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 생명" 심의민주주의 2002.
2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2004.
3 "행정법의 구조변화로서의 ‘참여’와 ‘협력’" 1쪽.
4 "행정법상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調停" (81) : 2004.10.
5 "새만금소송의 의의와 과제" (81) : 90-, 2004.10
6 "법의 지배와 행정법상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2004.8
7 "댐 주변지역 지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25 (25): 111-, 2003111쪽.
8 "공법적 분쟁에 대한 ADR로서의 국민고충처리위원회 - 사회적 갈등의 해결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며" 51-, 2004.51쪽.
9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률안 추진경과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률" 2005.4.28.
10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정비방향" 639-, 2004639쪽.
1 "환경, 생명" 심의민주주의 2002.
2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2004.
3 "행정법의 구조변화로서의 ‘참여’와 ‘협력’" 1쪽.
4 "행정법상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調停" (81) : 2004.10.
5 "새만금소송의 의의와 과제" (81) : 90-, 2004.10
6 "법의 지배와 행정법상 재판외 분쟁해결수단 -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2004.8
7 "댐 주변지역 지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25 (25): 111-, 2003111쪽.
8 "공법적 분쟁에 대한 ADR로서의 국민고충처리위원회 - 사회적 갈등의 해결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며" 51-, 2004.51쪽.
9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률안 추진경과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률" 2005.4.28.
10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정비방향" 639-, 2004639쪽.
11 "계획법에서의 형량명령" 30 (30): 357-, 2001357쪽.
12 "거버넌스 상황에서 갈등관리를 위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172 : 2005.
13 "갈등해결의 제도적 접근" 2004.
14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4.2.
15 "Why Deliberative Democracy?" Why Deliberative Democracy? 2004.
16 "Peter C." 2002.
17 "Michael Rabinder" 2004.
18 "Mediation und Verwaltungsprozess" 2002.
19 "Mediation im Verwaltungsrecht" 1124-, 2002
20 "Mediation als Methode und Instrument der Konfliktmittlung im öffentlichen Sektor" nvwz2004396.
21 "John S. Deliberative Democracy and Beyond" Dryzek 2001.
22 "Die Rolle des Rechts im Mediationsverfahren" 13-, 2002s.13.
23 "Die Kontrolldichte der Verwaltungsgerichte" Schmidt-Assmann 289-, dvbl.1997.s.289.
24 "Deliberative Politik" Diss. Hamburger 2004.
25 "Deliberative Democracy in America" 2004.
26 "Deliberative Democracy and the Environment"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