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영화 제작현장의 성차별 구조: 독립영화계 연출 직군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Systematic Gender Discrimination and Marginalization of Women: Female Directors’ Experiences in the Korean Independent Film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how gender inequaliti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re/produce,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s of women in the independent film production. Women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surrounded by gender division of labor, gendered hierarchy, gendered reputation economy, gendered understanding of ‘skills’ and ‘professionalism’, and gender wage gap. Combined with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poor labor environment of the independent film production, where even making a living is difficult, female directors feel threatened for their survival. In addition, in a strong male-centered network, female directors who lack resources and/or network cannot get an ‘approval’ for their careers and are excluded from participation in commercial film projects, awards at film festivals, support for and investment for film production, etc. Nevertheless, women in the film industry are struggling to survive themselves and to change the film production site and the Korean film industry through daily practice, solidarity, and feminist network building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how gender inequaliti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re/produce,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s of women in the independent film production. Women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surrounded by gender division of labor, gendered...

      This paper explores how gender inequaliti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re/produce,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s of women in the independent film production. Women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surrounded by gender division of labor, gendered hierarchy, gendered reputation economy, gendered understanding of ‘skills’ and ‘professionalism’, and gender wage gap. Combined with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poor labor environment of the independent film production, where even making a living is difficult, female directors feel threatened for their survival. In addition, in a strong male-centered network, female directors who lack resources and/or network cannot get an ‘approval’ for their careers and are excluded from participation in commercial film projects, awards at film festivals, support for and investment for film production, etc. Nevertheless, women in the film industry are struggling to survive themselves and to change the film production site and the Korean film industry through daily practice, solidarity, and feminist network build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지혜, "한국영화산업에서 여성감독의 위상과 전망" 115-127, 2008

      2 김영, "한국영화산업 노동시장의 성차별 실태와 여성배제기제: 여성영화인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3 (43): 5-38, 2019

      3 조혜영, "한국영화 성평등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20

      4 남순아, "찍는페미가 영화계를 바꾼다" (36) : 111-125, 2017

      5 이희진, "영화제작인력의 업무만족 및 근로조건만족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력장애의 매개효과와 성차별인식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85-113, 2018

      6 김숙현, "여성 영화감독의 역할수행 과정과 실천의 구조: 진입단계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79-134, 2018

      7 정이환, "문화산업 노동시장 구조 연구" 561-565, 2004

      8 강이수, "문화노동의 특성과 젠더의 문제: 영국 창조산업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181-211, 2015

      9 김지혜, "독립영화 여성 감독들의 활약…남성 중심·획일화된 흥행 코드에 반기"

      10 김선아, "교육기관과 영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여성신인감독의 영화계 진출 현황" 한국영화학회 (76) : 241-271, 2018

      1 안지혜, "한국영화산업에서 여성감독의 위상과 전망" 115-127, 2008

      2 김영, "한국영화산업 노동시장의 성차별 실태와 여성배제기제: 여성영화인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3 (43): 5-38, 2019

      3 조혜영, "한국영화 성평등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20

      4 남순아, "찍는페미가 영화계를 바꾼다" (36) : 111-125, 2017

      5 이희진, "영화제작인력의 업무만족 및 근로조건만족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력장애의 매개효과와 성차별인식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85-113, 2018

      6 김숙현, "여성 영화감독의 역할수행 과정과 실천의 구조: 진입단계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79-134, 2018

      7 정이환, "문화산업 노동시장 구조 연구" 561-565, 2004

      8 강이수, "문화노동의 특성과 젠더의 문제: 영국 창조산업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181-211, 2015

      9 김지혜, "독립영화 여성 감독들의 활약…남성 중심·획일화된 흥행 코드에 반기"

      10 김선아, "교육기관과 영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여성신인감독의 영화계 진출 현황" 한국영화학회 (76) : 241-271, 2018

      11 주유신,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6) : 31-56, 2019

      12 한국여성단체연합, "[성명] 남배우A사건 성명문 “그것은 연기가 아니라 성폭력입니다”"

      13 이승우, "[매일춘추] 여성감독의 시대를 고대하며"

      14 성폭력상담소, "[기자회견문] 영화를 만드는 상식은 삶의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합니다: ‘남배우A 성폭력 사건’ 항소심 유죄 판결을환영하며"

      15 Conor, B., "Gender and creative labour" 63 (63): 1-22, 2015

      16 Follows, S., "Cut out of the picture: A study of gender inequality amongst film directors in the UK film industry" Directors UK

      17 한국교육개발원, "2021년 대학과정 계열별 개황"

      18 도동준,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2021

      19 이종수, "2020년 영화스태프 근로환경 실태조사" 영화진흥위원회 2021

      20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대학과정 계열별 개황"

      21 이나영, "2019년 영화계 성희롱·성폭력 실태조사" 영화진흥위원회 2021

      22 한국교육개발원, "2019년 대학과정 계열별 개황"

      23 영화진흥위원회 산업정책연구팀, "2017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론과 사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3 1.797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