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과 교육 정보 = Educational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06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의 동사와 형용사는 서술어로서 문장의 중심 역할을 한다. 서술어마다 같이 쓸 수 있는 어휘가 있고, 서술어에 따라 자릿수가 정해지며 어휘와 서술어가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며 이를 통해 화자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서술어 중의 하나인 형용사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활용을 하고, 일정한 논항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일반 화자의 형용사 논항에 대한 인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은 형용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 논문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형용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에게 형용사 '좋다' 구문의 적절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현대 국어 사전에 나타난 형용사 '좋다'의 의미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형용사 '좋다' 구문의 격틀을 유형화 한 뒤 세부의미를 정리하였다. 형용사 '좋다' 구문의 격틀과 상세의미를 제시하고, 각 유형에 나타난 '좋다 ' 구문의 특성, 제약, 유의어와 반의어를 살펴보았다. 이후 기존 한국어 교재에 기술된 형용사 '좋다' 구문의 용례를 살펴 그 유형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본고에서 제시한 유형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 '좋다' 구문의 문법 기술 내용과 설명 방식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언어지식의 습득 및 학습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법 항목에 대한 이해와 설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나 실제 수업의 과제 활동에서 얻을 수 없는 문법에 대한 정보를 교수자가 제공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형용사 '좋다' 구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교수자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정보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한국어의 동사와 형용사는 서술어로서 문장의 중심 역할을 한다. 서술어마다 같이 쓸 수 있는 어휘가 있고, 서술어에 따라 자릿수가 정해지며 어휘와 서술어가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며 이를...

      한국어의 동사와 형용사는 서술어로서 문장의 중심 역할을 한다. 서술어마다 같이 쓸 수 있는 어휘가 있고, 서술어에 따라 자릿수가 정해지며 어휘와 서술어가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며 이를 통해 화자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서술어 중의 하나인 형용사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활용을 하고, 일정한 논항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일반 화자의 형용사 논항에 대한 인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은 형용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 논문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형용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에게 형용사 '좋다' 구문의 적절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현대 국어 사전에 나타난 형용사 '좋다'의 의미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형용사 '좋다' 구문의 격틀을 유형화 한 뒤 세부의미를 정리하였다. 형용사 '좋다' 구문의 격틀과 상세의미를 제시하고, 각 유형에 나타난 '좋다 ' 구문의 특성, 제약, 유의어와 반의어를 살펴보았다. 이후 기존 한국어 교재에 기술된 형용사 '좋다' 구문의 용례를 살펴 그 유형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본고에서 제시한 유형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 '좋다' 구문의 문법 기술 내용과 설명 방식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언어지식의 습득 및 학습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법 항목에 대한 이해와 설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나 실제 수업의 과제 활동에서 얻을 수 없는 문법에 대한 정보를 교수자가 제공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형용사 '좋다' 구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교수자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정보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erbs and adjectives of the Korean language perform a central role in a sentence as a predicate. There are vocabularies that may be used together for each predicate. The ciph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dicate, vocabularies and predicates are combined to form a sentence, and through such, a speaker can express his or her intent. An adjective, which is one of the predicates, has conjugations, just as a verb, and has a certain argument structure, however, a general speaker's perception regarding the argument structure of an adjective does not seem high.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for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form and use a sentence by using adjectives.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to suggest an adequate education method of such for instructors teaching Korean.
      After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adjective '좋다' as it appears in a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case-frame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was categorized and the detailed meanings were organized. This article suggested the case-frame and detailed meaning of the adjective '좋다'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restrictions, synonyms, and antonyms of the '좋다' constructions appearing in each category. Afterwards, this article examined examples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as specified in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briefly summarized the categorie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categories suggested by this article. In addition, the grammar describing the contents and explanation method of the adjective '좋다' appearing in textbooks were examined.
      The fact that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n grammar categories i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in studying and acquiring language knowledge and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was pointed out, and for such, an educational plan that an instructor may utilize during classes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ver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for foreign lear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an instructor must provide information on grammar that cannot be obtained through task activities in actual classes or Korean language textbooks.
      번역하기

      The verbs and adjectives of the Korean language perform a central role in a sentence as a predicate. There are vocabularies that may be used together for each predicate. The ciph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dicate, vocabularies and predicates ...

      The verbs and adjectives of the Korean language perform a central role in a sentence as a predicate. There are vocabularies that may be used together for each predicate. The ciph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dicate, vocabularies and predicates are combined to form a sentence, and through such, a speaker can express his or her intent. An adjective, which is one of the predicates, has conjugations, just as a verb, and has a certain argument structure, however, a general speaker's perception regarding the argument structure of an adjective does not seem high.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for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form and use a sentence by using adjectives.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to suggest an adequate education method of such for instructors teaching Korean.
      After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adjective '좋다' as it appears in a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case-frame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was categorized and the detailed meanings were organized. This article suggested the case-frame and detailed meaning of the adjective '좋다'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restrictions, synonyms, and antonyms of the '좋다' constructions appearing in each category. Afterwards, this article examined examples of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as specified in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briefly summarized the categorie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categories suggested by this article. In addition, the grammar describing the contents and explanation method of the adjective '좋다' appearing in textbooks were examined.
      The fact that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n grammar categories i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in studying and acquiring language knowledge and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was pointed out, and for such, an educational plan that an instructor may utilize during classes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ver the constructions of the adjective '좋다' for foreign lear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an instructor must provide information on grammar that cannot be obtained through task activities in actual classes or Korean language text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
      • 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좋다' 구문의 설명 방식
      • 4. 형용사 '좋다' 구문의 교육 방안
      • <국문초록>
      • 1. 서론
      • 2. 형용사 '좋다' 구문의 특성
      • 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좋다' 구문의 설명 방식
      • 4. 형용사 '좋다' 구문의 교육 방안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초급 어휘 선정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1-26, 2014

      2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중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0 : 1-48, 2014

      3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고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1-28, 2015

      4 조항록, "한국어교육론1" 서울:한국문화사 2005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3

      6 김해옥,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의미 기술연구: 형용사 '좋다'를 중심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0 (20): 267-286, 2004

      7 박시은, "한국어 문법 교수법으로서 상호 보완식 접근법의 재해석"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141-171, 2012

      8 고경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검토" 국어국문학회 (166) : 141-163, 2014

      9 이효정, "한국어 교육용 용언 분류에 대한 연구 -동사와 형용사의 혼동 현상을 중심으로- 이효정"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0 : 277-308, 2014

      10 고경태, "한국어 교육에서 패턴(pattern)으로서의 ‘격조사+동사’ 교육의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6 : 1-22, 2007

      1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초급 어휘 선정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1-26, 2014

      2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중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0 : 1-48, 2014

      3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고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1-28, 2015

      4 조항록, "한국어교육론1" 서울:한국문화사 2005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3

      6 김해옥,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의미 기술연구: 형용사 '좋다'를 중심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0 (20): 267-286, 2004

      7 박시은, "한국어 문법 교수법으로서 상호 보완식 접근법의 재해석"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141-171, 2012

      8 고경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검토" 국어국문학회 (166) : 141-163, 2014

      9 이효정, "한국어 교육용 용언 분류에 대한 연구 -동사와 형용사의 혼동 현상을 중심으로- 이효정"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0 : 277-308, 2014

      10 고경태, "한국어 교육에서 패턴(pattern)으로서의 ‘격조사+동사’ 교육의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6 : 1-22, 2007

      11 오경숙,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보완적 문법 수업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27) : 67-91, 2010

      12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용법 편" 커뮤니케니션북스(주) 2005

      13 박재희, "심리형용사 구문의 기본 문형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5-34, 2014

      14 김남탁, "성상형용사 구문의 구조 변천-‘좋다’ 구문을 중심으로" 경북어문학회 (30) : 49-68, 1996

      15 김억조, "성상·심리형용사 ‘좋-’의 결합관계와 의미" 한민족어문학회 (69) : 141-168, 2015

      16 김정남, "국어 형용사의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5

      17 유현경, "국어 형용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8 안찬원, "공기 관계를 이용한 심리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0 : 167-195, 2014

      19 김흥수, "‘좋다’ 구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국문학회 97 : 211-223, 1987

      20 이현희, "‘둏다’ 구문에 대한 통시적 연구" 진단학회 (87) : 71-126, 1999

      21 정성미, "'-하다' 형용사의 형태 구조와 논항 구조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