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항 해운 네트워크 중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태평양·유럽항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Maritime Network Centrality of the Busan Port : Focusing on Transpacific Route and Asia-Europe Rou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개념을 활용하여 동서기간 항로상에서 부산항이 보유한 중심성에 대해 측정하고 경쟁항만과의 상호비교를 통해 부산항의 해운네트워크 중...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개념을 활용하여 동서기간 항로상에서 부산항이 보유한 중심성에 대해 측정하고 경쟁항만과의 상호비교를 통해 부산항의 해운네트워크 중심성의 특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사회연결망분석의 핵심개념인 중심성(centrality)을 바탕으로 연결정도, 근접, 사이, 아이겐벡터 등 총 4개의 중심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항은 태평양항로에 있는 항만들과의 직·간접적 연결정도에서 압도적인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항만의 교량(橋梁)적 지위, 즉 환적항으로서의 위치를 나타낸 매개 중심성 지표에서도 매해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유럽항로의 경우 낮은 중심성을 나타냈다. 특히 항만 간 간접적 연결정도까지 고려한 근접 중심성에서는 매우 취약한 연결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산항이 단순히 태평양항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허브의 역할을 하는 항만이 되기 위해서는 유럽항로상에서 보유한 취약한 중심적 지위를 개선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measured the centrality of Busan Port on the east-west route using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Port's shipping network centrality through mutual comparison with competing ports. Based on...

      This study measured the centrality of Busan Port on the east-west route using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Port's shipping network centrality through mutual comparison with competing ports. Based on centrality, a core concept of social network analysis, it was analyzed in a total of four aspects of centrality: degree of connection, proximity, relationship, and Eigenvec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usan Port was in an overwhelming position in the degree of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 with ports on the Pacific route. In particular, it ranked high every year in the mediating centrality index indicating the port's bridge position, that is, its position as a transhipment port. However, European routes showed low centralit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t has a very weak network in proximity centrality considering the degree of indirect connection between por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Busan Port to become a port that serves not only as a Pacific route but also as a global hub, a strategy to improve its weak central position on European routes is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동향정보"

      2 김경식, "최근 10년간 보도된 스포츠-승부조작 신문기사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1 (31): 21-41, 2018

      3 강동준, "정기선사의 항만 네트워크 지수가 항만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 "연합뉴스"

      5 이상윤, "아시아 - 유럽 컨테이너 해운 네트워크 구성 항만의 구조적 등위성과 역할 등위성"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05-122, 2016

      6 박천웅, "식민지 조선 변호사의 연결망, 계층화, 협업: 조선고등법원 민사 상고 사건 판결록(1910-23)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19-162, 2016

      7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4

      8 강동준,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73-96, 2014

      9 임병학, "선사 국적을 기반으로 한 아시아 주요 항만 네트워크 비교: 사회네트워크분석(SNA)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6 (6): 45-56, 2011

      10 박기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변화 분석 :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97-122, 2016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동향정보"

      2 김경식, "최근 10년간 보도된 스포츠-승부조작 신문기사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1 (31): 21-41, 2018

      3 강동준, "정기선사의 항만 네트워크 지수가 항만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 "연합뉴스"

      5 이상윤, "아시아 - 유럽 컨테이너 해운 네트워크 구성 항만의 구조적 등위성과 역할 등위성"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05-122, 2016

      6 박천웅, "식민지 조선 변호사의 연결망, 계층화, 협업: 조선고등법원 민사 상고 사건 판결록(1910-23)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19-162, 2016

      7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4

      8 강동준,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73-96, 2014

      9 임병학, "선사 국적을 기반으로 한 아시아 주요 항만 네트워크 비교: 사회네트워크분석(SNA)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6 (6): 45-56, 2011

      10 박기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변화 분석 :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97-122, 2016

      11 박한힘, "사회연결망 분석기법(SNA)을 활용한 기후변화 분야 공동연구네트워크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19) : 177-205, 2017

      12 조장식,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복수전공 유입 및 유출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693-701, 2012

      13 김태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영화 시장의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93-107, 2014

      14 전진태,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에 기반을 둔 지휘통제체계 시각화" 37 (37): 94-98, 2010

      15 이상윤, "동서기간항로 항만중심성에 관한 연구 - 사회 연결망 분석을 기반으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0 (30): 74-104, 2015

      16 이상윤, "국제해운환경 변화요인의 추출 및 중요도 평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4 (34): 225-250, 2019

      17 송민근, "국제 해상운송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연구 - Maersk 선사의 Container 운송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 33 (33): 1-19, 2017

      18 김봉철, "고등학생들의 원자력 인식구조에 대한 언어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78-590, 2015

      19 Mitchell, J. C.,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9

      20 이정행, "SNA분석을 활용한 아시아-미주 항로의 해운네트워크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6 (36): 133-159, 2020

      21 김재철, "SNA를 이용한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해운물류분야 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7 (37): 229-253, 2021

      22 전준우, "SNA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크루즈 항로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7-28, 2016

      23 박성훈, "SNA 방법을 통한 연안해운 승객 중심성이동변화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34 (34): 527-544, 2018

      24 Drewry, "Container Forecaster & Annual Review 2019/20 Quarter 3 October 2019" Drewry Maritime Research 2019

      25 Drewry, "Container Forecaster & Annual Review 2018/19 Quarter 3 October 2018" Drewry Maritime Research 2018

      26 Drewry, "Container Forecaster & Annual Review 2017/18 Quarter 3 October 2017, Drewry Maritime Research"

      27 Ducruet, C.,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 networks: revisiting the Northeast Asian port hierachy" 37 : 17-36,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8 0.943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