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경전에 나타난 전통적인 효를 재해석하고,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효의 속성을 보편성과 필연성으로 규정하고, 원시유학에서 효의 의미를 "존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17908
2016
Korean
원시유학 ; 효(孝) ; 사랑(愛) ; 존경(敬) ; 인(仁) ; 지평 ; 도덕과 교육 ; Original Confucianism ; Filial Piety(Xiao ; 孝) ; Love(Ai ; 愛) and Reverence(Jing ; 敬). Humaneness(ren ; 仁) ; Horizon ; Moral edu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35(3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경전에 나타난 전통적인 효를 재해석하고,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효의 속성을 보편성과 필연성으로 규정하고, 원시유학에서 효의 의미를 "존재...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경전에 나타난 전통적인 효를 재해석하고,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효의 속성을 보편성과 필연성으로 규정하고, 원시유학에서 효의 의미를 "존재론적 지평", "정치적 지평", "가치 문화적 지평"에서 구조화하고 있다. 존재론적 지평에서 효는 인간의 존재(몸, 생명)에 대한 자각,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성에서 나타나는 일상생활의 문명적(사랑과 존경의) 행동방식이며, 정치적 지평에서 효는 지도자의 리더십의 바탕이 되고 있으며, 사회와 국가를 경영하는 핵심 가치로서 충의 개념과 연결되고 있다. 가치 문화적 지평에서 효는 인간의 자기실현과 삶의 완성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이러한 효의 의미는 오늘날 도덕과 교육 과정의 주요 가치를 정당화하거나 이들 가치를 가르치는 전통교육의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definition of filial Piety(Xiao,孝)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expressed in scriptures of confucianism. I define the nature of filial piety as an universality and inevitability. and structuralize 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definition of filial Piety(Xiao,孝)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expressed in scriptures of confucianism. I define the nature of filial piety as an universality and inevitability. and structuralize the meaning of filial piety on the ground of ontological horizon, political horizon, and values and cultural horizons in original confucianism. The meaning of filial piety in the ontological horizon is based on a sense of continuity with one`s parents and ancestors and a devotion to furthering such continuity. It involves a heightened awareness that one not only owes one`s existence to parents and ancestors but also has been shaped by them to become the kind of person one is. The attitudes toward parents involved in filial piety are characterized in terms of love(Ai,愛) and reverence(Jing,敬). The meaning of filial piety in the political horizon is based on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al leader, and that is core values which is the management of his/her society, country, and the world. The filial piety i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proper attitudes in government, such as devotion to the ruler and not being arrogant when in a high position or disorderly when in a low position. The meaning of filial piety in values and cultural horizons suggests that is the basis of humaneness(Ren,仁) and the vision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filial Piety has an important role as justifying main valu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the traditional education materials that teaches the main value.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숙,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8) : 7-39, 2012
2 임마뉴엘 패스트라이쉬, "효도와 한국의 미래"
3 김용옥, "효경한글역주" 통나무 2009
4 임동석, "효경" 동서문화사 2009
5 최봉영,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Ⅱ" 느티나무 1994
6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한국유학사상과 교육" 대광문화사 1996
7 김현룡, "한국문학과 윤리의식" 박이정 2000
8 권용혁, "한국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 이학사 2013
9 채휘균, "조선시대 효자열망에 내재된 욕구 분석 - 18~19세기 경남지역 효자청원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28) : 93-134, 2015
1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1 강성숙,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8) : 7-39, 2012
2 임마뉴엘 패스트라이쉬, "효도와 한국의 미래"
3 김용옥, "효경한글역주" 통나무 2009
4 임동석, "효경" 동서문화사 2009
5 최봉영,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Ⅱ" 느티나무 1994
6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한국유학사상과 교육" 대광문화사 1996
7 김현룡, "한국문학과 윤리의식" 박이정 2000
8 권용혁, "한국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 이학사 2013
9 채휘균, "조선시대 효자열망에 내재된 욕구 분석 - 18~19세기 경남지역 효자청원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28) : 93-134, 2015
1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11 이수연, "조선시대 유교 윤리서 연구 : 세종조 『삼강행실도』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강명관, "삼강행실도-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5-32, 2002
13 고대혁, "사자소학(四字小學)" 교육과학사 2008
14 송복,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논어의 세계"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15 첸리푸, "동양의 인간과 세계" 철학과 현실사 2000
16 장기근, "도덕윤리 효도의 원리와 실천" 주류·일념 1996
17 교육부, "도덕교사용지도서" 천재교육 2015
18 진덕수, "대학연의 上" 해냄출판사 2014
19 고대혁, "논어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이상과 방법" 韓中哲學會 7 : 2001
20 "集註孝經"
21 "論語"
22 "說苑"
23 "荀子"
24 "茶山詩文集"
25 "禮記"
26 "書經"
27 "擊蒙要訣"
28 "性理大全"
29 "小學"
30 "孟子"
31 김인규, "孝思想의 本質과 韓國的 展開" 동양고전연구소 (18) : 89-116, 2010
32 "孔子家語"
33 "大學"
34 "周易"
35 林安弘, "儒家孝道思想硏究" 文津出版社
36 "三綱行實圖"
37 CUA, ANTONIO,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Routledge 2003
38 고대혁, "<書經> 「虞書」의 내용체계와 유학사상적 의미" 동양고전학회 (57) : 137-168, 201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1.393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