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과정 평가에 의한 하천환경 통합평가에 대한 고찰  :  시설물, 수질, 생태계를 중심으로 =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River Environment Monitoring by Life-Cycle-Assessment(focusing on River Structure, Water Quality, Eco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4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천의 종합적인 환경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분야별로 평가되고 있는 하천의 환경성평가를 통합하고 단일지수로 나타냄으로서 기존의 수변생태계 및 수질 모니터링의 환경성평가와 더불어 하천정비에 투입되는 시설물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환경성을 정량화 하였다. 기존의 수변생태계를 단일지수로 나타내었고, 다양한 수질항목을 부영양화지수로 통합하였으며 하천 원부자재의 선정 및 시공에 관한 분석을 전과정평가를 이용해 제시하였다. 단일지수화된 종합적인 환경성평가는 경관생태학적 측면 이외에 잠재된 환경영향 분석에 사용가능하며, 사례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성 모니터링 평가기법을 실시하였다. 시범유역의 시간적 경계는 30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그기간 동안 하천 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와 수질, 수변생태계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설물, 수질, 생태계를 통합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단일 지수화 함으로서 하천 정비 후 변화되는 하천의 환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자연형 하천의 친환경적인 설계시 환경부분을 고려시에 친환경제품의 유무를 검토할 수 있으며, 시공원부자재의 선정시 환경에 악영향을 최소로 미치는 자재를 선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번역하기

      하천의 종합적인 환경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분야별로 평가되고 있는 하천의 환경성평가를 통합하고 단일지수로 나타냄으로서 기존의 수변생태계 및 수질 모니터링의 환경성평가와 더...

      하천의 종합적인 환경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분야별로 평가되고 있는 하천의 환경성평가를 통합하고 단일지수로 나타냄으로서 기존의 수변생태계 및 수질 모니터링의 환경성평가와 더불어 하천정비에 투입되는 시설물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환경성을 정량화 하였다. 기존의 수변생태계를 단일지수로 나타내었고, 다양한 수질항목을 부영양화지수로 통합하였으며 하천 원부자재의 선정 및 시공에 관한 분석을 전과정평가를 이용해 제시하였다. 단일지수화된 종합적인 환경성평가는 경관생태학적 측면 이외에 잠재된 환경영향 분석에 사용가능하며, 사례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성 모니터링 평가기법을 실시하였다. 시범유역의 시간적 경계는 30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그기간 동안 하천 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와 수질, 수변생태계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설물, 수질, 생태계를 통합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단일 지수화 함으로서 하천 정비 후 변화되는 하천의 환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자연형 하천의 친환경적인 설계시 환경부분을 고려시에 친환경제품의 유무를 검토할 수 있으며, 시공원부자재의 선정시 환경에 악영향을 최소로 미치는 자재를 선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ollectively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river, It quantified that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construction facilities in river improvement project as well as the existing water ecosystem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by indicating the separated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as a single index. In this study, the water ecosystem was indicated as a single index, a variety of water quality items were integrated into an eutrophication index and the selection of rawsubsidiary materials and construction work in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were analyzed using LCA.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which was indicated by a single index, was allowed to be used in the analysis of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besides aspects of landscape ecology. Hence, a new monitoring assesment method of environmental quality was applied to this study through case study.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work and maintenance of river facilities, the water quality and the water ecosystem analyzed for the 30years of limited time of model bas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changed environmental quality of river after river improvement project can be readily understood by indicating the separated monitoring items as a single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nature-friendly design of close-to-nature river and the selection of rawsubsidiary materials in river improvement project.
      번역하기

      In this study, collectively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river, It quantified that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construction facilities in river improvement project as well as the existing water ecosystem and the water qu...

      In this study, collectively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river, It quantified that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construction facilities in river improvement project as well as the existing water ecosystem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by indicating the separated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as a single index. In this study, the water ecosystem was indicated as a single index, a variety of water quality items were integrated into an eutrophication index and the selection of rawsubsidiary materials and construction work in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were analyzed using LCA.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which was indicated by a single index, was allowed to be used in the analysis of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besides aspects of landscape ecology. Hence, a new monitoring assesment method of environmental quality was applied to this study through case study.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work and maintenance of river facilities, the water quality and the water ecosystem analyzed for the 30years of limited time of model bas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changed environmental quality of river after river improvement project can be readily understood by indicating the separated monitoring items as a single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nature-friendly design of close-to-nature river and the selection of rawsubsidiary materials in river improvement pro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적용성 연구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적용성 연구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친화적 산업기반 구축을 위한 환경경영 표준화사업-한국형 환경영향평가지수 개발 1차년도 중간보고서" 산업자원부 1999

      2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2. 평가방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38 (38): 49-57, 2005

      3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1. 평가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38 (38): 37-48, 2005

      4 "하천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2b

      5 "하천공간정비기법개발조사·연구" 1996

      6 "자연환경보전법(생태·자연도 작성지침)" 환경부 2004

      7 "자연형하천으로서의 정비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8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지침" 건설교통부 2002a

      9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 17 (17): 123-135, 1999

      10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하천 만들어야" 2006

      1 "환경친화적 산업기반 구축을 위한 환경경영 표준화사업-한국형 환경영향평가지수 개발 1차년도 중간보고서" 산업자원부 1999

      2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2. 평가방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38 (38): 49-57, 2005

      3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1. 평가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38 (38): 37-48, 2005

      4 "하천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2b

      5 "하천공간정비기법개발조사·연구" 1996

      6 "자연환경보전법(생태·자연도 작성지침)" 환경부 2004

      7 "자연형하천으로서의 정비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8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지침" 건설교통부 2002a

      9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 17 (17): 123-135, 1999

      10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하천 만들어야" 2006

      11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기법 개발" 1997

      12 "독일·스위스의 근자연형 하천계획" 29 (29): 39-43, 1996

      13 "녹지자연도 평가기준" 1991

      14 "경천 시범 하천환경정비사업 사후모니터링 보고서" 건설교통부 2005

      15 "건설기술연구원 국내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공법의 개발" 2001

      16 "Life Cycle Assessment 14040 실무지침시리즈" 산업자원부 2004

      17 "De Eco-indicator 95, Eindrapportage (final report, idential to this, but in Dutch)"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