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15년 9월 마리냐노 전투-프랑수아 1세와 기사 바야르- = September 1515, Battle of Marignano: Francis I and Chevalier Bay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French history, ‘1515’ may be easily associated with ‘Francis I’ and ‘Marignano’.
      In September 1515, French King Francis I defeated the mighty Swiss forces atthe Battle of Marignano and recaptured the Duchy of Milan. Marignano's victorywas the starting point to announce the splendid reign of the young king.
      However, François suffered a devastating defeat by the Holy Roman Empire atthe Battle of Pavia in 1525 and was taken prisoner. The king's honor wastarnished, and the kingdom was in crisis.
      However, the ‘disaster’ of Pavia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monarch's honor as an indomitable knight. The chroniclers and humanists setout to stop the turmoil of the kingdom and restore the majesty of the king. Here,the ‘victory’ of Marignano 10 years ago was highlighted again. The valor andexploits of King Francis and Knight Bayard were widely propagated, and thescene of King receiving his knighthood at the battlefield was finally 'invented'.
      Even today, the ‘legend’ of ‘the knight-king’ and ‘the knight without fear andwithout reproach’ still seem to remain i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French.
      번역하기

      In French history, ‘1515’ may be easily associated with ‘Francis I’ and ‘Marignano’. In September 1515, French King Francis I defeated the mighty Swiss forces atthe Battle of Marignano and recaptured the Duchy of Milan. Marignano's victory...

      In French history, ‘1515’ may be easily associated with ‘Francis I’ and ‘Marignano’.
      In September 1515, French King Francis I defeated the mighty Swiss forces atthe Battle of Marignano and recaptured the Duchy of Milan. Marignano's victorywas the starting point to announce the splendid reign of the young king.
      However, François suffered a devastating defeat by the Holy Roman Empire atthe Battle of Pavia in 1525 and was taken prisoner. The king's honor wastarnished, and the kingdom was in crisis.
      However, the ‘disaster’ of Pavia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monarch's honor as an indomitable knight. The chroniclers and humanists setout to stop the turmoil of the kingdom and restore the majesty of the king. Here,the ‘victory’ of Marignano 10 years ago was highlighted again. The valor andexploits of King Francis and Knight Bayard were widely propagated, and thescene of King receiving his knighthood at the battlefield was finally 'invented'.
      Even today, the ‘legend’ of ‘the knight-king’ and ‘the knight without fear andwithout reproach’ still seem to remain i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Fren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 역사에서 ‘1515년’은 자연스럽게 ‘프랑수아 1세’와 ‘마리나노’를 연상시킨다.
      1515년 9월, 프랑수아는 마리냐노 전투에서 막강 스위스군을 꺾고 밀라노를 탈환했으며 이탈리아 원정을 승리로 장식했다. 마리냐노의 승리는 젊은 왕의 화려한 치세를 알리는 출발점이었다. 하지만 프랑수아는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에 엄청난 참패를 당하고 포로 신세가 되었다. 국왕의 명예는 실추되고 왕국은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파비아의 ‘참사’는 오히려 불굴의 기사로서의 군주의 영예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다. 연대가작가와 인문주의자들은 왕국의 동요를 막고 국왕의 위엄을 되살리려나섰다. 여기서 10년 전 마리냐노 전투의 승리가 새삼 부각되었다. 기사 바야르와 국왕 프랑수아의 무훈과 용맹이 널리 선전되고, 마침내 국왕 프랑수아가 바야르에게 기사서임받는 멋진 장면이 ‘발명’되었다. 요컨대 파비아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에, 명예를존중하는 ‘기사-국왕’ 프랑수아가 탄생한 것이다. 오늘날에도 ‘기사-국왕’과 ‘겁도 없고 흠도 없는 기사’의 ‘전설’은 기사서임 장면의 진위 여부와는 관계없이 여전히 프랑스인들의 집단 기억 속에 남아 있는 듯하다.
      번역하기

      프랑스 역사에서 ‘1515년’은 자연스럽게 ‘프랑수아 1세’와 ‘마리나노’를 연상시킨다. 1515년 9월, 프랑수아는 마리냐노 전투에서 막강 스위스군을 꺾고 밀라노를 탈환했으며 이탈리아 ...

      프랑스 역사에서 ‘1515년’은 자연스럽게 ‘프랑수아 1세’와 ‘마리나노’를 연상시킨다.
      1515년 9월, 프랑수아는 마리냐노 전투에서 막강 스위스군을 꺾고 밀라노를 탈환했으며 이탈리아 원정을 승리로 장식했다. 마리냐노의 승리는 젊은 왕의 화려한 치세를 알리는 출발점이었다. 하지만 프랑수아는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에 엄청난 참패를 당하고 포로 신세가 되었다. 국왕의 명예는 실추되고 왕국은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파비아의 ‘참사’는 오히려 불굴의 기사로서의 군주의 영예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다. 연대가작가와 인문주의자들은 왕국의 동요를 막고 국왕의 위엄을 되살리려나섰다. 여기서 10년 전 마리냐노 전투의 승리가 새삼 부각되었다. 기사 바야르와 국왕 프랑수아의 무훈과 용맹이 널리 선전되고, 마침내 국왕 프랑수아가 바야르에게 기사서임받는 멋진 장면이 ‘발명’되었다. 요컨대 파비아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에, 명예를존중하는 ‘기사-국왕’ 프랑수아가 탄생한 것이다. 오늘날에도 ‘기사-국왕’과 ‘겁도 없고 흠도 없는 기사’의 ‘전설’은 기사서임 장면의 진위 여부와는 관계없이 여전히 프랑스인들의 집단 기억 속에 남아 있는 듯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malvi, Christian, "Usages savants et partisans des biographies de l’Antiquité aux XXIe siècle, Actes du 134e congrès national des sociétés historiques et scientifiques" Editions du CTHS 2011

      2 Le Roux de Lincy, "Recueil des chants historiques français depuis le XIIe siècle jusqu’au XVIIIe siècle, deuxième série" Librairie de Charles Gosselin 1842

      3 Sablon du Corail, Amable, "Qu’allait-il faire à Marignan?" (68) : 2015

      4 Delannoi, Gil, "Qui a gagné la bataille de Marignan? peut-on changer l’enseignement? l’exemple de l’enseignement de l’histoire" (4) : 1980

      5 J. F. MIchaud, "Nouvelle Collection des mémoires pour servir à l’histoire de France depuis XIIIe siècle jusqu’à la fin du XVIIIe siècle" Chez l’Editeur du Commentaire analytique du Code Civil 1839

      6 Vassière, Laurent, "Marignan, si près du désastre" (815) : 2014

      7 Le Fur, Didier, "Marignan 1515" Perrin 2004

      8 Le Gall, Jean-Marie, "L’Honneur perdu de François 1er" Payot 2015

      9 Fournel, Jean-Louis, "Les guerres d’Italie, des batailles pour l’Europe 1494-1559" Gallimard 2003

      10 Amalvi, Christian, "Les Héros des Français, controverses autour de la mémoire nationale" Larousse 2011

      1 Amalvi, Christian, "Usages savants et partisans des biographies de l’Antiquité aux XXIe siècle, Actes du 134e congrès national des sociétés historiques et scientifiques" Editions du CTHS 2011

      2 Le Roux de Lincy, "Recueil des chants historiques français depuis le XIIe siècle jusqu’au XVIIIe siècle, deuxième série" Librairie de Charles Gosselin 1842

      3 Sablon du Corail, Amable, "Qu’allait-il faire à Marignan?" (68) : 2015

      4 Delannoi, Gil, "Qui a gagné la bataille de Marignan? peut-on changer l’enseignement? l’exemple de l’enseignement de l’histoire" (4) : 1980

      5 J. F. MIchaud, "Nouvelle Collection des mémoires pour servir à l’histoire de France depuis XIIIe siècle jusqu’à la fin du XVIIIe siècle" Chez l’Editeur du Commentaire analytique du Code Civil 1839

      6 Vassière, Laurent, "Marignan, si près du désastre" (815) : 2014

      7 Le Fur, Didier, "Marignan 1515" Perrin 2004

      8 Le Gall, Jean-Marie, "L’Honneur perdu de François 1er" Payot 2015

      9 Fournel, Jean-Louis, "Les guerres d’Italie, des batailles pour l’Europe 1494-1559" Gallimard 2003

      10 Amalvi, Christian, "Les Héros des Français, controverses autour de la mémoire nationale" Larousse 2011

      11 Alazard, Florence, "Le roi de la propagande" (815) : 2014

      12 Florence, Alazard, "Le roi de la propagande" (34) : 2014

      13 Toussaint, Emilie, "La bataille de Marignan, le jeune François 1er et la pénible conquête de Milan" Lemaitre Publishing 2014

      14 Barrillon, Jean, "Journal de Jean Barrillon, secrétaire du chancelier Duprat 1515~1521. tome I" Librairie Renouard 1897

      15 Guicciardini, Francesco, "Histoire d’Italie de l’année 1492 à l’année 1592, translatée de l’Italien" August Desrez Imprimeur-Editeurs 1838

      16 Champier, Symphorien, "Histoire des gestes du preux et vaillant chevalier Bayard Dauphinois (Lyon: Rigaud, 1525). [Les Gestes ensemble la vie du preulx chevalier Bayard, présenté par D. Crouzet" Impremerie nationale 1992

      17 Michon, Cédric, "François Ier, les femmes, le pouvoir et la guerre. N.11" Belin 2008

      18 Le Clech, Sylvie, "François Ier, le roi-chevalier" Tallandier 2006

      19 Girault, Pierre-Gilles, "François Ier images d’un roi, de l’histoire à la légende" Somogy 2006

      20 Le Gall, Jean-Marie, "François Ier et la guerre" (79) : 2014

      21 Jacquart, Jean, "François Ier" Fayard 1981

      22 Brioist, Pascal, "François Ier" PUF 2020

      23 Florange(Robert de La Mark), "Choix de chroniques et mémoires relatifs à l’histoire de France" Abel Pilon 1875

      24 Martin du Bellay, "Choix de chroniques et mémoires relatifs à l’histoire de France" Abel Pilon Librairie-Editeur 1875

      25 Le Loyal Serviteur(Jacques de Mailles), "Choix de chroniques et mémoires relatifs à l’histoire de France" Abel Pilon 1875

      26 M. Aimé Champollion-Figeac, "Capitivité du roi François 1er" Imprimerie Royale 1847

      27 M. Aimé Champollion-Figeac, "Capitivité du roi François 1er" Imprimerie Royale 1847

      28 Isabelle, Davion, "Batailles, une histoire des grands mythes nationaux" Belin 2020

      29 Le Roux, Nicolas, "1515, l'invention de la Renaissance" Armand Colin 2015

      30 Lorette, Jacky, "1515, L'année des ruptures" L'Archipel 2015

      31 Walter, François, "1515 et les grandes dates de l’histoire de France" Seuil 2005

      32 Sablon du Corail, Amable, "1515 Marignan" Tallandier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ÉTÉ CorÉEnne DHistoire FranÇAise -> KOREAN SOCIETY FOR FRENCH HISTOR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JOURNAL -> Korean Review of French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37 0.65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