "The Septuagint in Context: Introduction to the Greek Version of the Bib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0
21 Hengel, M., "The Septuagint as Christian Scripture: Its Prehistory and the Problem of Its Canon" T & T Clark 2002
22 Jellicoe, S., "The Septuagint and Modern Study" Eisenbrauns 1993
23 Müller, M., "The First Bible of the Church : A Plea for the Septuagint" Sheffield Academic Press 1996
24 Tov, E., "Textual Criticism of the Hebrew Bible" Fortress Press 2012
25 A. Ralfs, "Septuaginta id est Vetus Testamentum Graece iuxta LXX Interpretes. Editio altera"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2
26 Kotzé, A., "Septuagint and Reception: Essays prepared for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Septuagint in South Africa" Brill 245-260, 2009
27 Field, F., "Origenis Hexaplorum quae supersunt; sive Veterum Interpretum Graecorum in Totum Vetus Testamentum Fragmenta. Tomus I. Prolegomena. Genesis-Esther" E Typographeo Clarendoniano 1875
28 Margolis, M. L., "Hexapla and Hexaplaric" 32 (32): 126-140, 1916
29 K. Elliger, "Biblica Hebraica Stuttgartensia"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8
30 R. Weber, "Biblia Sacra iuxta Vulgatam Versionem. Editio quinta"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3
31 Swete, H. B.,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in Greek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Letter of Aristeas edited by H. St. J. Thackeray" Hendrickson Publisher 1914
32 Jobes, K. H., "70인역성경으로의초대" CLC 2007
33 김회권, "70인역(The Septuagint)과 기독교의 기원" 한국신약학회 16 (16): 925-964, 2009
가브리엘 비엘의 “facere quod in se est(자질대로 행함)” 교리 비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개혁신학회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Reformed Theology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Journal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59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