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화(文化) : 『금인초(錦人抄)』 소고(小考) = Literature : Treatise(小考) on the GEUMINCHO (『錦人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8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는 『錦人抄』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錦人抄』는 『錦南詩集』의 選集으로 청주 송곡에 세거지를 둔 『錦南詩集』의 작자인 금남 김상범의 후손인 北隱 金東說의 書架에서 발굴...

      본 논고는 『錦人抄』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錦人抄』는 『錦南詩集』의 選集으로 청주 송곡에 세거지를 둔 『錦南詩集』의 작자인 금남 김상범의 후손인 北隱 金東說의 書架에서 발굴되어 처음으로 본 논고에서 연구 자료로 삼게 되었다. 그동안 청주지역에 대한 지역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더구나 이 지역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문학 작품을 남긴 인물들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에서 『錦人抄』는 조선시대 청주 지역에 세거한 가문의 현황과 활동은 물론 19세기에 활동한 유림의 동향 등 이 지역에 대한 지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錦人抄』의 고찰이 지역사 연구에 발돋움이 될까 하는 의도에 주안점을 두어 먼저 『錦人抄』의 작품 개관을 하였다. 『錦南詩集』에 실려 있는 시와 글은 모두 270題 편 304首 인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필사로 抄錄 되어진 『錦人抄』에는 모두 47首의 작품이 수록 되어져 있음을 확인하여 작품 목록 및 내용적·형식적 분류를 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錦人抄』의 작품내용에서는 『錦人抄』의 형성배경, 『錦人抄』에 드러난 詩意識를 고찰하였다. 금남의 세거지인 송곡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그의 작품을 통하여 형성된 배경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또한 陶淵明처럼 자연 속을 거닐며 시를 읊조리는 삶으로 松谷의 隱君子로서 慶州金氏 世居地에서 선조의 忠孝와 敬義, 詩와 學問을 더욱 면면히 계승한 작자의 시 의식을 통하여 청주지역 松谷에 세거한 경주김씨 및 지역 유림의 문학 활동에 대해 고찰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주지역에 대한 지역학 및 문학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hosun period some family people who lived in Cheongju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contemporary condition and activity and of course confucian scholars` tendency and so on, for this area, district history study a little accomplished. In add...

      In Chosun period some family people who lived in Cheongju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contemporary condition and activity and of course confucian scholars` tendency and so on, for this area, district history study a little accomplished. In addition, this area people who acted and left a variety of literature work whose poetry literature study never exists in the real situation. Only I examine confucian culture in Chungbuk, this area school ties and academic traditions are mentioned and the writing which is Cheongju confucian scholars` tendency centering Park, Rojung.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Gyeongju Kim`s family who lived Songgok(松谷) in Cheongju area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the first work, studied in this area confucian scholars` tendency activity. At first Gyeongju Kim`s Gongpyeonggong branch family, Songgok entrance hometown forefather, at first, Songgok Kim, Sik(松谷 金埴) came and acted by his descendants, and I will study assignment this writing of main contents. In Songgok living pla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Gongpyeonggong`s 19th elder son, fildelity Kim, Sangnam(忠臣 金尙男) and his son Kim, Yeosan (金如山)`s spouse, virtuous woman Gimhye Kim`s(婦人 烈女 金海金氏) Jeongryeogak(旌閭閣) is presently existing. After that, the major active person of Gongpyeonggong branch family is 25th elder son Geumnam Kim, Sangbom (錦南 金商範). Geumnam taught as a village school schoolmaster in region and was excellent the poetry and prose. He was actively met poetry meeting(詩會) with the region literary man. And I used with article data through excavation of poetry and prose book, Geumnam Collective Poems (『錦南詩集』) recently in2007 which Geumnam left. Since 2010, I used this study`s data by excavation of Gemincho(『錦人抄』). The Gemincho(『錦人抄』) is collected for its work from Geumnam Collective Poems (『錦南詩集』) and is compiled. That is deeper illuminated the author Kim, Sangnam`s poetry world and will be a help for district history study and contemporary condition of confucian scholars who acted in Cheongju area in Chosun period, I thin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김의환, "충북지역의 유교문화와 문화권" 9 : 2007

      3 정진영, "조선후기 동성마을의 형성과 사회적 기능" 국사편찬위원회 21 : 1991

      4 김경재, "조선조 기묘명현 십청헌 김세필선생의 생애와 사상" 십청헌김세필선생문화재사업회 1999

      5 문숙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경인문화사 2004

      6 유홍준, "완당평전 1∼3" 학고재 2002

      7 고성훈, "김홍욱의 민생론과 정치활동, In 상촌 김자수와 그 후예" 상촌사상연구회 2003

      8 류주희, "김영유의 생애와 정치사상, In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 집문당 2003

      9 이상태, "기호사림파의 일연구-김세필을 중심으로, In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 집문당 2003

      10 정만조, "陰崖 李耔와 기묘사림, In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1 "論語"

      2 김의환, "충북지역의 유교문화와 문화권" 9 : 2007

      3 정진영, "조선후기 동성마을의 형성과 사회적 기능" 국사편찬위원회 21 : 1991

      4 김경재, "조선조 기묘명현 십청헌 김세필선생의 생애와 사상" 십청헌김세필선생문화재사업회 1999

      5 문숙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경인문화사 2004

      6 유홍준, "완당평전 1∼3" 학고재 2002

      7 고성훈, "김홍욱의 민생론과 정치활동, In 상촌 김자수와 그 후예" 상촌사상연구회 2003

      8 류주희, "김영유의 생애와 정치사상, In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 집문당 2003

      9 이상태, "기호사림파의 일연구-김세필을 중심으로, In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 집문당 2003

      10 정만조, "陰崖 李耔와 기묘사림, In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11 金商範, "錦南詩集"

      12 "通鑑"

      13 김영유, "退齋集"

      14 "詩經"

      15 "訥齋集續集"

      16 "英祖實錄"

      17 田愚, "艮齋集"

      18 "漢韓大辭典"

      19 이석린, "滄菴 朴魯重의 생애와 학맥-19∼20세기 초반 청주유림의 동향에 대한 시론" 8 : 2004

      20 "淸州鄕校誌 上·下"

      21 "淸州市誌"

      22 이병연, "朝鮮寰輿勝覽"

      23 "戰國策"

      24 신병주, "成運의 학문과 교유관계" 4 : 2002

      25 "成宗實錄"

      26 "慶州金氏恭平公宗派世譜"

      27 金義煥, "慕溪 趙綱의 鄕村社會 活動과 淸州士族의 動向" 조선시대사학회 (32) : 53-93, 2005

      28 朴翼東, "小近齋集"

      29 "大漢和辭典"

      30 "大東地名辭典"

      31 "唐詩全書"

      32 "古文眞寶"

      33 "事文類聚"

      34 이정우, "17~18세기 충주지방 서원과 사족의 당파적 성격" 109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