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왕수인과 손응오의 四書觀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ur Books of Wang Shouren and Son ying’ao - Centering around 「Chuanxilu(傳習錄)」and 『SiShuJinYu(四書近語)』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3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검중왕문의 대표적인 학자인 손응오의 『사서근어』와 왕양명의 「전습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서에 대한 양자의 사상을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다.
      손응오는 어린 시절부터 간접적으로 양명 심학의 영향을 받았으니, 그의 학문 성향 역시 양명의 그것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그는 왕문 후학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상을 수용 발전시킨다. 손응오는 한편으로 기본적으로 양명의 근본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양명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검중왕문이라는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고 있다.
      손응오 사상의 핵심은 인을 추구하는 것을 종지로 삼고, 성의신독을 공부의 요점으로 삼고 있다. 공부론 방면에서 손응오는 성의신독을 강조하고 있으니, 이러한 성의신독에 대한 강조는 당시 양명 후학 가운데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는 분파에서 나타나는 폐단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다. 또한 격물 해석에 있어서도 주자의 궁리(窮理)와 양명의 정심(正心)과는 달리 왕간의 설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손응오 사서관에 관한 연구를 계기로 이후 손응오를 비롯한 검중왕문의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손응오 사상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와 더불어 검중왕문의 다른 학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검중왕문의 학문 성격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며, 이는 검중왕문을 포함한 왕문후학 사상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혀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검중왕문의 대표적인 학자인 손응오의 『사서근어』와 왕양명의 「전습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서에 대한 양자의 사상을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다. 손응오는 어린 시절부...

      검중왕문의 대표적인 학자인 손응오의 『사서근어』와 왕양명의 「전습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서에 대한 양자의 사상을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다.
      손응오는 어린 시절부터 간접적으로 양명 심학의 영향을 받았으니, 그의 학문 성향 역시 양명의 그것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그는 왕문 후학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상을 수용 발전시킨다. 손응오는 한편으로 기본적으로 양명의 근본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양명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검중왕문이라는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고 있다.
      손응오 사상의 핵심은 인을 추구하는 것을 종지로 삼고, 성의신독을 공부의 요점으로 삼고 있다. 공부론 방면에서 손응오는 성의신독을 강조하고 있으니, 이러한 성의신독에 대한 강조는 당시 양명 후학 가운데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는 분파에서 나타나는 폐단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다. 또한 격물 해석에 있어서도 주자의 궁리(窮理)와 양명의 정심(正心)과는 달리 왕간의 설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손응오 사서관에 관한 연구를 계기로 이후 손응오를 비롯한 검중왕문의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손응오 사상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와 더불어 검중왕문의 다른 학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검중왕문의 학문 성격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며, 이는 검중왕문을 포함한 왕문후학 사상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혀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 of Sunying’ao(孫應鰲)’s 『SiShuJinYu(四書近語)』 and Wangyangming (王陽明)’s 「Chuanxilu(傳習錄)」 for The Four Books(四書) is compared with the main concepts. Through this, we will look at the academic position Sunying’ao holds in the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Sunying’ao has been indirectly influenced by Yangming Xinxue since he was a little boy, so you can see that his academic tendencies are also developing it. At the same time, he develops his ideas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On the one hand, Sun is basically evolving the fundamental spirit of Yangming, while a new interpretation of Yangming’s ideas is used to form a school called Guizhou Wangyangming school.
      At the core of Sun’s ideology is to seek after Ren(仁), and to study Chengyishendu (誠意愼獨). As Sunying’a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engyishendu(誠意愼獨). It is a solu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who puts emphasis on enlightenment.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unlike the Zhuzi(朱子)’s qiongli(窮理) and Yangming’s zhengxin(正心), He accepts the opinions of Wanggen(王艮)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格物).
      After research on Sunying’ao A view in the The Four Books, detailed examination on the ideas of Guizhou Wangyangming school, including Sunying’ao, is needed. In addition to specific research on the theory of Sunying’ao, the study of other scholars at Guizhou Wangyangming school will reveal the academic nature of Guizhou Wangyangming school more clearly, which will help you broaden the scope of your research on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including Guizhou Wangyangming school.
      번역하기

      The idea of Sunying’ao(孫應鰲)’s 『SiShuJinYu(四書近語)』 and Wangyangming (王陽明)’s 「Chuanxilu(傳習錄)」 for The Four Books(四書) is compared with the main concepts. Through this, we will look at the academic position Sunyi...

      The idea of Sunying’ao(孫應鰲)’s 『SiShuJinYu(四書近語)』 and Wangyangming (王陽明)’s 「Chuanxilu(傳習錄)」 for The Four Books(四書) is compared with the main concepts. Through this, we will look at the academic position Sunying’ao holds in the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Sunying’ao has been indirectly influenced by Yangming Xinxue since he was a little boy, so you can see that his academic tendencies are also developing it. At the same time, he develops his ideas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On the one hand, Sun is basically evolving the fundamental spirit of Yangming, while a new interpretation of Yangming’s ideas is used to form a school called Guizhou Wangyangming school.
      At the core of Sun’s ideology is to seek after Ren(仁), and to study Chengyishendu (誠意愼獨). As Sunying’a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engyishendu(誠意愼獨). It is a solu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who puts emphasis on enlightenment.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unlike the Zhuzi(朱子)’s qiongli(窮理) and Yangming’s zhengxin(正心), He accepts the opinions of Wanggen(王艮)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格物).
      After research on Sunying’ao A view in the The Four Books, detailed examination on the ideas of Guizhou Wangyangming school, including Sunying’ao, is needed. In addition to specific research on the theory of Sunying’ao, the study of other scholars at Guizhou Wangyangming school will reveal the academic nature of Guizhou Wangyangming school more clearly, which will help you broaden the scope of your research on later school of Wangyangming, including Guizhou Wangyangming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I. 들어가는 말
      • II. 왕수인과 검중왕문
      • IIII. 본체와 공부
      • IV. 구인공부로서의 성의
      • 【요약문】
      • I. 들어가는 말
      • II. 왕수인과 검중왕문
      • IIII. 본체와 공부
      • IV. 구인공부로서의 성의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우진, "왕양명 서원강학의 이념과 실제" 1 : 2011

      2 莫友芝, "黔詩紀略" 贵州人民出版社 1993

      3 錢 明, "黔中王門論考" (2) : 2007

      4 王路平, "黔中王門大師孫應鰲生平考述" (3) : 2007

      5 張小明, "黔中王學硏究" 南京大學 2011

      6 黃宗羲, "黃宗羲全集" 浙江古籍出版社 2012

      7 吳伯曜, "陽明心學對晩明四書學的影響" (2) : 2006

      8 이상훈, "陽明後學의 致知格物 涵義" 동양철학연구회 (74) : 151-178, 2013

      9 劉宗碧, "貴州的王門後學" (2) : 1997

      10 王陽明, "王陽明全集" 上海古籍出版社 2011

      1 이우진, "왕양명 서원강학의 이념과 실제" 1 : 2011

      2 莫友芝, "黔詩紀略" 贵州人民出版社 1993

      3 錢 明, "黔中王門論考" (2) : 2007

      4 王路平, "黔中王門大師孫應鰲生平考述" (3) : 2007

      5 張小明, "黔中王學硏究" 南京大學 2011

      6 黃宗羲, "黃宗羲全集" 浙江古籍出版社 2012

      7 吳伯曜, "陽明心學對晩明四書學的影響" (2) : 2006

      8 이상훈, "陽明後學의 致知格物 涵義" 동양철학연구회 (74) : 151-178, 2013

      9 劉宗碧, "貴州的王門後學" (2) : 1997

      10 王陽明, "王陽明全集" 上海古籍出版社 2011

      11 張路園, "王艮思想硏究" 山東大學 2007

      12 王 艮, "王心齋遺集" 江蘇教育出版社 2001

      13 王路平, "王學之旅" 貴州民族出版社 2009

      14 李迎喜, "王學之魂" 貴州民族出版社 2005

      15 黃宗羲, "明儒學案" 中華書局 1986

      16 孫應鰲, "孫應鰲文集" 貴州敎育出版社 1996

      17 郝 爽, "孫應鰲四書學思想硏究" 廈門大學 2013

      18 孫應鰲, "孫山甫督學文集" 蘭州大學出版社 2003

      19 胡廣, "四書大全(上)" 술이 2012

      20 왕양명, "傳習錄" 청계 2001

      21 錢 明, "中華傳統文化與貴州地域文化硏究論叢(二)" 巴蜀書社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