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에 있어서 초정광천수의 사회적 변화 -음료산업과 소유권을 중심으로- = Social Change of Chojeong Mineral Water in Japanese Colonial Era -Focused on Industry and Prope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정광천수는 한국의 근대 물 산업의 역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일제강점기 때 초정광천수를 기반으로 근대 물 산업이 시작되었고, 또한 세계3대광천수로 발전했기 때문이...

      초정광천수는 한국의 근대 물 산업의 역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일제강점기 때 초정광천수를 기반으로 근대 물 산업이 시작되었고, 또한 세계3대광천수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과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거의 밝혀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근대 물 산업의 성립과정과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첫 번째 연구로서, 산업과 소유권을 중심으로 초정광천수의 사회적 변화를 조사한 것에 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4점이 밝혀졌다. 1. 초정광천수가 일본인의 소유로 넘어간 것은 1907년이고, 탄산수 제조공장을 설립해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1921년 8월로 나타난다. 그리고 1939년 이왕직 소유가 된 것으로 나타난다. 2. 초정광천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하나의 기업이 아니라, 나카하라의 中原天然炭酸水工場, 시바타의 柴田炭酸水場, 고바야시의 忠北天然炭酸(주)라는 3개의 기업에 의해 음료산업이 형성 발전해 왔고, 이들은 주로 1호천, 2호천, 3호천이라는 3개의 원천을 기반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나타난다. 3. 그리고 이들 음료산업은 천연탄산수와 천연가스를 결합한 특수한 제조공법과 초정광천수에 대한 과학적 성분분석을 통해 세계적인 상품으로 발전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들 음료산업은 탄산수장과 충북선 열차(내수역)를 연결하는 패키지 상품(백중행사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하나의 산업체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성을 갖는 하나의 장소로 발전한 것으로 나타난다. 4. 즉 일제강점기때 새롭게 시작된 음료산업은 특수한 제조공법과 과학적 성분분석이 연계되고, 지역과 산업이 결합되면서 하나의 대표적인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공간적 범위는 음료제품이 제조된 3개의 원천과 공장뿐만 아니라, 축제와 관련해 거리와 마을이 발전되고, 또한 충북선 열차(내수역)가 이러한 음료산업의 유통과 사람들의 중요한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면서, 초정이라는 하나의 커다란 장소성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jeong mineral water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water industry. Chojeong mineral water formed the basis of modern water indus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became one of the world’s three mineral w...

      Chojeong mineral water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water industry. Chojeong mineral water formed the basis of modern water indus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became one of the world’s three mineral water. It is not identified how the development has been made. A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water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ocial change of Chojeong mineral water focused on industry and ownership. The result showed four important points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ownership of Chojeong mineral water was transferred to Japan in 1907 and carbonated water production plant was established and commenced on August 1921. In addition, the plant became a property of Lee Wang-jik in 1939. 2. It is known that Chojeong mineral water has developed by a company, but in fact the beverage industry has developed by three companies, Nakahara Natural Carbonated Water Cooperation, Shibata Carbonated Water Place and Chungbuk Natural Carbonated Cooperation which is located in Kobayashi. It was found that these companies hav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ree sources including 1st, 2nd and 3rd water supply sources. 3. Through unique manufacturing methods of combining natural carbonated water and natural gas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Chojeong mineral water, world’s famous product was developed in the field of beverage industry. In addition, packages (event for Buddhist all souls’ day) connecting carbonated water place with Chungbuk line (Naesu station) were developed and this led the beverage industry to be a pla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not just a industry. 4. That is, a new beverage industry begu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is growing into a major industry based on the connection of unique manufacturing methods and scientific analysis of components and the combination of region and industry. Therefore, the spatial range of the development is not limited to the three water supply sources and plants beverages manufactured. As streets and villages are developed through local festivals and the Chungbuk line (Naesu station) acted as means of distribution of beverag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a large placeness of Chojeong is form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大態春峰, "「淸州沿革誌」大正12年 10月 15日 發行"

      2 駒田亥久雄, "「朝鮮地質調査要報: 第七卷[椒井里冷炭酸鑛泉調査報文」大正15년 3月 31日 發行"

      3 天野行武, "「忠北産業誌」大正12년 2月 28日 發行"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회사"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자료집성"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인물자료"

      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세종왕조실록-세종실록, 세조실록-"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세종실록지리지>충청도>청주목"

      9 忠淸北道, "충북100년 연표(1986-2002)" 2004

      10 忠淸北道, "충북 100년" 1996

      1 大態春峰, "「淸州沿革誌」大正12年 10月 15日 發行"

      2 駒田亥久雄, "「朝鮮地質調査要報: 第七卷[椒井里冷炭酸鑛泉調査報文」大正15년 3月 31日 發行"

      3 天野行武, "「忠北産業誌」大正12년 2月 28日 發行"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회사"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자료집성"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 인물자료"

      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세종왕조실록-세종실록, 세조실록-"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세종실록지리지>충청도>청주목"

      9 忠淸北道, "충북100년 연표(1986-2002)" 2004

      10 忠淸北道, "충북 100년" 1996

      11 임동철, "초정행궁터의 복원과 문화컨텐츠개발" 2009

      12 충북일보, "청주청원통합으로 본 초정약수 (2014.07.24)"

      13 NAVER, "뉴스라이브러리(초정 관련기사 56건)"

      14 김해중, "椒井里 鑛泉水에 대한 고찰" 14 (14): 1981

      15 朝鮮總督府, "朝鮮年鑑" 1945

      16 朝鮮總督府, "朝鮮年鑑" 1943

      17 朝鮮功勞者銘鑑刊行會, "朝鮮功勞者銘鑑" 朝鮮總督府 19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2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