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4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The result is same as following. First, The Gyeongseong library is the unique library which korean people build, and they thought very seriously. So, tried to keep this library for a long time. The Gyeongseong library supplied knowledge to Korean, although the life was not long. And, as ethnic business value of the Gyeongseong library was much, too. Second, the Gyeongseong library paid attention to child education and education of women as well as it is our country's first public library. And accomplishe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role. Third, readers' of the library was that man was most and the fair readers was minor part, and student was mainly(distinction of sex and profession tendency). And literature, language study etc. got to read most.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bout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The result is same as following. First, The Gyeongseong library is the unique library which korean people build, and ...

      This research is about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The result is same as following. First, The Gyeongseong library is the unique library which korean people build, and they thought very seriously. So, tried to keep this library for a long time. The Gyeongseong library supplied knowledge to Korean, although the life was not long. And, as ethnic business value of the Gyeongseong library was much, too. Second, the Gyeongseong library paid attention to child education and education of women as well as it is our country's first public library. And accomplishe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role. Third, readers' of the library was that man was most and the fair readers was minor part, and student was mainly(distinction of sex and profession tendency). And literature, language study etc. got to read mo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소년구락부 레코드대회 27일 오후에 경성도서관에서"

      2 윤금선,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 국어교육연구소 17 (17): 333-380, 2006

      3 이연옥,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한국도서관협 2002

      4 "신한민보(1920∼1930)"

      5 조은숙, "식민지시기 ‘동화회(童話會)’ 연구 -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 민족문화연구원 (45) : 225-264, 2006

      6 "시대일보(1920∼1930)"

      7 "부인 강좌. 금야 경성도서관에서"

      8 "민족적 감정의 이유. 결의문 산포 금지"

      9 "매우 개탄할 조선여자 독서열"

      10 "말동무, 가르쳐 주시오"

      1 "현대소년구락부 레코드대회 27일 오후에 경성도서관에서"

      2 윤금선,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 국어교육연구소 17 (17): 333-380, 2006

      3 이연옥,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한국도서관협 2002

      4 "신한민보(1920∼1930)"

      5 조은숙, "식민지시기 ‘동화회(童話會)’ 연구 -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 민족문화연구원 (45) : 225-264, 2006

      6 "시대일보(1920∼1930)"

      7 "부인 강좌. 금야 경성도서관에서"

      8 "민족적 감정의 이유. 결의문 산포 금지"

      9 "매우 개탄할 조선여자 독서열"

      10 "말동무, 가르쳐 주시오"

      11 박영민, "독서교육의 성격과 유형" 청람어문교육학회 (31) : 53-74, 2005

      12 한철우, "독서교육 연구 및 지도방안 탐색 : 독해과정 연구와 독서 교육; 1970년대 이전" 33 : 18-37, 1988

      13 신헌재, "독서 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광학술자료사 1993

      14 이경화, "도서관 활용 독서교육의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2) : 75-97, 2005

      15 "눈물로 엉킨 1백원의 의연금"

      16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17 박영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6 : 122-132, 1997

      18 윤여탁, "국어교육 100년사(1)~(2)"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9 허재영, "국어과 교육과정과 독서교육론의 전개 -학문적 정체성 확립 과정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16) : 265-301, 2005

      20 "경셩도서관 확쟝"

      21 "경성도서관內의 조선녀자청년회에서 금일 부인강좌를 열고"

      22 "鍾路圖書館開館"

      23 "鍾路圖書館擴張 特別室을 두어 硏究者에 提供 今日부터 開館"

      24 "臨迫한 試驗期와 學生의 讀書激增, 경성도서관에 나타난 근일 독서계"

      25 "科學의 中心地인 獨逸에서 書籍의 精粹가 京城圖書舘에"

      26 "科學의 中心地인 獨逸에서 書籍의 精粹가 京城圖書舘에"

      27 "東亞日報(1920∼1970)"

      28 "朝鮮日報(1920∼1970)"

      29 "朝鮮女子靑年會는 京城圖書館에 移轉, 계속하든 강습소 이외에도 부인강좌를 새로 실시한다"

      30 "朝鮮中央日報(1920∼1930)."

      31 "最近 京城圖書館의 讀書傾向. 法律과 政治社會의 열람이 증가"

      32 "日曜童話會. 現代少年俱樂部主催로 去九日 京城圖書館에서"

      33 尹錦仙, "日帝强占期 學生 讀書活動 연구 -新聞 讀書 관계 記事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389-414, 2007

      34 "新裝의 산뜻한 京城圖書館"

      35 "文學 語學이 首位 女子는 男子의 卅三分의一 난로설비부족으로 줄어 鍾路圖書館 讀書閱覽統計"

      36 "圖書館과 書店에 表現되는朝鮮文化의 程度"

      37 "兩處에 圖書舘, 아해를 위하야 京城圖書舘과 明治町에"

      38 "京城圖書館의 童話會, 보통학교아동에 한하야 입장"

      39 "京城圖書館에서 본 最近의 讀書傾向"

      40 "京城圖書館近況"

      41 "京城圖書館廢止에 對하야(自由鍾)"

      42 "京城圖書館府營決定 府立은 大觀亭에 移轉"

      43 "京城圖書館困境, 부호여 희사하라"

      44 "京城圖書館 한동안 폐관후 今日 다시 開館, 학생에게 한해"

      45 "京城圖書館 新聞雜誌等 縱覽開始"

      46 "京城圖書舘書籍買入, 화재의 결과 서적이 졀죵될가 하여"

      47 "中央日報(1960∼1990)"

      48 "三十萬市民을 爲하야 가난한 령혼에 량식을 주고자"

      49 "三十萬市民을 爲하야 가난한 령혼에 량식을 주고자"

      50 "三十萬市民을 爲하야 가난한 령혼에 량식을 주고자"

      51 손영애,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52 윤금선, "1920-30년대 독서 운동 연구" 한말연구학회 (17) : 129-167,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