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거점국립대학 캠퍼스 도서관 휴식공간 유형 분류 및 사용특성 분석 = Relaxation space typ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using of University campus libr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88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목 차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제 2 장 이론적 고찰
      • 2.1 선행연구 고찰 4
      • 2.2 휴식공간의 개념 5
      • 2.3 도서관 휴식공간의 유형 5
      • 2.3.1 공간부속형 7
      • 2.3.2 다층형 7
      • 2.3.3 단층형 7
      • 2.3.4 외부매개형 7
      • 2.4 휴식공간의 분류 8
      • 2.4.1 공간의 계획적 요소 8
      • 2.4.2 실내 환경 요소 9
      • 2.4.3 공간의 사용 목적 10
      • 제 3 장 대상학교의 현황 및 분석
      • 3.1 대상지의 선정 및 개요 11
      • 3.2 조사 및 분석 방법 12
      • 3.3 설문조사 개요 12
      • 3.4 대상 학교의 관찰 및 분석 12
      • 3.4.1 A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13
      • 3.4.2 B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15
      • 3.4.3 C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17
      • 3.4.4 D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19
      • 3.4.5 E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21
      • 3.4.6 F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23
      • 3.4.7 G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25
      • 3.4.8 H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27
      • 3.4.9 I 대학교 도서관 휴식 공간 29
      • 3.5 대상 학교 휴식 공간 계획 요소의 분류 31
      • 3.5.1 공간 계획 요소의 분류 31
      • 3.5.2 디자인 계획 요소의 분류 31
      • 3.5.3 환경 계획 요소의 분류 32
      • 제 4 장 휴식 공간 유형별 행태특성 및 개선방향 분석
      • 4.1 이용자 특성 분석 33
      • 4.2 유형별 이용 행태 분석 35
      • 4.2.1 공간부속형 35
      • 4.2.2 다층형 35
      • 4.2.3 단층형 36
      • 4.2.4 외부매개형 36
      • 4.2.5 휴식 공간 사용빈도 및 요소의 중요도 38
      • 4.3 유형별 이용 만족도 비교 분석 39
      • 4.3.1 공간부속형 40
      • 4.3.2 다층형 40
      • 4.3.3 단층형 40
      • 4.3.4 외부매개형 40
      • 4.4 계획 요소 선호도 분석 42
      • 4.4.1 바닥 요소 선호도 42
      • 4.4.2 벽 요소 선호도 42
      • 4.4.3 천정 요소 선호도 43
      • 4.4.4 천정 요소 선호도 43
      • 4.4.5 공기 요소 선호도 44
      • 4.4.6 소리 요소 선호도 44
      • 4.4.7 조명 요소 선호도 45
      • 4.5 유형별 개선 순위 분석 46
      • 제 5 장 결 론 47
      • □ 참고문헌 49
      • □ Abstract 51
      • □ [부 록1]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