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器의 建築樣式的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4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감은사 동삼층석탑에서 수습된 사리기는 수미단 위에 난간을 돌리고 기둥을 세워 천개를 설치한 매우 독특한 형식이다. 기단, 난간, 기둥, 천개 등 구성요소의 특징과 양식적 계통은 일반적...

      감은사 동삼층석탑에서 수습된 사리기는 수미단 위에 난간을 돌리고 기둥을 세워 천개를 설치한 매우 독특한 형식이다. 기단, 난간, 기둥, 천개 등 구성요소의 특징과 양식적 계통은 일반적인 건축적 형식의 전각형 사리장치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수미단과 천개를 갖춘 보각형 사리기로는 유일한 것이다.
      기단은 하대, 중대, 상대로 이루어진 수미단 형식의 건축물의 기단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난간은 세부의 구성방식이나 형태를 통해서 7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의 건축 난간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기둥은 장식의 수법을 대나무로 표현한 공예품이 갖는 조형적 형식을 나타내고, 천개는 당시 통일신라신대의 불교 장엄의 형식과 주거형식이 상장의 형태로 결합되어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리기 형식 중 보각형 사리기는 통일신라시대 고유의 창안으로 평가되는데 감은사지 동삼층석탑의 사리기의 고찰을 통하여 인도와 중국에서 유래한 사리장엄 형식을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전각형 사리기로 발전되는 배경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형식으로서의 보각형 사리기의 의의를 살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ddi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4<SUP>th</SUP> century, but sarira reliquary was brought late 6<SUP>th</SUP> century and 7<SUP>th</SUP> century. Gameem Temple arira case was made in that period. however, the ...

      Buddi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4<SUP>th</SUP> century, but sarira reliquary was brought late 6<SUP>th</SUP> century and 7<SUP>th</SUP> century. Gameem Temple arira case was made in that period. however, the case is technologically very excellent example. It already had Shila’s own originality.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s origin is not clarified. It originated from India or China’s The Royal Palace type for a honorable person. It was on assumption that Buddha’sarira was recognized as Buddha. Whan sarira was originally enshrined, it had majesty mode tp transfering. Enshrined sarira might be in Gameen Temple gold outer sarira. Especially, the coffin lid is the most distinguishable part in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 Itis derived from Donhwang cave’scurtain. It was applied into part of architecture.
      Gameen Temple outer sarira box is composed of a door and handroll architecture element and double roof, so it is a typical type of The Royal Palace type. the developed art object came from Buddhist civilization and Shila’s active foreign relations. It is based on expansion of Shila’s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Gameen Temple sarira reliquary reflects Shila’s high stand in an international point of view and highly developed culture and deeply understanding Buddhist culture.
      However,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 was technologically hard tp make, so the Box type was developed like Nawonlee five stories pagoda inner sarira box. Bulguk Temple’s inner sarira box make a comprise between The Royal Palace type and the box type. In the 9<SUP>th</SUP> century, more variety of sarira reliquary was made, and the India influenced stupa type sarira reliquary was one of that.
      This various kinds of sarira reliquary presents Korean ancient originality and highly developed art culture. From this research, We can understand how the sarira faith was import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사리장엄의 형식과 양식
      • Ⅲ.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기의 건축양식
      • Ⅳ. 나오는 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사리장엄의 형식과 양식
      • Ⅲ.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기의 건축양식
      • Ⅳ. 나오는 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윤식, "한국의 불교미술" 대원정사 2012

      2 申大鉉, "韓國의 舍利莊嚴" 혜안 2003

      3 張忠植, "韓國의 塔" 일지사 1989

      4 張忠植, "韓國의 佛敎美術" 민족사 1997

      5 金恩珠, "韓國 舍利莊嚴具에 關한 硏究 : 金屬製 舍利器를 中心으로"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6

      6 金姸秀, "統一新羅時代 舍利莊嚴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7 강순형, "新羅사리裝置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7

      8 金載元, "感恩寺址發掘調査報告書" 을지문화사 1961

      9 國立文化財硏究所, "感恩寺 東 三層石塔 舍利莊嚴" 2000

      10 姜友邦, "佛舍利裝置" 국립중앙박물관 1991

      1 홍윤식, "한국의 불교미술" 대원정사 2012

      2 申大鉉, "韓國의 舍利莊嚴" 혜안 2003

      3 張忠植, "韓國의 塔" 일지사 1989

      4 張忠植, "韓國의 佛敎美術" 민족사 1997

      5 金恩珠, "韓國 舍利莊嚴具에 關한 硏究 : 金屬製 舍利器를 中心으로"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6

      6 金姸秀, "統一新羅時代 舍利莊嚴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7 강순형, "新羅사리裝置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7

      8 金載元, "感恩寺址發掘調査報告書" 을지문화사 1961

      9 國立文化財硏究所, "感恩寺 東 三層石塔 舍利莊嚴" 2000

      10 姜友邦, "佛舍利裝置" 국립중앙박물관 1991

      11 國立中央博物館, "佛舍利莊嚴" 1991

      12 通度寺聖寶博物館, "佛舍利信仰과 그 莊嚴"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4 0.507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