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 禪歌의 비교문학적 연구-元과 高麗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말에 해당하는 13~14세기에 동아시아에서는 한중일의 임제종 선승들이 매우 활발하게 만나 사상적으로 교류하였다. 역사적으로도 많은 지식인들이 당시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중국으로, 고려에서 중국으로, 중국에서 고려로 활발하게 교류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런데 이들 선사의 사상과 문학이 담겨있는 어록에는 '00歌'라는 제목으로 많은 작품이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선가'라 부르고 이들 작품에 담겨있는 한중일 간의 상호 관련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선가가 한중일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국의 민요, 자국어 시가와 관련을 맺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민요가 불교대중화 과정에서 증도가 형식으로 완성되었고, 고려에서는 선가의 내용이 가사장르의 생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본에서는 단형의 일본 가요의 영향으로 단형의 선가가 유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고려말에 해당하는 13~14세기에 동아시아에서는 한중일의 임제종 선승들이 매우 활발하게 만나 사상적으로 교류하였다. 역사적으로도 많은 지식인들이 당시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

      고려말에 해당하는 13~14세기에 동아시아에서는 한중일의 임제종 선승들이 매우 활발하게 만나 사상적으로 교류하였다. 역사적으로도 많은 지식인들이 당시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중국으로, 고려에서 중국으로, 중국에서 고려로 활발하게 교류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런데 이들 선사의 사상과 문학이 담겨있는 어록에는 '00歌'라는 제목으로 많은 작품이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선가'라 부르고 이들 작품에 담겨있는 한중일 간의 상호 관련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선가가 한중일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국의 민요, 자국어 시가와 관련을 맺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민요가 불교대중화 과정에서 증도가 형식으로 완성되었고, 고려에서는 선가의 내용이 가사장르의 생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본에서는 단형의 일본 가요의 영향으로 단형의 선가가 유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s on some aspects of literature correlations among Yuan(元), Korea dynasty, and Kamakura bakufu(鎌倉幕府) in Japan in the 13~14th century by using a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The poem(song) is zen-song(禪歌) created by zen monks at that century. It has some distinct characteristic comparing with general Chinese poem, for example it use 3.7 or 33777 syllables at some lines, meanwhile a composition in classical Chinese verse has seven syllables regularly(7777...).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title of this song is "○○ga(歌)", and this song contain thought and expressions of Zen sect. The origin of this song style is jeungdoga(證道歌)(song of attainment of Nirvana) written by younggahyeungak(永嘉玄覺) in Tang (唐) dynasty. But this style of zen song were created massively in 13~14c in Yuan, Korea, Kamakura bakufu in Japan. Representative writers of this syle were Jungbonmyeongbon(中峰明本), Seokokcheonggong(石屋淸珙), Cheonyeoyucheuk(天如惟則) in Yuan dynasty, Naonghyegeun(懶翁惠勤), Taegobou(太古普愚) in Korea dynasty, and Cheongjoljeongjing(淸拙正澄) etc. in Kamakura bakufu(鎌倉幕府) in Japan. They had taken a very important role at spreading the thought of zen aroused from China to their nations(Korea, Japa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s on some aspects of literature correlations among Yuan(元), Korea dynasty, and Kamakura bakufu(鎌倉幕府) in Japan in the 13~14th century by using a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The poem(song) is zen-song(禪歌) ...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s on some aspects of literature correlations among Yuan(元), Korea dynasty, and Kamakura bakufu(鎌倉幕府) in Japan in the 13~14th century by using a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The poem(song) is zen-song(禪歌) created by zen monks at that century. It has some distinct characteristic comparing with general Chinese poem, for example it use 3.7 or 33777 syllables at some lines, meanwhile a composition in classical Chinese verse has seven syllables regularly(7777...).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title of this song is "○○ga(歌)", and this song contain thought and expressions of Zen sect. The origin of this song style is jeungdoga(證道歌)(song of attainment of Nirvana) written by younggahyeungak(永嘉玄覺) in Tang (唐) dynasty. But this style of zen song were created massively in 13~14c in Yuan, Korea, Kamakura bakufu in Japan. Representative writers of this syle were Jungbonmyeongbon(中峰明本), Seokokcheonggong(石屋淸珙), Cheonyeoyucheuk(天如惟則) in Yuan dynasty, Naonghyegeun(懶翁惠勤), Taegobou(太古普愚) in Korea dynasty, and Cheongjoljeongjing(淸拙正澄) etc. in Kamakura bakufu(鎌倉幕府) in Japan. They had taken a very important role at spreading the thought of zen aroused from China to their nations(Korea, Jap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