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탁주, 식혜, 수정과에 있는 미생물 분석을 위하여 건조필름법과 전통적인 미생물 분석법을 비교하였다. 일반세균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 법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40148
200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9-21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탁주, 식혜, 수정과에 있는 미생물 분석을 위하여 건조필름법과 전통적인 미생물 분석법을 비교하였다. 일반세균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 법과...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탁주, 식혜, 수정과에 있는 미생물 분석을 위하여 건조필름법과 전통적인 미생물 분석법을 비교하였다. 일반세균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 법과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고,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분석에는 most probable number (MPN) 법과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및 Petrifilm^(TM) E. colilcoliform count plate 법을 각각 비교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의 분석에는 potato dextrose agar 법과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에는 coagulase 시험법과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다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는 일반세균이 0.974-0.998, 대장균군이 0.955-0.978, 대장균이 0.968-0.986, 효모와 곰팡이가 0.913-0.995, 황색포도상구균이 0.998-0.999로 두 방법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았으며, 평균 미생물수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건조필름법이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y rehydratable film methods wer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imchi, doenjang, kochujang, kanjang, takju, sujeongkwa and sikhe were used as Korean traditional foods. Petrifilm^(...
Dry rehydratable film methods wer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imchi, doenjang, kochujang, kanjang, takju, sujeongkwa and sikhe were used as Korean traditional foods.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 Petrifilm^(TM) E. colilcoliform count plate,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 and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 were compared to plate count agar, most probable number (MPN) for coliform, MPN for E. coli, potato dextrose agar and coagulase test,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were 0.974-0.998, 0.913-0.995, 0.955-0.978, 0.968-0.986 and 0.998-0.999 for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coliform, E. coli and S. aureu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suggesting that Petrifilm^(TM) plate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여러 기관의 일반시험법에 의한 식용 타르색소의 규격 비교 시험
한국인의 모델식이에 대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인체노출량평가
제빵업체의 HACCP 모델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