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디자인에서 표현모드의 지표성 - 퍼스 기호학적 관점 = The Mode of Presentation of Peircean Indexicality in Spatial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ality of design that characterizes indexicality among Spatial Design’s various modes of presentation according to Peirce’s semiotic viewpoint and how it generat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design through the preference of the user, the interpreter—and, through this, to present the basis of literacy for spatial design that represents indexicality. Six of the 10 symbols by the symbol classification of Peirce showed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ing individuality, indication, actuality, locality, reality, and sub-symbolicity.
      Semiotic process and symbolic triadic analysis of spatial design examples were used to identify the expression modes that characterize each featur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iconic sinsign, it is the center of limited expression for providing incidental experience, and in the rhematic indexical sinsign, the expression of instructions for simple presentation was applied. And in the dicentic sinsign, it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mode that refrained from symbolism for independent interpretation was applied. In other symbols where second category is highlighted, i.e. in the rhematic indexical legisign, it is a realistic expression for attention-inducing and in the dicentic indexical legisign, a confrontational expression was applied for the reenactment of real relationships. In the sub-index, dicentic symbol sign, it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mode of the emphasis on symbolicity for semantic transfer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o not apply mechanically to all spatial designs, but the presentation modes emphasized by the continuity of representational features of symbols were suggested. A suggested presentation mode is a spatial design, a literacy that gives space the potential of symbol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that suggests a working principle of interpretation of space that reads and understands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Peirce’s semiotic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ality of design that characterizes indexicality among Spatial Design’s various modes of presentation according to Peirce’s semiotic viewpoint and how it generat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desig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ality of design that characterizes indexicality among Spatial Design’s various modes of presentation according to Peirce’s semiotic viewpoint and how it generat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design through the preference of the user, the interpreter—and, through this, to present the basis of literacy for spatial design that represents indexicality. Six of the 10 symbols by the symbol classification of Peirce showed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ing individuality, indication, actuality, locality, reality, and sub-symbolicity.
      Semiotic process and symbolic triadic analysis of spatial design examples were used to identify the expression modes that characterize each featur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iconic sinsign, it is the center of limited expression for providing incidental experience, and in the rhematic indexical sinsign, the expression of instructions for simple presentation was applied. And in the dicentic sinsign, it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mode that refrained from symbolism for independent interpretation was applied. In other symbols where second category is highlighted, i.e. in the rhematic indexical legisign, it is a realistic expression for attention-inducing and in the dicentic indexical legisign, a confrontational expression was applied for the reenactment of real relationships. In the sub-index, dicentic symbol sign, it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mode of the emphasis on symbolicity for semantic transfer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o not apply mechanically to all spatial designs, but the presentation modes emphasized by the continuity of representational features of symbols were suggested. A suggested presentation mode is a spatial design, a literacy that gives space the potential of symbol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that suggests a working principle of interpretation of space that reads and understands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Peirce’s semio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표현모드 중 지표기호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자인의 양상을 퍼스 기호의 삼원적 관계를 통해 분석하고그것이 해석자인 사용자와의 기호작용을 통해 어떤 디자인의 의미를 생성하고 어떻게 해석하는 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지표기호가 나타내는 공간디자인문해 방법의 기반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퍼스의 지표 기호의 개념과 세미오시스의 삼원적 관계를 파악하였고, 퍼스의 기호분류에 의한 10개 기호중 이차성이 나타나는 6개 기호를 통해 개별성, 지시성, 실재성, 인접성, 사실성, 하위상징성 등의 지표기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 작용과 삼원적 관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공간디자인에서 표현모드에 나타나는 지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상적 개별기호에서는 부수적 경험 제공을 위한 한정적 표현 중심, 레마적지표 개별기호에서는 단순한 보여주기를 위한 지시의 표현이 적용되었고 발화적 개별기호에서는 독립적 해석을 위해 상징성을 자제한 표현모드가 적용된 것으로 분석 하였다. 이차성이 부각되는 다른 기호들 즉 레마적 지표 법칙기호에서는 주목성 유도를 위한 현실적인 표현, 발화적 지표 법칙기호에서는 실재적 관계 재현을 위한 대립적 표현이 적용되었고, 하위지표인 발화적 상징기호에서는 의미전달을 위한 상징성을 강조한 표현모드가 적용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물론 분석 결과가 모든 공간디자인에 기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연구에서는 기호의 재현적 특징들의 연속성에 따라 특징이 좀 더 부각된 표현모드들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표현모드는 공간에 기호의 능력을 부여하는 문해 체계인 공간디자인이며, 그것을 읽고 이해하는 공간 독해의 작동 원리를 퍼스 기호학 관점으로 제시한 기반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표현모드 중 지표기호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자인의 양상을 퍼스 기호의 삼원적 관계를 통해 분석하고그것이 해석자인 사용자와...

      본 연구는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표현모드 중 지표기호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자인의 양상을 퍼스 기호의 삼원적 관계를 통해 분석하고그것이 해석자인 사용자와의 기호작용을 통해 어떤 디자인의 의미를 생성하고 어떻게 해석하는 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지표기호가 나타내는 공간디자인문해 방법의 기반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퍼스의 지표 기호의 개념과 세미오시스의 삼원적 관계를 파악하였고, 퍼스의 기호분류에 의한 10개 기호중 이차성이 나타나는 6개 기호를 통해 개별성, 지시성, 실재성, 인접성, 사실성, 하위상징성 등의 지표기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 작용과 삼원적 관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공간디자인에서 표현모드에 나타나는 지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상적 개별기호에서는 부수적 경험 제공을 위한 한정적 표현 중심, 레마적지표 개별기호에서는 단순한 보여주기를 위한 지시의 표현이 적용되었고 발화적 개별기호에서는 독립적 해석을 위해 상징성을 자제한 표현모드가 적용된 것으로 분석 하였다. 이차성이 부각되는 다른 기호들 즉 레마적 지표 법칙기호에서는 주목성 유도를 위한 현실적인 표현, 발화적 지표 법칙기호에서는 실재적 관계 재현을 위한 대립적 표현이 적용되었고, 하위지표인 발화적 상징기호에서는 의미전달을 위한 상징성을 강조한 표현모드가 적용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물론 분석 결과가 모든 공간디자인에 기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연구에서는 기호의 재현적 특징들의 연속성에 따라 특징이 좀 더 부각된 표현모드들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표현모드는 공간에 기호의 능력을 부여하는 문해 체계인 공간디자인이며, 그것을 읽고 이해하는 공간 독해의 작동 원리를 퍼스 기호학 관점으로 제시한 기반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도,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2006

      2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3 이윤희, "찰스 샌더스 퍼스"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7

      4 서준호,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표현모드 특징: 퍼스 기호학적 접근" 한국기호학회 47 : 145-176, 2016

      5 서준호,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의 퍼스 범주적 특징"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53-262, 2015

      6 다니엘 챈들러, "미디어 기호학" 소명출판 2006

      7 서준호, "공간디자인에서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기호 형식 -퍼스 기호학 관점-"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151-162, 2016

      8 "http://www.leandroerlich.com.ar"

      9 "http://www.jeppehein.net"

      10 "http://www.911memorial.org/memorial-architects"

      1 김성도,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2006

      2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3 이윤희, "찰스 샌더스 퍼스"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7

      4 서준호,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표현모드 특징: 퍼스 기호학적 접근" 한국기호학회 47 : 145-176, 2016

      5 서준호,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의 퍼스 범주적 특징"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53-262, 2015

      6 다니엘 챈들러, "미디어 기호학" 소명출판 2006

      7 서준호, "공간디자인에서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기호 형식 -퍼스 기호학 관점-"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151-162, 2016

      8 "http://www.leandroerlich.com.ar"

      9 "http://www.jeppehein.net"

      10 "http://www.911memorial.org/memorial-architects"

      11 Peirce, Charles S., "Th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 Peirce, 1-8 vol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miotic inquiry -> Semiotic Inquir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1.3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