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쓰시마 간사재판(幹事裁判)의 활동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15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재판 히라타 쇼자에몬(1696년 · 1700년)과 다다 가즈에(1753년)가 교섭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조일외교에서 재판이 담당했던 역할을 재고하려는 것이다.
      일찌감치 長正統의 연구를 통해, 재판은 공작미연한재판, 통신사송영재판, 문위행송영재판, 간사재판의 네 종류로 구성되며 역대 재판은 이 중 하나로 특정된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 맥락에서 간사재판은 ‘공작미연한, 통신사송영, 문위행송영을 제외한 그 외의 교섭사안이 있을 때 도해하는 재판’으로 규정되어, 우치노 이치로자에몬을 제외하고는 간사재판들이 수행했던 교섭의 주제가 재판 개인별로 특정되지 못했다.
      히라타 쇼자에몬의 경우 1696년에는 ‘공작미 기한연장과 未收 공작미의 지급재촉’, 1700년에는 ‘공작미 기한연장과 · 왜관 수리에 대한 謝意 표명’ 이 임무였다. 간사재판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사실상 히라타의 주된 使命은 공작미 문제였다. 17세기 초두부터 파견된 통신사송영재판과 문위행송영재판이 시기적으로 使命이 가장 먼저 확립된 재판이었다. 그러다 使行 송영이 아니라 다양한 현안교섭을 주로 하는 간사재판이 파견되었고, 18세기 초반까지는 문위행송영재판과 간사재판이 공작미연한 교섭을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1699년 시로스 모쿠헤이부터 공작미 연한교섭을 맡은 재판이 별도로 파견되었고 이것이 정례화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으나, 시로스 이후의 재판들도 공작미연한 교섭과 문위행송영을 겸했다. 공작미 문제를 전담하는 재판은 1720년 이후부터 파견되었고, 그러면서 문위행송영재판과 간사재판은 각기 고유의 업무를 주로 삼게 되었다. 따라서 문위행송영, 통신사송영, 공작미연한, 간사재판이라는 식으로 재판의 대표업무가 분화되는 것은 18세기 초반 이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재판 연구는 개별적인 교섭활동의 차원에서 재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다다 가즈에(1753년)의 경우, 그의 임무는 쓰시마의 수령거부로 인해 적체된 未收 예단삼을 상질의 인삼으로 교체하여 지급받는 것이었다. 예단삼의 품질저하와 분량확보에 고심하던 조선정부는 1753년 세수미를 투입하여 1750, 1751, 1752년, 도합 3년분의 未收 예단삼을 상질의 인삼으로 교체하여 주기로 합의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재판 히라타 쇼자에몬(1696년 · 1700년)과 다다 가즈에(1753년)가 교섭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조일외교에서 재판이 담당했던 역할을 재고하려는 것이다. 일찌감치 長正統�...

      이 연구는 재판 히라타 쇼자에몬(1696년 · 1700년)과 다다 가즈에(1753년)가 교섭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조일외교에서 재판이 담당했던 역할을 재고하려는 것이다.
      일찌감치 長正統의 연구를 통해, 재판은 공작미연한재판, 통신사송영재판, 문위행송영재판, 간사재판의 네 종류로 구성되며 역대 재판은 이 중 하나로 특정된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 맥락에서 간사재판은 ‘공작미연한, 통신사송영, 문위행송영을 제외한 그 외의 교섭사안이 있을 때 도해하는 재판’으로 규정되어, 우치노 이치로자에몬을 제외하고는 간사재판들이 수행했던 교섭의 주제가 재판 개인별로 특정되지 못했다.
      히라타 쇼자에몬의 경우 1696년에는 ‘공작미 기한연장과 未收 공작미의 지급재촉’, 1700년에는 ‘공작미 기한연장과 · 왜관 수리에 대한 謝意 표명’ 이 임무였다. 간사재판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사실상 히라타의 주된 使命은 공작미 문제였다. 17세기 초두부터 파견된 통신사송영재판과 문위행송영재판이 시기적으로 使命이 가장 먼저 확립된 재판이었다. 그러다 使行 송영이 아니라 다양한 현안교섭을 주로 하는 간사재판이 파견되었고, 18세기 초반까지는 문위행송영재판과 간사재판이 공작미연한 교섭을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1699년 시로스 모쿠헤이부터 공작미 연한교섭을 맡은 재판이 별도로 파견되었고 이것이 정례화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으나, 시로스 이후의 재판들도 공작미연한 교섭과 문위행송영을 겸했다. 공작미 문제를 전담하는 재판은 1720년 이후부터 파견되었고, 그러면서 문위행송영재판과 간사재판은 각기 고유의 업무를 주로 삼게 되었다. 따라서 문위행송영, 통신사송영, 공작미연한, 간사재판이라는 식으로 재판의 대표업무가 분화되는 것은 18세기 초반 이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재판 연구는 개별적인 교섭활동의 차원에서 재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다다 가즈에(1753년)의 경우, 그의 임무는 쓰시마의 수령거부로 인해 적체된 未收 예단삼을 상질의 인삼으로 교체하여 지급받는 것이었다. 예단삼의 품질저하와 분량확보에 고심하던 조선정부는 1753년 세수미를 투입하여 1750, 1751, 1752년, 도합 3년분의 未收 예단삼을 상질의 인삼으로 교체하여 주기로 합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studies from the 1960s by Japanese scholars introduced the term, duties, and records about Japanese envoys to Joseon referred to as Saihan, Korean scholars have also conducted their own studies on the hospitality protocol for and status of Saihan, known as Jaepan (裁判) or Jaepan chawae (裁判差倭) in Korean, within the context of Joseon"s diplomacy toward Japan. However, almost no further studies focusing on Jaepan have come out thereafter. This perhaps has to do with an argument from studies by Osa Masanori (長正統) suggesting that there had been four different types of Jaepan: Yonhan jaepan (年限裁判), Tongsinsa jaepan (通信使裁判), Munwihaeng jaepan (問慰行裁判), and Gansa jaepan (幹事裁判).
      Gansa jaepan has so far been determined to have been Japanese envoys sent to Joseon to escort diplomatic missions back and forth, extend the duration of trading Japanese cotton for Joseon rice referred to as Gongjakmi (公作米), or negotiate other special matters. Because they were irregularly dispatched, little has been revealed about which Gansa jaepan handled which negotiation except for the one in 1736 where a Gansa jaepan named Uchino Ichirozaemon negotiated the matter of food provided to envoys every five days. Hence, no details have been ascertained so far as to exactly why Gansa jaepan were dispatched to Joseon, which bilateral negotiations they facilitated, and what the negotiation outcomes were.
      To reveal the issues negotiated by individuals so far identified as Gansa jaepan,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negotiation activities Hirata Shozaemon (平田所左衛門) and Tada Kazue (多田主計) were each involved i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 1696, Hirata Shozaemon was mainly involved in extending the expiration date on converting cotton to rice and in urging the delivery of traded rice. In 1700, Hirata Shozaemon’s main task was to again extend the duration of trading cotton for rice and also deliver a message of appreciation to the Joseon government for repairing the Waegwan, the Japanese guest house in Joseon. As for Tada Kazue, his main task seems to have involved asking for the replacement of Yedansam (禮單蔘), the ginseng the Joseon government gifted to envoys from Tsushima Domain for facilitating bilateral t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lies in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of Gansa jaepan in Japan’s negotiations with Joseon to determine the role Gansa jaepan played in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thereby reveal what sort of system the bilateral relations operated upon during late Joseon.
      번역하기

      Since studies from the 1960s by Japanese scholars introduced the term, duties, and records about Japanese envoys to Joseon referred to as Saihan, Korean scholars have also conducted their own studies on the hospitality protocol for and status of Saiha...

      Since studies from the 1960s by Japanese scholars introduced the term, duties, and records about Japanese envoys to Joseon referred to as Saihan, Korean scholars have also conducted their own studies on the hospitality protocol for and status of Saihan, known as Jaepan (裁判) or Jaepan chawae (裁判差倭) in Korean, within the context of Joseon"s diplomacy toward Japan. However, almost no further studies focusing on Jaepan have come out thereafter. This perhaps has to do with an argument from studies by Osa Masanori (長正統) suggesting that there had been four different types of Jaepan: Yonhan jaepan (年限裁判), Tongsinsa jaepan (通信使裁判), Munwihaeng jaepan (問慰行裁判), and Gansa jaepan (幹事裁判).
      Gansa jaepan has so far been determined to have been Japanese envoys sent to Joseon to escort diplomatic missions back and forth, extend the duration of trading Japanese cotton for Joseon rice referred to as Gongjakmi (公作米), or negotiate other special matters. Because they were irregularly dispatched, little has been revealed about which Gansa jaepan handled which negotiation except for the one in 1736 where a Gansa jaepan named Uchino Ichirozaemon negotiated the matter of food provided to envoys every five days. Hence, no details have been ascertained so far as to exactly why Gansa jaepan were dispatched to Joseon, which bilateral negotiations they facilitated, and what the negotiation outcomes were.
      To reveal the issues negotiated by individuals so far identified as Gansa jaepan,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negotiation activities Hirata Shozaemon (平田所左衛門) and Tada Kazue (多田主計) were each involved i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 1696, Hirata Shozaemon was mainly involved in extending the expiration date on converting cotton to rice and in urging the delivery of traded rice. In 1700, Hirata Shozaemon’s main task was to again extend the duration of trading cotton for rice and also deliver a message of appreciation to the Joseon government for repairing the Waegwan, the Japanese guest house in Joseon. As for Tada Kazue, his main task seems to have involved asking for the replacement of Yedansam (禮單蔘), the ginseng the Joseon government gifted to envoys from Tsushima Domain for facilitating bilateral t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lies in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of Gansa jaepan in Japan’s negotiations with Joseon to determine the role Gansa jaepan played in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thereby reveal what sort of system the bilateral relations operated upon during late Jose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의 활동
      • 3. 다다 가즈에(多田主計)의 예단삼 개품 협상
      • 3.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히라타 쇼자에몬(平田所左衛門)의 활동
      • 3. 다다 가즈에(多田主計)의 예단삼 개품 협상
      • 3.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유숙, "조선후기 한일통교관계와 ‘己巳約條’(1809년)" 일본사학회 (24) : 157-194, 2006

      2 차수정, "조선후기 인삼무역의 전개과정-18세기 초 蔘商의 성장과 영향을 중심으로-" 1 : 1989

      3 윤유숙,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제이앤씨 2010

      4 윤유숙, "근세 朝日통교와 非定例 差倭의 조선도해" 역사학연구회 (70) : 119-153, 2010

      5 米谷均, "雨森芳洲の対朝鮮外交-「誠信之交」の理念と実態-" 148 : 1993

      6 "邊例集要"

      7 田代和生,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研究" 創文社 1998

      8 尹裕淑,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2

      9 森晋一郎, "近世後期対馬藩日朝貿易の展開-安永年間の私貿易を中心として-" 56 (56): 1986

      10 宗家記錄, "裁判記錄多田主計壹・貳"

      1 윤유숙, "조선후기 한일통교관계와 ‘己巳約條’(1809년)" 일본사학회 (24) : 157-194, 2006

      2 차수정, "조선후기 인삼무역의 전개과정-18세기 초 蔘商의 성장과 영향을 중심으로-" 1 : 1989

      3 윤유숙,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제이앤씨 2010

      4 윤유숙, "근세 朝日통교와 非定例 差倭의 조선도해" 역사학연구회 (70) : 119-153, 2010

      5 米谷均, "雨森芳洲の対朝鮮外交-「誠信之交」の理念と実態-" 148 : 1993

      6 "邊例集要"

      7 田代和生,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研究" 創文社 1998

      8 尹裕淑,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2

      9 森晋一郎, "近世後期対馬藩日朝貿易の展開-安永年間の私貿易を中心として-" 56 (56): 1986

      10 宗家記錄, "裁判記錄多田主計壹・貳"

      11 宗家記錄, "裁判記錄內野一郞左衛門"

      12 "裁判差倭謄錄"

      13 "朝鮮王朝實錄"

      14 정성일, "朝鮮後期對日貿易" 新書苑 2000

      15 長正統, "日鮮関係における記録の時代" 50 (50): 1968

      16 泉澄一, "天龍院公實錄" 清文堂 1981

      17 홍성덕, "十七世紀別差倭의 渡來와 朝日關係" 15 : 1992

      18 宗家記錄, "分類紀事大綱二二公作米年限未收"

      19 "備邊司謄錄"

      20 宗家記錄, "信使易地講定訳官渡海御用向掛合記録"

      21 이혜진, "17세기 후반 朝日外交에서의 裁判差倭성립과 조선의 외교적 대응" 8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