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3696
1997
Korean
510.5
학술저널
155-167(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환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 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경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 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e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ntification of serum ABV DNA is very improtant for the assessment of the disease activity in persistent infec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infectivity of an individuals blood. The dot blot, however, has limited sensitivity and sometimes inc...
The identification of serum ABV DNA is very improtant for the assessment of the disease activity in persistent infec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infectivity of an individuals blood.
The dot blot, however, has limited sensitivity and sometimes inconsistemt with other serological makers and clinical settings. Using the most important recent advance in molecular biolog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specific DNA sequences can be amplified more than a million-fold in a few hours and with this technique the detection of the extreme low level of DNA is possibl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nsitivity of the PCR for the serum HBV DNA on comparison with dot bolt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 serum HBV DNA statu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PCR in patients with chronic HBsAg positive liver disea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patients with asymptomatic HBsAg carriers(9 HBeAg positive patients, 8 anti-HBe positive patients), 91 chronic hepatitis B(50 HBeAg positive patients, 41 anti-HBe positive patients), 57 liver cirrhosis (21 HBeAg positive patients, 36 anti-HBe positive patients), 27 hepatocellular cacinoma(10 HBeAg positive patients, 17 anti-HBe positive patient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ing;
The detection rates of HBV DNA by dot blot, PCR were 58.9%, 72.2% in HBeAg positive patients, 34.3%, 53.9% in anti-HBe positive patients. the detection rates of HBV DNA by HBeAg negative patients were 25.0% in asymptomatic HBsAg carriers, 61.0% in chronic hepatitis B, 52.8% in liver cirrhosis, 52.9% in hepatocellular carcinima. The positive rate for HBV DNA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BeAg positive and negative asymptomatic HBsAg carrier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other group.
In conclusions, this study conformed that the PCR is much more sensitive than the dot blot analysis in detecting the HBV DNA in the sera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xease. the presence of HBV DNA in the serum was detected by PCR with higher sensitivity and it suggested that active viral replication is still going on the in most patients with chronic HBsAg positive liver disease irrespective of HBeAg/anti-HBe status, and PCR may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in asymptomatic HNsAg carriers.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기 감염에 대한 Clarithromycin의 임상 효과
Epstenin-Barr virus와 두경부 악성종양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3 | 0.03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