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8차시로 구성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개교 특수학급에 적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장애학생 환경교육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65440
2020
Korean
539
KCI등재
학술저널
60-75(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8차시로 구성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개교 특수학급에 적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장애학생 환경교육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
이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8차시로 구성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개교 특수학급에 적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장애학생 환경교육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환경의 구성’, ‘환경 감수성과 배려’, ‘환경보전 실천’의 3가지 영역으로, 각 주제는 ‘사계절 이야기’, ‘멸종위기 야생동물’, ‘곤충 탐험’, ‘자연물 운동회’, ‘환경을 위한 에너지’, ‘재활용이 좋아요’, ‘건강한 먹거리’, ‘환경과 나’로 구성하였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첫째, 학생들은 환경수업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었으며, 또한 지속적인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eight lessons for challeng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applied to the special classe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is program consists of three different areas: ‘Compo...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eight lessons for challeng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applied to the special classe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is program consists of three different areas: ‘Compositions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topics of each lesson are ‘Stories of four seasons’, ‘Endangered wild animals’, ‘Explorations of insects’, ‘Nature things olympic’, ‘Energy savings’, ‘I like recycling’, ‘Healthy foods’, and ‘Environment and m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has improved and the students showed practical attitud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the teachers of each class responded that the program helps the students’ motivation and social skill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tinuity of this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영, "환경 안에서의 교육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113-128, 2010
2 진옥화, "환경 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 소양 측정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31-43, 2005
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교육과 SDG4–교육 2030"
4 배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장애학생 환경수업 사례" 31-35, 2018
5 배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사례 연구" 27-31, 2016
6 김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환경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292-306, 2017
7 오연숙,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대상 스마트 팜 교육 및체험 프로그램 운영 사례" 158-159, 2017
8 김태경,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ESD)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교육 -<지속가능성>의 개념 공유를 위한 환경교육과 그 범위-"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67-79, 2006
9 정국초, "정신지체 정서장애 특수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제" 52-57, 2011
10 정국초,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개념화와 특수교육의 생태적 전환" 126-129, 2012
1 박선영, "환경 안에서의 교육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113-128, 2010
2 진옥화, "환경 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 소양 측정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31-43, 2005
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교육과 SDG4–교육 2030"
4 배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장애학생 환경수업 사례" 31-35, 2018
5 배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사례 연구" 27-31, 2016
6 김상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환경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292-306, 2017
7 오연숙,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대상 스마트 팜 교육 및체험 프로그램 운영 사례" 158-159, 2017
8 김태경,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ESD)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교육 -<지속가능성>의 개념 공유를 위한 환경교육과 그 범위-"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67-79, 2006
9 정국초, "정신지체 정서장애 특수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제" 52-57, 2011
10 정국초,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개념화와 특수교육의 생태적 전환" 126-129, 2012
11 김찬국,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인식과 실천 사례"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358-373, 2012
12 왕현정, "숲 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통합학급 학습자의 또래관계 변화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424-442, 2016
1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세계 EFA 현황 보고서 요약본 불평등의 극복: 왜 거버넌스가 중요한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9
14 이대은, "노작교육이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정신지체 아동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429-459, 2002
15 최석진,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개발 연구" 환경부․(사)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16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별책3] 기본 교육과정"
17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별책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18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초․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19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8]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20 Wals, A.,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DESD, 2005-2014): Review of Contexts and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2009
21 Simmons, D., "The NAAEE Standard Project: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22 Stavrianos, A., "The Impact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of a School Garden on Pupi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A Comparative Approach" 3 : 39-43, 2015
23 Schleien, S.,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Outdoor Education : The Impact of Integrating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Peers without Disabilities" 28 (28): 25-34, 1994
24 Roth, C. E.,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s in the 1990's. Columbus, Ohio State University,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25 Lappa, C.,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Special School :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46 (46): 1-10, 2017
26 Chapman, 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wareness – Vol. I -Spe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Learning Disabled"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Publishers/UNESCO 172-192,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해양환경교육 목표 분석을 통한 학교 밖 해양환경교육의 방향 모색
제로에너지주택 거주자들의 변혁적 확장학습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생태학’ 연구의 생태계: 개념 변천 양상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8-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4-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환경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2 | 0.94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