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六典>>은 唐代의 官制와 그 운영을 규정한 책으로서 총 30권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唐代의 三師三公, 尙書都省 이하 吏·戶·禮·兵·刑·工部의 六部, 門下省 이하 5省, 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8141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唐六典>>은 唐代의 官制와 그 운영을 규정한 책으로서 총 30권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唐代의 三師三公, 尙書都省 이하 吏·戶·禮·兵·刑·工部의 六部, 門下省 이하 5省, 九�...
<<唐六典>>은 唐代의 官制와 그 운영을 규정한 책으로서 총 30권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唐代의 三師三公, 尙書都省 이하
吏·戶·禮·兵·刑·工部의 六部, 門下省 이하 5省, 九寺, 五
監, 12衛 등에서부터 三府·都督·都護·州縣官吏 등 중앙지방의
여러기관과 관리를 열거하고 있는데, 원문에서는 직관의 편성·
직장을 열거하고 원주에서는 직관의 연혁 혹은 세칙설명을 기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당대의 관제제도는 고려왕조의 관제 형성에
기본 틀을 제시하여 한국의 제도사 연구자에게도 주요한 관심대
상이다.
또한 본서는 내용상 직관에 한정하지 않고 당대 주요사료를 많
이 포함하고 있어 그 시대의 정치·경제상황을 반영하는 중요 사
료이므로 세부적인 연구테마에 접근하기 전의 필독서이다. 그러
나 <<唐六典>>은 그 내용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고서에 관한 전반
적인 선독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연구자들
도 쉽게 접근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唐代史 전공자들이 함께 모여 <<唐六典>>을
윤독하면서 당대 관제의 전반을 파악하고 연구시기와 주제를 달
리하는 연구자들간의 토론을 통하여 좀더 깊게 역사를 이해하고
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