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축 건물로 인한 주거환경의 침해에 관한 사례연구 - 일조, 조망 및 사생활 침해를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f the Infring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New Building - Focused on Sunshine, Views and Privacy Infringemen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1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modern society where many people live in a limited land area, it is inevitable to disturb the living environment of others. The civil law stipulates a life-protection ban and a certain obligation to accept living obstruction, but disputes caused by obstruction of life often lead to lawsuits.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specific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illegality of living obstruction by studying cases surrounding encroachment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is process, we aim to broaden our perception of the illegality of living ob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necessary lawsuits related to living violatio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referred to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damag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attempt to protect the right of sunlight by adding criteria for sunshine time or amount of sunlight. Third, in addition to the quasi-residential areas, regulations related to sunlight should be newly established in the quasi-industrial areas. Fourth, the issue of encroaching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viewed not as a mere violation of property ownership, but as a matter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번역하기

      In a modern society where many people live in a limited land area, it is inevitable to disturb the living environment of others. The civil law stipulates a life-protection ban and a certain obligation to accept living obstruction, but disputes caused ...

      In a modern society where many people live in a limited land area, it is inevitable to disturb the living environment of others. The civil law stipulates a life-protection ban and a certain obligation to accept living obstruction, but disputes caused by obstruction of life often lead to lawsuits.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specific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illegality of living obstruction by studying cases surrounding encroachment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is process, we aim to broaden our perception of the illegality of living ob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necessary lawsuits related to living violatio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referred to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damag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attempt to protect the right of sunlight by adding criteria for sunshine time or amount of sunlight. Third, in addition to the quasi-residential areas, regulations related to sunlight should be newly established in the quasi-industrial areas. Fourth, the issue of encroaching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viewed not as a mere violation of property ownership, but as a matter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 연구의 차별성
      • Ⅲ. 주거 환경의 침해와 그 보호이익
      • Ⅳ. 수인한도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 연구의 차별성
      • Ⅲ. 주거 환경의 침해와 그 보호이익
      • Ⅳ. 수인한도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묘분, "태양광 확보를 위한 국내외 건축법 비교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 28 (28): 85-92, 2012

      2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1999.11.26. 선고 98가합980"

      3 박세민, "지역성과 용도성이 일조방해의 수인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본 재판례 분석" 법학연구원 (32) : 389-420, 2010

      4 김인호, "지속가능한 도시경관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6 (6): 53-67, 2008

      5 한국감정원, "주거환경 침해 부동산의 평가" 한국감정원 2010

      6 조은래, "조망권의 민사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26 (26): 249-276, 2004

      7 구재군, "조망권에 관한 판례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63-88, 2008

      8 이영창, "재판이론과 실무 – 감정 실무 연구 -" 사법연수원 교육발전연구센터 2012

      9 김종진, "재건축외부효과의 경제적 의미에관한 연구" 5 (5): 2007

      10 김판기, "일조권의 침해와 수인한도- 공ㆍ사법간 조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3 (13): 1877-1899, 2013

      1 허묘분, "태양광 확보를 위한 국내외 건축법 비교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 28 (28): 85-92, 2012

      2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1999.11.26. 선고 98가합980"

      3 박세민, "지역성과 용도성이 일조방해의 수인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본 재판례 분석" 법학연구원 (32) : 389-420, 2010

      4 김인호, "지속가능한 도시경관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6 (6): 53-67, 2008

      5 한국감정원, "주거환경 침해 부동산의 평가" 한국감정원 2010

      6 조은래, "조망권의 민사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26 (26): 249-276, 2004

      7 구재군, "조망권에 관한 판례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63-88, 2008

      8 이영창, "재판이론과 실무 – 감정 실무 연구 -" 사법연수원 교육발전연구센터 2012

      9 김종진, "재건축외부효과의 경제적 의미에관한 연구" 5 (5): 2007

      10 김판기, "일조권의 침해와 수인한도- 공ㆍ사법간 조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3 (13): 1877-1899, 2013

      11 전극수, "일조권의 법적 보장" 한국환경법학회 31 (31): 53-84, 2009

      12 송영춘, "일조권가치의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소송감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9

      13 국토교통부, "일조 관련 건축기준 구체화및 행정정보화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 2012

      14 유광흠, "일조 관련 건축 기준 해외사례검토 및 제도 개선방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 (53) : 2012

      15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14.5.28. 선고 2010가합9046"

      16 "인천지방법원 2016.11.29. 선고 2015가단20200"

      17 구본창, "아파트 특성에 따른 가격결정모형연구" 1998

      18 구본창, "아파트 특성별 가격 차이-분당 신도시를 대상으로-" 2001

      19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7.8. 선고 2007가합79119"

      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12.17. 선고 2007가합96794, 2008가합89571(병합)"

      21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8.20. 선고 2007카합1546(흑석동 오륜빌라 사건)"

      22 "서울고등법원 2005.10.28. 선고 2004너56440"

      23 "서울고등법원 2005.10.28. 선고 2004나56457"

      24 "서울고등법원 2004.9.1. 선고 2003나82275"

      25 "서울고등법원 2004.11.11. 선고 2004나26173"

      26 "서울고등법원 2000.7.7. 선고 99나52567, 99나52574(병합)"

      27 "서울고등법원 1996.3.29. 선고 94나11806"

      28 김성남, "생활방해에서 수인한도 적용에 관한 연구 - 판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40 (40): 333-376, 2016

      29 "부산지방법원 1997.7.3. 선고 96가합7055, 96가합19591(병합)"

      30 "부산고등법원 2005.7.8. 선고 2004나19678, 19685(병합), 19692(병합)(부산빌라 사건)"

      31 "부산고등법원 1999.4.29. 선고 98나10656(해운대 사건)"

      32 이승우, "법원의 배상책임 결정사유와 재정결정방향- 공사장, 교통소음과 일조권 침해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법학회 34 (34): 95-128, 2012

      33 "대법원 2014.2.27. 선고 2009다40462(용인 처인구 사건)"

      34 "대법원 2008.12.24.선고 2008다41499"

      35 "대법원 2007.9.7. 선고 2005다72485(덕소 현대아파트 사건)"

      36 "대법원 2007.6.28. 선고 2004다54282(용산 리바뷰아파트 사건)"

      37 "대법원 2007.6.14. 선고 2005다72058(남산공원 사건)"

      38 "대법원 2004.9.13. 선고 2003다64602(고척동사건)"

      39 "대법원 2004.10.28. 선고 2002다63565"

      40 "대법원 2003.11.14. 선고 2003다27108(수서램프 사건)"

      41 "대법원 2002.12.10. 선고 2000다72213"

      42 "대법원 2001.6.26. 선고 2000다44928"

      43 "대법원 2000.5.16. 선고 98다56997"

      44 "대법원 1999.4.29. 선고 98나10656(해운대 사건)"

      45 "대법원 1991.26. 선고 98다23850(롯데아파트사건)"

      46 "대구지방법원 1998.4.15. 선고 95나4972"

      47 "대구고등법원 2010.1.14. 선고 2009나5958"

      48 이승우, "공동주택의 신축으로 인한 일조권침해와 손해배상" 한국환경법학회 37 (37): 155-180, 2015

      49 조순, "경제학원론" 율곡출판사 2009

      50 邊敬花, "立体角により圧迫感と開放感の基準値の検討 - 空間都市における圧迫感と開放感に関する硏究 その3 -" 78 (78): 2013

      51 최창렬, "眺望利益 侵害시 私法的 救濟法理의 再檢討" 한국토지법학회 30 (30): 103-146, 2014

      52 최창렬, "眺望利益 保護에 관한 判例 小考" 한국환경법학회 37 (37): 381-420, 2015

      53 伊藤克三, "日照關係圖表の見方·使い方" オーム社 1976

      54 서해용, "日照權侵害에 관한 私法的 救濟" 한국환경법학회 26 (26): 157-180, 2004

      55 "大阪地裁堺支部 平成8年12月18日判決(判例時報1612号103頁)"

      56 "大阪地裁 昭和54年3月31日決定(判例時報937号58頁)"

      57 宋明圭, "地方公共財가 所得階層別 住居地 分化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연구 : 서울市를 事例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58 "名古屋地裁 昭和51年9月3日判決(判例時報832号9頁)"

      59 "仙台地裁 平成4年6月26日判決(判例時報1448号145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