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지임대차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Lease of Farmland Legal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52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귀농·귀촌 등의 원인으로 농지의 사용·수익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농지임대차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대차를 통한 농지의 이용에 있어서 농지임대차에 관한 규정의 미비점으�...

      최근 귀농·귀촌 등의 원인으로 농지의 사용·수익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농지임대차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대차를 통한 농지의 이용에 있어서 농지임대차에 관한 규정의 미비점으로 인해 임차인의 지위가 불안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농지법은 ``경자유전의 원칙`` 아래 농지에 대한 임대차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농지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택임차인의 보호수준에서 농지임차인을 강력하게 보호하여 왔으나, 농업경쟁력의 저하로 인하여 그 보호의 필요성이 결여되어 농지임차의 보호에 관한 여러 조문들을 폐지하고 서면계약의 원칙, 임대차 기간, 임대차계약에 관한 조정, 묵시의 갱신, 임대인의 지위승계 등 몇 가지 규정만을 두고 있다. 반면에 일본, 독일, 기타 유럽에서는 농지임대차법제를 마련하여 임차인 보호를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농지임대차는 임차인의 보호에 미흡하고, 이에 각국의 농지임대차에 관한 입법례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농지임대차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에 농지문제를 "농업생산성 제고와 농지의 합리적 이용"으로 인식한다면 농지임대차에 있어서도 단순히 허용·금지의 차원을 떠나 농업생산성을 제고하고 어떻게 합리적으로 농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인가의 관점에서 농지임대차에 관한 규정의 미비점을 보완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becoming farmers has increased. As a result, more farmlands have been used and more profits have been created, while the level of farmland lease has increased. Regarding the use of leased farmlands, there seem to be weak...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becoming farmers has increased. As a result, more farmlands have been used and more profits have been created, while the level of farmland lease has increased. Regarding the use of leased farmlands, there seem to be weak points regarding the regulations about the lease of farmlands, causing the lessee`s position unstable and generat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e farmland act prohibits the lease of farmlands in principle under the ``Principle of Farmland Ownership``. The lessees of farmlands have been strongly protected as housing lessees. However, due to the reduction of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such a kind of protection has become worsened, causing various articles for the protection of the lessees of farmlands to be abolished. As a result, there seem to be only a few regulations left, including the principles of written contracts, the period of lease, the adjustment of the lease contracts, the renewal of implied, and the succession of lessor`s status. Meanwhile, such countries as Japan, Germany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have provided various farmland lease laws in order to protect lessees. However, in Korea, there seem to be not enough laws to protect the lessees of farmland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various methods to improve such laws in Korea by observing the legislation cases related to the lease of farmlands in each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farmland lease will continue to increase. If the problems related to farmlands are recognized in terms of "the conside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reasonable use of farmlands", it will be possible to consider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beyond the aspects of allowance` prohibition for the lease of farmlands. Also, it will be possible to supplement the weak points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lease of farmlands by figuring out how reasonable farmlands can be u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해웅, "토지법제론" 부연사 2008

      2 사동천, "농지임대차의 문제점" 법학연구소 11 (11): 131-167, 2010

      1 류해웅, "토지법제론" 부연사 2008

      2 사동천, "농지임대차의 문제점" 법학연구소 11 (11): 131-16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2015-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과정책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원</br>
      2008-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소</b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