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 로마법 수업의 현황과 과제 =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0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4년 12월 20일(토) 한국법사학회 제110회 정례학술발표회에서 미완성된 메모를 가지고 발표한 것에 약간의 살을 붙여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본격적인 학술논문이 아니며, 그간의 필자의 강의 경험을 보고하고, 또 어떤 의미에서는 교육담당자로서의 한계와 고충을 고백하는 성격의 글이다. 발표 때에 비하여 내용적으로 크게 덧붙여진 것은 없지만, 그때 설문만 제시하고 그에 대한 답안은 제시하지 않았던 것을 모범답안과 함께 실었다는 점에서는 보완된 것이다. 이렇게 한 이유는 이 글이 단순히 교육 현황에 대한 보고에 그치지 않고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로마법이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예시적 사례를 제공하려는 바람에서이다. 로마법 공부가 현행법, 특히 현행 민법을 공부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모범답안에서 의식적으로 현행 민법에 대한 언급을 적절히 배합하였다. 로마법의 후예로서 많은 경우 그 법리와 대동소이한 모습을 보이므로 현행법을 지시하는 것이 결코 장식적이거나 단순한 비교법적 흥밋거리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도 싶었다. 로마법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공유된 인식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로마법 교육은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우리의 경우 법학전문대학원 출범 후 기초법학 분야는 예상했던 대로 침체 일로에 들어선 인상이다. 이 글을 계기로 斯界의 同學들이 현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결의 실마리라도 함께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4년 12월 20일(토) 한국법사학회 제110회 정례학술발표회에서 미완성된 메모를 가지고 발표한 것에 약간의 살을 붙여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본격적인 학술논문이 아니며,...

      이 글은 2014년 12월 20일(토) 한국법사학회 제110회 정례학술발표회에서 미완성된 메모를 가지고 발표한 것에 약간의 살을 붙여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본격적인 학술논문이 아니며, 그간의 필자의 강의 경험을 보고하고, 또 어떤 의미에서는 교육담당자로서의 한계와 고충을 고백하는 성격의 글이다. 발표 때에 비하여 내용적으로 크게 덧붙여진 것은 없지만, 그때 설문만 제시하고 그에 대한 답안은 제시하지 않았던 것을 모범답안과 함께 실었다는 점에서는 보완된 것이다. 이렇게 한 이유는 이 글이 단순히 교육 현황에 대한 보고에 그치지 않고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로마법이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예시적 사례를 제공하려는 바람에서이다. 로마법 공부가 현행법, 특히 현행 민법을 공부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모범답안에서 의식적으로 현행 민법에 대한 언급을 적절히 배합하였다. 로마법의 후예로서 많은 경우 그 법리와 대동소이한 모습을 보이므로 현행법을 지시하는 것이 결코 장식적이거나 단순한 비교법적 흥밋거리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도 싶었다. 로마법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공유된 인식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로마법 교육은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우리의 경우 법학전문대학원 출범 후 기초법학 분야는 예상했던 대로 침체 일로에 들어선 인상이다. 이 글을 계기로 斯界의 同學들이 현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결의 실마리라도 함께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mplified version of my presentation on December 20th, 2014 before the colleagues of the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The presentation style is preserved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 as a report of personal teaching experiences in Roman law at my law school. The curriculum of my school takes into account the basic fields of law like Roman law, legal history, philosophy of law, etc. as a group out of which a student must hear one of his free choice. In that I am essentially in a good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lleagues of other schools. However, the situation seems in reality not so different as may appear at first sight. As most of the scholars predicted, the balance-sheet shows that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Roman law plays even meager role than ever before evidently on account of an one-sided orientation to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of the law students as a whole. Besides, there exist as before continuing difficulties in procuring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The most urgent task is to provide with reading materials in Korean. Not to mention the original legal texts of the Romans which are written either in Latin or in Greek, available materials are mostly written in European languages not accessible for the most of Korean jurists. For all that, I present selected examples from my lectures to help enable the Korean public to get an impression Roman law conveys even today. The prospect for the future of Roman law is indeed not bright, but an ideal paradigm for the theory of decision-making and of legal reasoning the classical jurists’ achievements offer can, as Franz Wieacker once ascertained, still be put to use in our society toda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evokes intensified interest and dedication to the issue on the side of the legal scholars and practical jurists alike and helps overcome the difficulties confronting us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mplified version of my presentation on December 20th, 2014 before the colleagues of the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The presentation style is preserved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 as a report of personal teaching experience...

      This paper is an amplified version of my presentation on December 20th, 2014 before the colleagues of the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The presentation style is preserved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 as a report of personal teaching experiences in Roman law at my law school. The curriculum of my school takes into account the basic fields of law like Roman law, legal history, philosophy of law, etc. as a group out of which a student must hear one of his free choice. In that I am essentially in a good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lleagues of other schools. However, the situation seems in reality not so different as may appear at first sight. As most of the scholars predicted, the balance-sheet shows that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Roman law plays even meager role than ever before evidently on account of an one-sided orientation to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of the law students as a whole. Besides, there exist as before continuing difficulties in procuring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The most urgent task is to provide with reading materials in Korean. Not to mention the original legal texts of the Romans which are written either in Latin or in Greek, available materials are mostly written in European languages not accessible for the most of Korean jurists. For all that, I present selected examples from my lectures to help enable the Korean public to get an impression Roman law conveys even today. The prospect for the future of Roman law is indeed not bright, but an ideal paradigm for the theory of decision-making and of legal reasoning the classical jurists’ achievements offer can, as Franz Wieacker once ascertained, still be put to use in our society toda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evokes intensified interest and dedication to the issue on the side of the legal scholars and practical jurists alike and helps overcome the difficulties confronting us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수업 현황
      • Ⅱ. 교육 목표
      • Ⅲ. 교재와 수업자료
      • Ⅳ. 수업의 진행
      • [국문 요약]
      • Ⅰ. 수업 현황
      • Ⅱ. 교육 목표
      • Ⅲ. 교재와 수업자료
      • Ⅳ. 수업의 진행
      • Ⅴ. 과제물 및 시험(중간시험, 기말시험)
      • Ⅵ. 회고와 반성
      • Ⅶ. 향후의 과제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28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