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웅군담소설의 연구사적 조망 = Paper : Historical Prospect of Heroic Martial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7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eroic martial novel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ree main issues: firstly, how has the understanding/percep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been formed and changed; secondly, how can the heroic martial novels be conceptualized; thirdly, what kind of perspective should be taken in order to have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With regard to the first issue, the concept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has been changed from martial novels to heroic novels and the concept of heroic novels also has changed from ``the novel which has the biography of a hero as its main structure`` to ``the novel which has the separation and reunion of the family as its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as ``the epic of the family`` raises problems. With regard to the second issue, focusing on the conflicts an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s, the heroic martial novels should be defined and conceptualized as ``the novel which shows that the hero with the mandate from heaven restores the Chinese-oriented national order disrupted/overturned by the invasion of the foreign enemies through the martial confrontation. Besides, the narrative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consists of the two narrative axles: ``the epic of the nation`` and ``the epic of the family``. The core of its concept is ``the epic of the nation``, but the center of the interpretation is not fixed. With regard to the third issue, to get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in approaching it, the mi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particular narrative story only should be abandoned, and rather,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epic of the nation`` should be taken.
      번역하기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eroic martial novel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ree main issues: firstly, how has the understanding/percep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been formed and changed; secondly, how can the heroic martial novels b...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eroic martial novel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ree main issues: firstly, how has the understanding/percep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been formed and changed; secondly, how can the heroic martial novels be conceptualized; thirdly, what kind of perspective should be taken in order to have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With regard to the first issue, the concept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has been changed from martial novels to heroic novels and the concept of heroic novels also has changed from ``the novel which has the biography of a hero as its main structure`` to ``the novel which has the separation and reunion of the family as its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as ``the epic of the family`` raises problems. With regard to the second issue, focusing on the conflicts an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s, the heroic martial novels should be defined and conceptualized as ``the novel which shows that the hero with the mandate from heaven restores the Chinese-oriented national order disrupted/overturned by the invasion of the foreign enemies through the martial confrontation. Besides, the narrative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consists of the two narrative axles: ``the epic of the nation`` and ``the epic of the family``. The core of its concept is ``the epic of the nation``, but the center of the interpretation is not fixed. With regard to the third issue, to get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in approaching it, the mi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particular narrative story only should be abandoned, and rather,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epic of the nation`` should be tak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증보 조선소 설사" 한길사 1990

      2 김현양, "조선조 후기의 군담소설 연구-개념, 유형, 성격 문제를 중심으로" 연세대 1994

      3 김태준, "조선소설사 수정증보판" 학예사 1939

      4 성현경, "적강소설 연구, In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 출판부 1981

      5 전성운, "장편 국문소설의 변모와 영웅소설의 형성" 고려대 2000

      6 심재숙, "장백전과 唐秦演義의 관계를 통해 본 영웅소설 형성의 한 양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32 : 1993

      7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0 : 1971

      8 강상순, "영웅소설의 형성과 변모양상 연구" 고려대 1991

      9 김연호, "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에 관한 연구-방각본을 중심으로" 고려대 1993

      10 진경환, "영웅소설 통속성 재론" 창작과비평사 3 : 1993

      1 박희병, "증보 조선소 설사" 한길사 1990

      2 김현양, "조선조 후기의 군담소설 연구-개념, 유형, 성격 문제를 중심으로" 연세대 1994

      3 김태준, "조선소설사 수정증보판" 학예사 1939

      4 성현경, "적강소설 연구, In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 출판부 1981

      5 전성운, "장편 국문소설의 변모와 영웅소설의 형성" 고려대 2000

      6 심재숙, "장백전과 唐秦演義의 관계를 통해 본 영웅소설 형성의 한 양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32 : 1993

      7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0 : 1971

      8 강상순, "영웅소설의 형성과 변모양상 연구" 고려대 1991

      9 김연호, "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에 관한 연구-방각본을 중심으로" 고려대 1993

      10 진경환, "영웅소설 통속성 재론" 창작과비평사 3 : 1993

      11 정병설, "여성영웅소설의 전개와 <傅張兩門錄>" 한국고전문학회 19 : 207-235, 2001

      12 장시광,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여화위남’의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 : 2001

      13 박혜숙, "여성영웅소설과 평등, 차이, 정체성의 문제" 민족문학사학회 (31) : 156-193, 2006

      14 서대석, "병자호란과 군담소설, In 도남조윤제박사고희기념논문집" 1976

      15 김열규, "민담과 이조소설의 구조, In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71

      16 서대석, "군담소설의 출현동인 반성"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 : 1971

      17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대 출판부 1985

      18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성과 작자의식" 계명대학교 7 : 1971

      19 이강엽, "군담소설 연구방법론" 연세대 1993

      20 김도환, "고전소설 군담의 확장방식 연구" 고려대 2010

      21 장시광, "‘방한림전’에 나타난 동성결혼의 의미" 국문학회 6 : 2002

      22 이지영, "<장풍운전><최현전><소대성전>을 통해 본 초기영웅소설 전승의 행방" 한국고소설학회 10 : 2000

      23 김도환, "<장백전>의 <규염객전> 수용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27) : 137-165, 2009

      24 박일용, "<유충렬전>의 서사구조와 소설사적 의미 재론" 한국고전문학연구회 8 : 1993

      25 심우장, "<유충렬전>의 담론 특성과 미학적 의의" 서울대 국문과 2003

      26 이상구, "<유충렬전>의 갈등 구조와 현실 인식" 안암어문학회 34 : 2001

      27 김현양, "<유충렬전(劉忠烈傳)>과 ‘가족애(家族愛)’" 한국고소설학회 (21) : 311-334, 2006

      28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연세대 국학연구원 57 : 1988

      29 김현양, ""조웅전"의 현실성과 낭만성"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24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