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너지안보의 긍정적 외부효과를 고려한 프랑스와 독일의 석유개발기업 지원정책 연구 = Promotion Mechanism to Oil and Gas E&P Companies in France and Germany Considering Externality from Energy Sec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5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curing energy as a production factor is an important policy goal for countries that pursue continuous economic growth. The government of Korea also promotes oversea resources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ir energy security through expanding their energy resource. In this paper, the externalities of resource development are suggest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government intervention and support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France and Germany are introduced as examples of government directly intervening in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French and German political support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and how firms grow through those supports.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Government support on resource E&P companies should consider various types and durations based on the externalities of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 business. Such ways of support will not on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for Korean E&P companies, bu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nergy security of the nation.
      번역하기

      Securing energy as a production factor is an important policy goal for countries that pursue continuous economic growth. The government of Korea also promotes oversea resources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ir energy security through expanding their en...

      Securing energy as a production factor is an important policy goal for countries that pursue continuous economic growth. The government of Korea also promotes oversea resources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ir energy security through expanding their energy resource. In this paper, the externalities of resource development are suggest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government intervention and support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France and Germany are introduced as examples of government directly intervening in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French and German political support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and how firms grow through those supports.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Government support on resource E&P companies should consider various types and durations based on the externalities of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 business. Such ways of support will not on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for Korean E&P companies, bu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nergy security of the 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에 필요한 생산요소를 확보하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국가에게 중요한 정책 목표이다. 우리나라도 에너지를 확보하여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정책 의지 하에서 해외자원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자원개발에 정부가 개입하고 지원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원개발의 외부효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부가 직접적으로 자원개발기업을 지원하였던 사례로서 프랑스와 독일을 선택하여 각 국의 지원정책의 내용과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국영석유기업이 성장한 과정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자원개발이 갖는 외부효과,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개발사업의 특성, 프랑스와 독일의 지원 사례를 감안할 때 정부의 자원개발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에는 보다 다양한 형태와 기간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원 형태를 통해 국내 자원개발기업들이 상업적 성과를 거두면서, 동시에 국가의 에너지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에 필요한 생산요소를 확보하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국가에게 중요한 정책 목표이다. 우리나라도 에너지를 확보하여 에...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에 필요한 생산요소를 확보하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국가에게 중요한 정책 목표이다. 우리나라도 에너지를 확보하여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정책 의지 하에서 해외자원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자원개발에 정부가 개입하고 지원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원개발의 외부효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부가 직접적으로 자원개발기업을 지원하였던 사례로서 프랑스와 독일을 선택하여 각 국의 지원정책의 내용과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국영석유기업이 성장한 과정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자원개발이 갖는 외부효과,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개발사업의 특성, 프랑스와 독일의 지원 사례를 감안할 때 정부의 자원개발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에는 보다 다양한 형태와 기간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원 형태를 통해 국내 자원개발기업들이 상업적 성과를 거두면서, 동시에 국가의 에너지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경, "해외자원개발의 에너지안보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6-208, 2009

      2 김윤경, "해외 석유개발기업 성장 사례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15-23, 2005

      3 김윤경, "에너지안보를 위한 해외자원개발기업 지원기관 구축 방안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5 (45): 112-121, 2008

      4 小田原洋一, "欧米主要国の海外自主開発政策 における石油産業と政府の関係" 日本エネルギー経 済研究所 2004

      5 田中紀夫, "エネルギー文明史"

      6 OECD, "Toward A Sustainable Energy Future" OECD 6-10, 2001

      7 Bohi, D. R, "The Economics of nergy Security" Kluwer Academic Publisher 1-3, 1996

      8 도현재, "21세기 에너지안보의 재조명 및 강화 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11-35, 2003

      1 김윤경, "해외자원개발의 에너지안보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6-208, 2009

      2 김윤경, "해외 석유개발기업 성장 사례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15-23, 2005

      3 김윤경, "에너지안보를 위한 해외자원개발기업 지원기관 구축 방안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5 (45): 112-121, 2008

      4 小田原洋一, "欧米主要国の海外自主開発政策 における石油産業と政府の関係" 日本エネルギー経 済研究所 2004

      5 田中紀夫, "エネルギー文明史"

      6 OECD, "Toward A Sustainable Energy Future" OECD 6-10, 2001

      7 Bohi, D. R, "The Economics of nergy Security" Kluwer Academic Publisher 1-3, 1996

      8 도현재, "21세기 에너지안보의 재조명 및 강화 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11-3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