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고령자 고용촉진 정책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비교 대상 국가로는 독일, 핀란드, 영국, 네덜란드, 일본을 선정하였다. 독일과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77798
2021년
Korean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고령자 고용촉진 정책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비교 대상 국가로는 독일, 핀란드, 영국, 네덜란드, 일본을 선정하였다. 독일과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
이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고령자 고용촉진 정책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비교 대상 국가로는 독일, 핀란드, 영국, 네덜란드, 일본을 선정하였다. 독일과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국가이고, 핀란드와 네덜란드, 영국은 최근에 고령자 고용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인 국가이다. 복지국가 체제(welfare regime)를 기준으로 보면, 보수주의 국가로 독일을, 사민주의 국가로 핀란드를, 자유주의 국가로 영국을 포함하고,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강조하는 국가로 네덜란드, 우리나라와 사회문화적, 제도적 특성이 비슷한 일본의 고령자 고용정책을 비교한다는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