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김승옥이 「환상수첩」에서 ‘죄’를 고백하는 수기와 이러한 수기를 배반하는 방식으로서 ‘격자 소설’을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표도르 도스토옙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54077
2020
Korean
김승옥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 환상수첩 ; 인간실격 ; 격자 소설 ; Kim Seung-Ok ; Osamu Dazai ; Fantasy Notebook ; Human Disqualification ; Frame novel
KCI등재
학술저널
197-247(5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김승옥이 「환상수첩」에서 ‘죄’를 고백하는 수기와 이러한 수기를 배반하는 방식으로서 ‘격자 소설’을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표도르 도스토옙스...
본고는 김승옥이 「환상수첩」에서 ‘죄’를 고백하는 수기와 이러한 수기를 배반하는 방식으로서 ‘격자 소설’을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과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인간실격』과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김승옥은 일본의 작가 다자이 오사무를 흠모하여 그의 스타일을 자신의 작품에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특히 관념을 형상화하기 위해 다자이 오사무가 『인간실격』에서 보여준 격자 소설 방식을 차용한다. 두 작가가 형상화하려고 했던 관념은 『죄와 벌』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보여준 ‘죄’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서 신의 영역에 도전했던 라스콜리니코프의 죄, 즉 초인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인간실격』에서는 주인공 요조는 수기를 통해 무한한 신뢰와 무저항이 ‘죄’였다는 것을 깨닫고 부끄러움 많은 인생이었다고 고백하지만 수기의 외부에서 요조의 잘못이 아니라는 마담의 발언으로 죄의 주체가 요조가 아니라 아버지로 밝혀진다. 「환상수첩」에서 수기의 주인공 정우는 라스콜리니코프가 초인사상을 실험하기 위해 노파를 죽이듯 친구 형기를 염전으로 데리고 가서 죽게 만든다. 하지만 수기 외부의 화자 수영은 정우가 죄책감을 이기지 못해 자살했다는 사실을 전달하고, 동시에 정우가 고민했던 죄가 환상에 불과하다고 일갈하면서 수기 속 정우의 고민을 일축한다. 다자이 오사무가 그러 했듯 김승옥은 격자 소설이라는 형식을 활용하여 내부 이야기인 ‘수기’를 통해 죄를 고백하는 반면, 수기 밖 외부 이야기에서는 이러한 고백을 배반하는 방식으로 작품 속에서 자기 자신과의 내적 갈등을 형상화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noted that Kim Seung-Ok"s “Fantasy Notebook"" uses a ‘frame novel’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ternal essay confessing "sin" and an external story betraying the internal essay and conducted a comparison with Fyodor Dostoyevsky"s Crim...
This paper noted that Kim Seung-Ok"s “Fantasy Notebook"" uses a ‘frame novel’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ternal essay confessing "sin" and an external story betraying the internal essay and conducted a comparison with Fyodor Dostoyevsky"s Crime and Punishment and Osamu Dazai"s Human Disqualification to explore the origin of Kim’s novel. Seung-Ok Kim actively embraces this style in his works, in homage to Japanese writer, Osamu Dazai, particularly in order to shape an idea, borrowing the frame novel style showcased in Human Disqualification. The notion that the two writers try to embody is based on Raskol"nikov’s sin, stemming from supermanism, that challenged the realm of God transcending human limits with the sin hinted at by Dostoevsky in Crime and Punishment. In Human Disqualification, the protagonist, Yo-jo realizes that infinite trust and a lack of resistance could take the form of sin and confesses his life is full of shame in the internal essay, but Madam"s remarks, which take place outside the realm of the essay, state that it was not Yo-jo"s fault and reveal that the subject of the sin is not Yo-jo but his father. In "Fantasy Notebook," Jung-woo, the main character of the essay, takes his friend"s Hyung-gy to a salt farm and lets him die there, just as Raskol"nikov kills an old woman as part of an experiment involving supermanism. However, the external speaker, Soo-yeong dismisses Jung-woo"s sin, an issue he had previously agonized over, as just a fantasy by arguing that he committed suicide because he couldn"t overcome his guil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Osamu Dazai, Kim Seung-Ok uses the form of the frame novel to confess his sin through the internal story while the external story outside the essay depict internal conflicts within himself that are channeled within the work by betraying such confess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민,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승옥, "환상수첩"
3 김연경, "화자-청자와 미학성의 문제 : 고백록의 전통과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한국노어노문학회 18 (18): 143-171, 2006
4 김승옥, "현대문학방담"
5 김윤식,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일지사 1974
6 이호규, "한일 전후 소설에 나타난 실존주의 양상 비교 연구 - 太宰治(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과 장용학의 「요한 시집」의 작중 인물을 통해 -" 한국일본근대학회 (48) : 247-262, 2015
7 이보영, "한국문학비평선집 1" 이우출판사 1982
8 서영채, "최인훈 소설의 세대론적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죄의식과 주체화" 한국현대문학회 (37) : 283-321, 2012
9 가노 미키요, "천황제와 젠더" 소명출판 2013
10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 민음사 2015
1 이경민,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승옥, "환상수첩"
3 김연경, "화자-청자와 미학성의 문제 : 고백록의 전통과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한국노어노문학회 18 (18): 143-171, 2006
4 김승옥, "현대문학방담"
5 김윤식,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일지사 1974
6 이호규, "한일 전후 소설에 나타난 실존주의 양상 비교 연구 - 太宰治(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과 장용학의 「요한 시집」의 작중 인물을 통해 -" 한국일본근대학회 (48) : 247-262, 2015
7 이보영, "한국문학비평선집 1" 이우출판사 1982
8 서영채, "최인훈 소설의 세대론적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죄의식과 주체화" 한국현대문학회 (37) : 283-321, 2012
9 가노 미키요, "천황제와 젠더" 소명출판 2013
10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 민음사 2015
11 이수형, "주체의 책임과 자유- 김승옥의 중ㆍ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16 : 411-440, 2006
12 조주관, "죄와 벌의 현대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13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2" 민음사 2016
14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1" 민음사 2016
15 백지연, "전후체험의 인식과 민주주의의 상상력 :김승옥과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에 나타난 ‘생명’과 ‘여성’" 한국학연구원 (72) : 151-178, 2018
16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78
17 김윤식, "작가와 내면풍경-김윤식 소설론집" 동서문학사 1991
18 유숙자, "자화상의 작가, 다자이 오사무" 살림출판사 2008
19 복도훈, "자폭하는 속물" 도서출판b 2018
20 이시하라 신타로, "일본전후문제작품집" 신구문화사 1960
21 이한정, "일본문학의 번역과 한국문학"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7-52, 2015
22 윤상인, "일본문학 번역 60년 현황과 분석" 소명출판 2008
23 히라노 겐, "일본 쇼와 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24 안영희, "일본 사소설과 고백" 한국일어일문학회 59 (59): 114-137, 2006
25 다자이 오사무, "인간실격" 신태양출판사 1961
26 김한식, "이청준 소설의 서사전략-탐구와 성찰의 격자구조"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6 : 2009
27 김영찬, "이청준 격자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한국근대문학회 12 (12): 329-353, 2005
28 스즈키 토미, "이야기 된 자기" 생각의 나무 2004
29 유종호, "유종호 전집 1. 비순수의 선언" 민음사 1995
30 김윤식, "운명과 형식" 솔 1992
31 장재진, "액자 소설의 담화 구조 연구 : 김동인, 김동리, 이청준 소설의 서사적 틀짜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32 장 폴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문예출판사 2018
33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34 게오르그 루카치,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2013
35 신현선, "사양" 창비 2015
36 윤상인, "문학과 근대와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9
37 김승옥, "무진기행" 문학동네 2016
38 김승옥, "무진기행" 문학동네 2015
39 석영중, "매핑 도스토옙스키 : 대문호의 공간을 다시 여행하다" 열린책들 2019
40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11
41 송태욱, "르네상스인 김승옥" 앨피 출판사 2005
42 서영채,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 세 번 읽기" 문학과 지성사 29 (29): 2016
43 이용철, "루소" 교양인 2011
44 이현우,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청림출판 2020
45 김승옥, "뜬 세상에 살기에" 지식산업사 1977
46 윤새라,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9
47 석영중,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예담 2008
48 박훈하, "당대적 시원으로서의 김승옥 소설과 위악의 수사학-환상수첩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47) : 411-435, 2007
49 장정일, "다자이 오사무, 이광수, 김승옥" 창비 43 (43): 2015
50 정부용, "다자이 오사무 문학과 데카당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51 김승옥, "누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52 다자이 오사무, "나의 소소한 일상" 시공사 2007
53 곽상순, "김승옥의 「생명연습」 연구" 국제어문학회 (39) : 195-219, 2007
54 김승옥, "김승옥에세이집-싫을 때는 싫다고 하라" 자유문학사 1986
55 송태욱, "김승옥과 '고백'의 문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56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2. 환상수첩" 문학동네 2015
57 설혜경, "김승옥 소설의 죄의식의 경제와 자본주의 논리" 한국문학연구학회 (48) : 343-373, 2012
58 김한식, "김승옥 소설에서 생활의 문제 -성 · 죄의식 · 가치 교환-" 겨레어문학회 (47) : 61-90, 2011
59 이광호,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마조히즘과 시선의 문제" 한국현대문학회 (39) : 257-280, 2013
60 정규웅, "글동네에서 생긴 일" 문학세계사 1999
61 김연경, "고백의 서사와 도스토예프스키 -『미성년』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22 (22): 1-28, 2012
62 주인석, "강변부인" 문학동네 2013
63 김병철, "韓國現代飜譯文學史硏究 上" 乙酉文化社 1998
64 南美英, "韓國 現代 成長小說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65 木下豊房, "近代日本文学とドストエフスキー : 夢と自意識のドラマ" 成文社 1993
66 太宰治, "人間失格" 新潮社 1952
67 다자이 오사무, "世界戰後文學全集 7. 日本戰後問題作品集 8" 新丘文化史 1962
68 권철근, "『죄와 벌』의 고통론 : 라스콜리니코프의 ‘죄’와 ‘벌’" 한국노어노문학회 13 (13): 2001
69 이은애, "‘주체’의 존재방식에 대한 두 가지 물음 -김승옥의 「생명연습」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회 (42) : 251-276, 2009
70 황윤정, "‘다자이 오사무 탐구’ 김승옥·이호철·전규태 뭉쳤다"
71 오태호, "<생명연습>에 나타난 ‘극기’와 ‘자기 세계’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40) : 271-291, 2009
72 설혜경, "60년대 문학 주체의 마조히즘의 윤리학 -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0) : 325-352, 2015
73 좌담,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작과비평사 2002
74 설혜경, "4.19 세대의 자기 부정과 위악의 윤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3 : 175-203, 2016
75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4
76 이수형,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자의식의 발현 양상 연구" 동악어문학회 (56) : 389-413, 2011
77 이현석, "1960년대 문학 감수성의 기원 - 낭만주의, 미적 형식 그리고 문학사적 연속성" 한국현대문학회 (56) : 397-461, 2018
78 장세진, "'아비 부정', 혹은 1960년대 미적 주체의 모험 - 김승옥과 이제하의 텍스트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 상허학회 12 : 99-128, 2004
노인 여성의 기억과 생존의 전쟁 서사 - 박완서의 소설을 중심으로
‘신소설’의 사실, 허구, 진리 – 인정소설(人情小說)의 동아시아 전통과 관련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1 | 1.388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