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하여・2 - 프란시스 코폴라 <대부>의 분석 = Research on Film Score’s Contribution to Storytelling・2 - An analysis of Francis Ford Coppola’s <The Godfat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9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rms the second part in a series of studies undertaking an active exploration of the contribution of a film score to the storytelling process. The Godfather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 will be analyzed as follow-on research of an earlier study of Love Letter by Shunji Iwai. The scenario treatment in The Godfather was scripted by Francis Ford Coppola based on Mario Puzo’s original novel, and Nino Rota took part in the scoring, which was crucial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into film form. The main themes of the storytelling of the film, The Godfather Waltz, New Godfather and Love Theme, were all composed by Nino Rota, presenting the core events of the film. We found that music contributes to the narrative and emotional flow with high relevance from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themes and the main characters, focusing on musical participation by sequence. An analysis of frequency graphs of the themes by sequence also showed that the succession of the ‘godfather’ from ‘Vito’ to ‘Michael’ was presented by the strategic placement and use of themes. This indicates that the themes take part in the storytelling process of the film as importantly as the influences of the main characters. The Godfather presents the core events of the film via the strategic use of the main themes. We refer to this type of effect of film scores during storytelling as the ‘core style’.
      번역하기

      This paper forms the second part in a series of studies undertaking an active exploration of the contribution of a film score to the storytelling process. The Godfather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 will be analyzed as follow-on research of an earl...

      This paper forms the second part in a series of studies undertaking an active exploration of the contribution of a film score to the storytelling process. The Godfather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 will be analyzed as follow-on research of an earlier study of Love Letter by Shunji Iwai. The scenario treatment in The Godfather was scripted by Francis Ford Coppola based on Mario Puzo’s original novel, and Nino Rota took part in the scoring, which was crucial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into film form. The main themes of the storytelling of the film, The Godfather Waltz, New Godfather and Love Theme, were all composed by Nino Rota, presenting the core events of the film. We found that music contributes to the narrative and emotional flow with high relevance from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themes and the main characters, focusing on musical participation by sequence. An analysis of frequency graphs of the themes by sequence also showed that the succession of the ‘godfather’ from ‘Vito’ to ‘Michael’ was presented by the strategic placement and use of themes. This indicates that the themes take part in the storytelling process of the film as importantly as the influences of the main characters. The Godfather presents the core events of the film via the strategic use of the main themes. We refer to this type of effect of film scores during storytelling as the ‘core sty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영화 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탐색을 위해 진행하는 일련의 연구에서 두 번째에 해당한다. 이와이 슌지의 <러브레터>에 이어 이번에는 프란시스 코폴라의 <대부>가 분석 대상이다. <대부>는 마리오 푸조의 소설을 원작으로 프란시스 코폴라가 시나리오 트리트먼트를 작성하고, 푸조와 함께 시나리오를 다듬어 만든 영화이며,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음악 또한 코폴라의 주도에 의해 니노 로타가 참여하였다. 영화의 스토리텔링에 참여하는 중심 테마 음악(original score)은 모두 니노 로타가 작곡했으며, 중심 사건을 제시하는 테마 음악은 The Godfather Waltz, New Godfather, Love Theme의 세 곡이다. 세 중심 테마음악을 분석해 보고, 이어서 서사 전개 속의 중심 캐릭터와 시퀀스별 음악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면서 중심 캐릭터와 서사 전개의 음악적 관계성을 알아본 결과 중심 캐릭터의 서사와 감정선을 전개하는 데 있어 음악이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서사 스토리텔링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시퀀스별 테마 음악의 사용 빈도를 그래프를 통해 비교 분석해 보면, ‘대부(돈 콜리오네)’의 자리가 ‘비토’에서 ‘마이클’로 승계되는 서사의 중심이 테마 음악의 전략적 배치와 활용을 통해 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써 테마 음악이 중심 캐릭터의 영향력만큼이나 중요하게 영화의 스토리텔링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영화 <대부>는 중심 테마 곡의 전략적 사용을 통해 사건의 중심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중심 테마 곡의 전략적인 사용을 통해 사건의 중심을 제시하는 영화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 유형을 필자는 ‘중심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영화 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탐색을 위해 진행하는 일련의 연구에서 두 번째에 해당한다. 이와이 슌지의 <러브레터>에 이어 이번에는 프란시스 코폴라...

      이 논문은 영화 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탐색을 위해 진행하는 일련의 연구에서 두 번째에 해당한다. 이와이 슌지의 <러브레터>에 이어 이번에는 프란시스 코폴라의 <대부>가 분석 대상이다. <대부>는 마리오 푸조의 소설을 원작으로 프란시스 코폴라가 시나리오 트리트먼트를 작성하고, 푸조와 함께 시나리오를 다듬어 만든 영화이며,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음악 또한 코폴라의 주도에 의해 니노 로타가 참여하였다. 영화의 스토리텔링에 참여하는 중심 테마 음악(original score)은 모두 니노 로타가 작곡했으며, 중심 사건을 제시하는 테마 음악은 The Godfather Waltz, New Godfather, Love Theme의 세 곡이다. 세 중심 테마음악을 분석해 보고, 이어서 서사 전개 속의 중심 캐릭터와 시퀀스별 음악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면서 중심 캐릭터와 서사 전개의 음악적 관계성을 알아본 결과 중심 캐릭터의 서사와 감정선을 전개하는 데 있어 음악이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서사 스토리텔링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시퀀스별 테마 음악의 사용 빈도를 그래프를 통해 비교 분석해 보면, ‘대부(돈 콜리오네)’의 자리가 ‘비토’에서 ‘마이클’로 승계되는 서사의 중심이 테마 음악의 전략적 배치와 활용을 통해 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써 테마 음악이 중심 캐릭터의 영향력만큼이나 중요하게 영화의 스토리텔링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영화 <대부>는 중심 테마 곡의 전략적 사용을 통해 사건의 중심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중심 테마 곡의 전략적인 사용을 통해 사건의 중심을 제시하는 영화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 유형을 필자는 ‘중심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2 조용경, "영화 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하여- 이와이 슌지 <러브레터>의 분석 -" 인문콘텐츠학회 (51) : 125-151, 2018

      3 Herbert Zettl,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 문화콘텐츠의 핵심 동력, 스토리텔링에 길을 묻다" 논형 2015

      5 Jenny M, "대부 시나리오 & 제작노트" 늘봄 2011

      6 Nino Rota, "Wikipedia"

      7 The Nino Rota Catalogue, "The Nino Rota Catalogue"

      8 Nino Rota, "The Godfather" Moon Records 2018

      9 Sciannameo, F, "Nino Rota's The Godfather Trilogy: A Film Score Guide" Scarecrow Press 2010

      1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2 조용경, "영화 음악의 스토리텔링 참여에 대하여- 이와이 슌지 <러브레터>의 분석 -" 인문콘텐츠학회 (51) : 125-151, 2018

      3 Herbert Zettl,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 문화콘텐츠의 핵심 동력, 스토리텔링에 길을 묻다" 논형 2015

      5 Jenny M, "대부 시나리오 & 제작노트" 늘봄 2011

      6 Nino Rota, "Wikipedia"

      7 The Nino Rota Catalogue, "The Nino Rota Catalogue"

      8 Nino Rota, "The Godfather" Moon Records 2018

      9 Sciannameo, F, "Nino Rota's The Godfather Trilogy: A Film Score Guide" Scarecrow Press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