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氏聯珠集』은 李廷龜로부터 李明漢과 李昭漢 , 다시 八相으로 이어지는 가계구도에서 그 문학적 전통이 충실히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선집으로 주목을 요한다. 李廷龜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6832
2015
-
『이씨연주집』 ; 이정구 ; 이명한 ; 이소한 ; 이일상 ; 이가상 ; 이은상 ; 이홍상 ; 이만상 ; 이유상 ; 이단상 ; 이익상 ; 당시풍 ; Leessiryeonjujip ; Lee Jeong-gu ; Lee Myeong-han ; Lee So-han ; Lee Il-sang ; Lee Ga-sang ; Lee Eun-sang ; Lee Hong-sang ; Lee Man-sang ; Lee Yu-sang ; Lee Dan-sang ; Lee Ik-sang ; Tang style
810.5
KCI등재
학술저널
107-132(2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李氏聯珠集』은 李廷龜로부터 李明漢과 李昭漢 , 다시 八相으로 이어지는 가계구도에서 그 문학적 전통이 충실히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선집으로 주목을 요한다. 李廷龜ㆍ...
『李氏聯珠集』은 李廷龜로부터 李明漢과 李昭漢 , 다시 八相으로 이어지는 가계구도에서 그 문학적 전통이 충실히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선집으로 주목을 요한다.
李廷龜ㆍ李明漢ㆍ李昭漢ㆍ八相이 지닌 천부적인 자질은 그들의 문학적 표출이나 경향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그들은 단련과 인위적인 수사를 통한 시구의 선택보다는 감성을 기반으로 한 자연스러운 표출이 많았으며 구점과 구호가 그러한 일례이다. 그래서 이정구가계의 문학은 唐風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八相의 시를 논하는 다양한 평어에 다소 표현의 차이가 있으나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豪放과 飄逸로 일컬어지는 이정구ㆍ이명한ㆍ이일상 3대의 평어가 가장 유사하다. 이 유사성은 가계문학의 전승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정구와 김창협은 진정성 추구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농암 김창협은 이정구의 단점으로 체재에 엄격함이 부족하고 격조에 古雅함이 없다는 점을 들었다. 八相은 선대의 문학경향을 계승하면서 몰개성적으로 지어지던 당풍이 가진 한계와 이정구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八相은 이러한 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여, 수사에 있어서 진전을 보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남용익이 이정구가계의 문학에서 이명한을 가장 높이 평가한 부분에서 알 수 있듯 八相이 선대의 문학을 뛰어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八相이 명암 이해조와 진암 이천보로 이어지는 가계의 문학 계승에서 중심에 위치하며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 점은 분명하다. 『李氏聯珠集』은 바로 이 八相의 문학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정구가계인 명암 이해조과 진암 이천보의 문학에 있어서도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의 시를 선대의 문학과 비교해볼 때 심도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선대의 평어와 유사한 '豪放'이라든지 '淸曠'과 '雋逸' 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가계의 시풍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입증한다.
이정구가계의 문학과 그 경향은 주로 시대적 동인이나 교유의 측면에서 문학적 영향관계를 구명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가계문학의 전승이라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ssiryeonjujip』 requires attention as an important anthology of poetry showing that the literary tradition has been handed down faithfully in the family structure leading from Lee Jeong-gu to Lee Myeong-han and Lee So-han, Pal Sang again. The ...
『Leessiryeonjujip』 requires attention as an important anthology of poetry showing that the literary tradition has been handed down faithfully in the family structure leading from Lee Jeong-gu to Lee Myeong-han and Lee So-han, Pal Sang again.
The natural qualities of Lee Jeong-guㆍLee Myeong-hanㆍLee So-hanㆍPal Sang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literary expression or trends. Rather than selecting poetic phrases through training and artificial rhetorics, they usually expressed their emotions naturally and punctuations and mottos are the examples. So the literature of Lee Jeong-gu family line is generally evaluated to be the Tang style.
Despite somewhat differences in expression, various comments that discuss Pal Sang's poems have significantly simila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comments of three generations of Lee Jeong-guㆍLee Myeong-hanㆍLee Il-sang called as broadness and excellence are the most similar.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is similarity originated from the transmission of household literature.
Lee Jeong-gu and Kim Chang-hyeop had the same goal in terms of the pursuit of authenticity. However, Nongam Kim Chang-hyeop pointed out Lee Jeong-gu's disadvantage that rigor is lacking in the system and there is no elegance. While inheriting the literary trend of previous generations, Pal Sang constantly tried to escape the limits of the Tang style made de-individually and the limits of Lee Jeong-gu. By overcoming these points to some degree, Pal Sang showed progress in rhetorics.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Nam Yong-ik evaluated Lee Myeong-han the most highly in the literature of Lee Jeong-gu family lin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Pal Sang exceeded the literature of previous generation. But it is obvious that Pal Sang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literary inheritance of the household leading to Myeongam Lee Hae-jo and Jinam Lee Cheon-bo and played an important link role. 『Leessiryeonjujip』 can be said to be quite valuable in terms of containing the literature of Pal Sang.
The fact is that Nongam Kim Chang-hyeop and Samyeon Kim Changheup's influence also acted on the literature of Myeongam Lee Hae-jo and Jinam Lee Cheon-bo in Lee Jeong-gu family line. Comparing their poems with the literature of previous generations, however, despite a difference in depth, they are evaluated to be 'broad' or 'clear' and 'excellent' similar to comments of previous generations. This proves that the poetical style of the family line has been inherited continuously.
Unlike existing research investigating the literary influence relationship mainly in terms of contemporary drivers or social intercourse, the literature and trend of Lee Jeong-gu family line is a good example showing the need for research in terms of inheritance of family litera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희, "李廷龜와 袁宏道의 遊記 比較 硏究" 한국한문학회 (50) : 273-303, 2012
2 이종묵,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3 박수천, "진암 이천보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16 : 333-357, 2012
4 임유경, "진암 이천보의 문학론" 태동고전연구소 7 : 67-96, 1991
5 강민구, "이천보의 사환기의 문학에 대한 일고찰" 연민학회 6 : 295-325, 1998
6 이명희, "월사 이정구의 한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명희, "월사 이정구의 유기 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趙鍾業, "수정증보 한국시화총편" 태학사 1996
9 조양원, "백주 이명한의 한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10 김성언, "백주 이명한의 삶과 시" 한국한시학회 10 : 161-180, 2006
1 이명희, "李廷龜와 袁宏道의 遊記 比較 硏究" 한국한문학회 (50) : 273-303, 2012
2 이종묵,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3 박수천, "진암 이천보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16 : 333-357, 2012
4 임유경, "진암 이천보의 문학론" 태동고전연구소 7 : 67-96, 1991
5 강민구, "이천보의 사환기의 문학에 대한 일고찰" 연민학회 6 : 295-325, 1998
6 이명희, "월사 이정구의 한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명희, "월사 이정구의 유기 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趙鍾業, "수정증보 한국시화총편" 태학사 1996
9 조양원, "백주 이명한의 한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10 김성언, "백주 이명한의 삶과 시" 한국한시학회 10 : 161-180, 2006
11 이명희, "백주 이명한 한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40 : 163-193, 2015
12 김형술, "백악시단의 진시 연구" 서울대학교 2014
13 이유라, "명암 이해조의 기행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5
14 김형술, "명암 이해조 시문학 연구" 한국한시학회 13 : 183-212, 2009
15 李廷龜, "국역월사집"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003
16 강명관, "공안파와 조선 후기 한문학" 소명 2007
17 李海朝, "鳴巖集" 민족문화추진회
18 李端相, "靜觀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 李一相, "靑湖遺稿"
20 李明漢, "白洲集" 민족문화추진회
21 김성언, "白洲 李明漢의 館閣風 漢詩 연구" 한국한시학회 (15) : 423-444, 2007
22 李昭漢, "玄洲集" 민족문화추진회
23 李翊相, "梅澗集" 민족문화추진회
24 李殷相, "東里集" 민족문화추진회
25 李廷龜, "月沙集"
26 이명희, "月沙 李廷龜의 輓詩 硏究 -輓詩의 典型性 摸索을 中心으로-" 어문연구학회 71 : 179-202, 2012
27 이명희, "月沙 李廷龜와 白沙 李恒福의 교유 일 고찰" 근역한문학회 37 : 219-248, 2013
28 李天輔, "晉菴集" 민족문화추진회
29 김형술, "天機論의 비평사적 의의와 한시 창작상의 功效 —백악시단의 시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22) : 285-324, 2014
30 김성기, "17세기 韓國漢詩史의 構圖" 한국한시학회 (14) : 175-199, 200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과 교육 정보
김광순 소장 필사본 <양추밀전>의 구성방식과 문학적 특징
신자료 언간(諺簡) 「부원군부인 왕후ᄯᅡ님 경계 편지라」의 문학적 성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3 | 0.72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