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수행능력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토론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론능력 측정도구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3876
2015
Korean
300
학술저널
121-12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수행능력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토론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론능력 측정도구 개...
본 연구는 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수행능력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토론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론능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토론능력의 하위요인과 세부문항을 도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두 차례의 예비검사를 거쳐 4요인 40문항을 예비로 확정하였다. 그 후 306명의 초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사고 능력 7문항, 커뮤니케이션능력 4문항, 논쟁적 유연성 3문항의 14문항을 최종문항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론교육 확산을 위해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수행기술을 객관적으로 타당화시킴으로써 토론교육 자체의 중요성이 현장에 실현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토론이 거의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과 우리나라에서 토론수업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정선영, 배성아, 2013)결과에서 한국학생들은 자신의 토론능력으로 인한 토론수업의 장애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토론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요컨대,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는 토론을 단순히 다른 학습내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 중 하나로 활용할 뿐이지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적 결과``에 대한 가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토론이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목적이 아닌 수업활동의 일부로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토론을 통해 어떠한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토론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토론을 위해 어떠한 능력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정보가 부 족함을 유추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론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토론능력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인 토론능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는 토론수업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며,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배양시켜야 하는가를 안내 해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능력이 습득되어야 토론을 잘 할 수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인식 할 수 있게 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영아용 의사소통 척도 타당화 연구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4세용 예술경험활동 평가도구 연구
ADHD 학생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뇌기반 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수업 흐름별 요소를 기반으로 한 수업 분석 소프트웨어의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