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사업에 대한 성공불융자의 효과성 분석 = Effectiveness Analysis of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or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5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obit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rom 1981 to 2008.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is one of the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in terms of securing resources in the long run. In order to estimate whether the system meets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is study used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the overseas resourc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stead of the success rate of the loan and the amount of secured resource reserves. As the result of the Tobit model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amount of the loan and the ratio of the loan among the total inves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enterprises that participate in the resource development and explo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its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번역하기

      Using Tobit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rom 1981 to 2008.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is one of the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in terms of securing resources in the long run. In order t...

      Using Tobit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rom 1981 to 2008.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is one of the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in terms of securing resources in the long run. In order to estimate whether the system meets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is study used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the overseas resourc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stead of the success rate of the loan and the amount of secured resource reserves. As the result of the Tobit model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amount of the loan and the ratio of the loan among the total inves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enterprises that participate in the resource development and explo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uccess Repayable Loan System fits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리나라가 1981년부터 2008년까지 실시한 성공불융자의 실적을 대상으로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성공불융자제도의 효과성을 실증분석하였다. 성공불융자는 우리나라가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융자제도이다. 본 논문은 분석대상을 해외석유개발사업에 한정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융자 효과성을 분석하였으며, 탐사참여기업수와 탐사참여사업수처럼 원활한 사업 추진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이 변수에 대하여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공불융자의 규모와 총투자액에 대한 성공불융자의 비중이 탐사참여기업수, 탐사참여사업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불융자제도는 제도의 본래 목적인 민간기업의 해외자원개발탐사에 대한 참여를 유인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조성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우리나라가 1981년부터 2008년까지 실시한 성공불융자의 실적을 대상으로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성공불융자제도의 효과성을 실증분석하였다. 성공불융자는 우리나라가 장기적이고 ...

      본 논문은 우리나라가 1981년부터 2008년까지 실시한 성공불융자의 실적을 대상으로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성공불융자제도의 효과성을 실증분석하였다. 성공불융자는 우리나라가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융자제도이다. 본 논문은 분석대상을 해외석유개발사업에 한정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융자 효과성을 분석하였으며, 탐사참여기업수와 탐사참여사업수처럼 원활한 사업 추진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이 변수에 대하여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공불융자의 규모와 총투자액에 대한 성공불융자의 비중이 탐사참여기업수, 탐사참여사업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불융자제도는 제도의 본래 목적인 민간기업의 해외자원개발탐사에 대한 참여를 유인하여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조성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산업자원부, "해외자원확보전략 강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2 국회예산정책처, "해외자원개발사업의 평가"

      3 기획재정부, "해외자원개발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8

      4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자원 확보전략 강구" 산업자원부 2000

      5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석유개발의 효율적 추진방안연구"

      6 지식경제부, "해외석유개발사업 참여 일람표"

      7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개발 융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자원경제학회 2009

      8 산업자원부, "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

      9 Greene, W. H, "On the Asymptotic Bias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or of the Tobit Model" 49 (49): 505-513, 1981

      10 Tobin, J,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26 (26): 24-36, 1958

      1 산업자원부, "해외자원확보전략 강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2 국회예산정책처, "해외자원개발사업의 평가"

      3 기획재정부, "해외자원개발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8

      4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자원 확보전략 강구" 산업자원부 2000

      5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석유개발의 효율적 추진방안연구"

      6 지식경제부, "해외석유개발사업 참여 일람표"

      7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개발 융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자원경제학회 2009

      8 산업자원부, "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

      9 Greene, W. H, "On the Asymptotic Bias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or of the Tobit Model" 49 (49): 505-513, 1981

      10 Tobin, J,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26 (26): 24-36, 1958

      11 Greene, W. H, "Econometric Analysis, 6th ed" Pearson Prentice Hall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