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Fungibility 가설을 바탕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225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71098
2023
-
300
학술저널
1-2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Fungibility 가설을 바탕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225개 ...
본 연구는 Fungibility 가설을 바탕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225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365와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의 재정자료를 사용하여 고정효과모형과 FGLS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문화분야 보조금이 지방정부의 문화재정지출에 영향을 미치며, 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분야 보조금이 증가할수록 문화재정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자치단체 유형별로는 시와 군 단위에서 (역)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자치구 단위에는 Fungibility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분야 보조금이 적절히 배분될 수 있도록 문화분야 보조금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뷰티 전공 교육과정에서 가상현실(VR)를 적용한 교육방법 개발 연구
스펙보다는 준비되고 열정있는 젊은이가 채용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