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자인 만족도 조사를 통한 자전거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Bicycle Design through Design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4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cycle users are keep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traffic, environment and health related issues. By the rapid increase of bicycle users, the bicycle became not only a mobile method but also a means to express one'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while its use and functionality are keep improving more and more, the change of the from of bicycle is very slow.
      This study focuses on the most popular normal bike which have the most users among various types of bicycles as its research target. First, the compositions that determine the design of bicycle is deducted by initiating FGI.
      An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e design satisfaction evaluating categories were compressed in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factors. This is to enhance the reliability by building up the most efficient survey questions. Design satisfaction survey was initiated with the selected representative factor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dissatisfactory results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the images of released products were evaluated using adjectiv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identif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m with favorable product images resulted from the survey. Through those analyzing and comparing,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areas of each other are positioned in the same awareness level and suggests future prospects of the new designs of bicycles which will be released in the market.
      번역하기

      Bicycle users are keep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traffic, environment and health related issues. By the rapid increase of bicycle users, the bicycle became not only a mobile method but also a means to express one'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Bicycle users are keep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traffic, environment and health related issues. By the rapid increase of bicycle users, the bicycle became not only a mobile method but also a means to express one'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while its use and functionality are keep improving more and more, the change of the from of bicycle is very slow.
      This study focuses on the most popular normal bike which have the most users among various types of bicycles as its research target. First, the compositions that determine the design of bicycle is deducted by initiating FGI.
      An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e design satisfaction evaluating categories were compressed in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factors. This is to enhance the reliability by building up the most efficient survey questions. Design satisfaction survey was initiated with the selected representative factor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dissatisfactory results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the images of released products were evaluated using adjectiv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identif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m with favorable product images resulted from the survey. Through those analyzing and comparing,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areas of each other are positioned in the same awareness level and suggests future prospects of the new designs of bicycles which will be released in the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이나 환경문제, 그리고 건강증진 등의 이유로 자전거 이용자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자전거는 이동수단 외에도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자전거의 기능성과 사용성은 점점 발전되어 가고 있는 반면 자전거 형태의 변화는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자전거의 종류 중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고 가장 대중적인 일반 바이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자전거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해내었다.
      그리고 조사 실험 단계에서 우선 디자인 만족도 평가 항목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대표 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이는 가장 효율적인 설문 항목을 구축하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우선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이미지 영역과 비교분석하여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지각도에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자전거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교통이나 환경문제, 그리고 건강증진 등의 이유로 자전거 이용자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자전거는 이동수단 외에도 자신의 개성을 표출...

      교통이나 환경문제, 그리고 건강증진 등의 이유로 자전거 이용자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자전거는 이동수단 외에도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자전거의 기능성과 사용성은 점점 발전되어 가고 있는 반면 자전거 형태의 변화는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자전거의 종류 중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고 가장 대중적인 일반 바이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자전거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해내었다.
      그리고 조사 실험 단계에서 우선 디자인 만족도 평가 항목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대표 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이는 가장 효율적인 설문 항목을 구축하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우선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이미지 영역과 비교분석하여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지각도에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자전거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염지훈, "휴대폰 시장의 세분화에 따른 신제품 디자인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디자인대학원 2008

      2 왕담, "자전거 활성화 증진을 위한 휴대형 접이 식 자전거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IT전문대학원 2009

      1 염지훈, "휴대폰 시장의 세분화에 따른 신제품 디자인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디자인대학원 2008

      2 왕담, "자전거 활성화 증진을 위한 휴대형 접이 식 자전거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IT전문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