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유통 두족류의 중금속(Hg, Pb, Cd, Cu) 함량과 위해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5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족류 가식부의 중금속 함량은 수은 0.017±0.063 mg/kg, 납 0.024±0.004 mg/kg, 카드뮴 0.030±0.027 mg/kg, 구리 2.536±0.653 mg/kg이었으며, 내장에서는 수은 0.063±0.016 mg/kg, 납 0.579±0.304 mg/kg, 카드뮴 15.200±6.189 mg/kg, 구리 201.706±129.7 mg/kg이었다. 낙지 가식부와 내장의 비로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파악해보면, 카드뮴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구리, 납, 수은 순이었으며, 낙지 무게에 따른 중금속의 축적 정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낙지를 통해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등의 중금속 주간 섭취량은 FAO/WT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0~0.2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비가식부(내장)의 경우는 0.05~92.28%로 높게 나타나 낙지 섭취 시 낙지 내장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족류 가식부의 중금속 함량은 수은 0.017±0.063 mg/kg, 납 0.024±0.004 mg/kg, 카드뮴 0.030±0.027 mg/kg, 구리 2.536±0.653 mg/kg이었으며, 내장에서는 수은 0.063±0.016 mg/kg, 납 0.579±0.304 mg/kg, 카드뮴 15.200±6.189 mg/kg, 구리 201.706±129.7 mg/kg이었다. 낙지 가식부와 내장의 비로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파악해보면, 카드뮴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구리, 납, 수은 순이었으며, 낙지 무게에 따른 중금속의 축적 정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낙지를 통해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등의 중금속 주간 섭취량은 FAO/WT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0~0.2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비가식부(내장)의 경우는 0.05~92.28%로 높게 나타나 낙지 섭취 시 낙지 내장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rtain heavy metals (Hg, Pb, Cd, Cu) in 144 samples of cephalopods, to identify weekly heavy metal intakes and to evaluate potential health risks. The average concentrations in the arm, expressed in mg/kg, were: Hg 0.017 (less than the limit of detection (LOD) to 0.059), Pb 0.024 (less than the LOD to 0.092), Cd 0.030 (less than the LOD to 0.627) and Cu 2.536 (less than the LOD to 5.837). The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internal organs, expressed in mg/kg, were: Hg 0.063 (from 0.008 to 0.543), Pb 0.579 (less than the LOD to 2.344), Cd 15.200 (from 0.654 to 75.29) and Cu 201.706 (from 2.412 to 856.4).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organs than in the arm. Of the four heavy metals, the ratio of internal organs to arm was highest for cadmium. The weekly intakes of Hg, Pb, Cd and Cu from Octopus minor were 0.2%, 0.08%, 0.20% and 0.00%, respectively from the arm, and 1.0%, 0.96%, 92.28% and 0.05% from the internal organs as compared to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established by the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rtain heavy metals (Hg, Pb, Cd, Cu) in 144 samples of cephalopods, to identify weekly heavy metal intakes and to evaluate potential health risks. The average concentrations in the arm, expressed in mg/k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rtain heavy metals (Hg, Pb, Cd, Cu) in 144 samples of cephalopods, to identify weekly heavy metal intakes and to evaluate potential health risks. The average concentrations in the arm, expressed in mg/kg, were: Hg 0.017 (less than the limit of detection (LOD) to 0.059), Pb 0.024 (less than the LOD to 0.092), Cd 0.030 (less than the LOD to 0.627) and Cu 2.536 (less than the LOD to 5.837). The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internal organs, expressed in mg/kg, were: Hg 0.063 (from 0.008 to 0.543), Pb 0.579 (less than the LOD to 2.344), Cd 15.200 (from 0.654 to 75.29) and Cu 201.706 (from 2.412 to 856.4).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organs than in the arm. Of the four heavy metals, the ratio of internal organs to arm was highest for cadmium. The weekly intakes of Hg, Pb, Cd and Cu from Octopus minor were 0.2%, 0.08%, 0.20% and 0.00%, respectively from the arm, and 1.0%, 0.96%, 92.28% and 0.05% from the internal organs as compared to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established by the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종수, "한국 연안산 해산 무척추동물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94-901, 2010

      2 목종수, "한국 연안산 어류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17-524, 2009

      3 목종수, "한국 연안산 수산물의 일반성분 조성 및 영양평가" 한국수산과학회 40 (40): 259-268, 2007

      4 이효진, "충남 서산에서 어획된 낙지(Octopus minor)의 중금속 함량과 인체 위해성 평가" 한국수산과학회 43 (43): 270-276, 2010

      5 김희연, "유통 중인 어류의 중금속 모니터링-비소, 카드뮴, 구리, 납, 망간, 아연, 총수은"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53-359, 2007

      6 황영옥, "서울에 유통 중인 해산 어류의 부위별 중금속 분석" 한국분석과학회 19 (19): 342-351, 2006

      7 전준영, "동해 연안산 어류 중의 유해 중금속 함량" 한국수산과학회 40 (40): 362-366, 2007

      8 주현진,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 수은 및 메틸수은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 42 (42): 269-276, 2010

      9 황영옥, "건포류의 수은, 납, 카드뮴 및 비소 함유량" 한국분석과학회 22 (22): 336-344, 2009

      10 Lee BG, "WHO's new recommendation to the permissible levels of toxic substances" 19 : 89-, 1980

      1 목종수, "한국 연안산 해산 무척추동물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94-901, 2010

      2 목종수, "한국 연안산 어류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17-524, 2009

      3 목종수, "한국 연안산 수산물의 일반성분 조성 및 영양평가" 한국수산과학회 40 (40): 259-268, 2007

      4 이효진, "충남 서산에서 어획된 낙지(Octopus minor)의 중금속 함량과 인체 위해성 평가" 한국수산과학회 43 (43): 270-276, 2010

      5 김희연, "유통 중인 어류의 중금속 모니터링-비소, 카드뮴, 구리, 납, 망간, 아연, 총수은"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53-359, 2007

      6 황영옥, "서울에 유통 중인 해산 어류의 부위별 중금속 분석" 한국분석과학회 19 (19): 342-351, 2006

      7 전준영, "동해 연안산 어류 중의 유해 중금속 함량" 한국수산과학회 40 (40): 362-366, 2007

      8 주현진,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 수은 및 메틸수은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 42 (42): 269-276, 2010

      9 황영옥, "건포류의 수은, 납, 카드뮴 및 비소 함유량" 한국분석과학회 22 (22): 336-344, 2009

      10 Lee BG, "WHO's new recommendation to the permissible levels of toxic substances" 19 : 89-, 1980

      11 Miramand P, "Vari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As, Cd, Co, Cu, Fe, Pb, V and Zn)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common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361 : 132-143, 2006

      12 MOHW(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3 Kim GB, "Specific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quid collected from offshore Korean waters: preliminary results for offshore biomonitoring and food safety assessment" 일본수산학회지 74 (74): 882-888, 2008

      14 Jeong BY,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α-tocoperol content in 72 species of Korean fish" 31 : 160-167, 1998

      15 Jeong BY,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32 : 192-197, 1999

      16 Rashed MN, "Monitoring of environmental heavy metals in fish from Nasser Lake" 27 : 27-33, 2001

      17 Sadiq M, "Metal bioaccumulation by sea urchin (Echinometra mathaei) from the Saudi coastal areas of the Arabian gulf: cadmium, copper, chromium, barium, calcium, and strontium" 57 : 964-971, 1996

      18 Sures B, "Intestinal fish parasite as heavy metal bioindicators: a comparison between Acanthocephalus lucii (Palaeacanthocephala) and the zebra mussel, Dreissena polymorpha" 59 : 14-21, 1997

      19 Cha YS, "Heavy metals in fishery products, sold at fish markets in Seoul" 16 : 315-323, 2001

      20 Raimundo J, "Geographical variation and partition of metals in tissues of Octopus vulgaris along the Portuguese coast" 325 : 71-81, 2004

      21 Ham HJ, "Distribu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 (Hg, Cd and Pb) in fishery products, sold at Garak wholesale markets in Seoul" 17 : 146-151, 2002

      22 Ikebe K,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fish and shellfishes" 32 : 336-350, 1991

      23 Smith JD, "Concentration of the elements Ag, Al, Ca, Cd, Cu, Fe, Mg, Mn, Pb and Zn and the radionuclides 210Pb and 210Po in the digestive gland of the squid Nototodarus gouldi" 13 : 55-68, 1984

      24 Miramand P,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issues of two cephalopods, Eledone cirrhosa and Sepia officinalis, from the French coast of the English channel" 114 : 407-414, 1992

      25 Hwang GS,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bivalves (Solen strictus gould) from tidal flats along the Mid-Western coast, Korea" 27 : 25-34, 2001

      26 Bustamante P, "Bioaccumulation of 12 trace elements in the tissues of the nautilus Natilus macromphalus from New Caledonia" 40 : 688-696, 2000

      27 Chung SJ,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fresh water fishes in the Keum river" 8 : 59-69,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