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근대여성문학문화사 연구-1900~1945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6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문학 연구가 보다 구체적이고 민감하게 현재적 문제의식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 여성문학 연구가 여성작가ㆍ작품의 범주 내부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극복을 위한 노력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불연속적이고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여성문학문화사의 기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을 전제하였다. 먼저, 오늘날 근대 문학사를 구성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소비했던 독자층 중 하나가 여성이었다는 점에 착목하였다. 그리고 ‘문학사’와 더불어 독서문화를 중심으로 식민지기 여성의 ‘문화사’ 전반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여성문화 전반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도 함께 하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시기는 3년이라는 연구 기간의 현실적 한계 때문에 근대문학사에서 여성이 ‘등장’하기 시작한 기원에서부터 해방 이전까지의 시기로 한정하여 살펴 궁극적으로 ‘근현대 여성문학문화’의 통사를 위한 1차 작업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1900~1910년대의 여성문학문화사에 대해 연구하였다. 남성 지식인들이 문학과 문화를 거의 완전히 장악했던 1900~1910년대에는 여성들은 교육 여부를 불문하고 남성 지식인(문인)들의 ‘계몽’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1907년과 1908년에는 국채보상운동을 계기로 신문에 여성 독자투고가 급증하였다. 이들이 공적 영역에서 글쓰기를 시작함으로써 단순히 남성의 ‘계몽’을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주체적으로 말하고 행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식민지 시기 여성 인물들을 문학 분야 인물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살펴보았다. 문학, 정치, 경제, 여성주의, 의학, 체육, 교육, 예술, 대중문화 등 각 방면에서 활약한 여성들이 어떠한 생각과 행동을 했는지를 추적하면서 그들 사이의 교차점, 접점을 찾아나가는 작업을 하는 데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었다. 아울러 본 연구가 목표로 하고 있는 ‘문화사’ 연구를 위해 최근의 문화사적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로버트 단턴, E.P. 톰슨, 나탈리 데이비스, 린 헌트 등의 문화사, 미시사, 혹은 정신사적 시각은 본 연구의 방법론에 많은 영감을 제공했다.
      2차 년도에는 1920~30년대의 한국여성들을 주로 ‘지식인 여성’들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1920~30년대에는 <공도>(1914), <여자계>(1917), <신여자>(1920) 등이 여성들의 주도로 집필, 편집, 발간되고 여성들이 문단 내의 주요 인사로 자리잡아 가면서 여성 지식인들은 계몽’의 대상으로서 ‘청자’, ‘독자’로 머무르기를 거부하기 시작하고, 남성들과 ‘토론’을 하려 하였다. 심각한 취업난과 성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문학 연구가 보다 구체적이고 민감하게 현재적 문제의식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 여성문학 연구가 여성작가ㆍ작품의 범주 내부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극복을 ...

      본 연구는 여성문학 연구가 보다 구체적이고 민감하게 현재적 문제의식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 여성문학 연구가 여성작가ㆍ작품의 범주 내부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극복을 위한 노력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불연속적이고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여성문학문화사의 기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을 전제하였다. 먼저, 오늘날 근대 문학사를 구성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소비했던 독자층 중 하나가 여성이었다는 점에 착목하였다. 그리고 ‘문학사’와 더불어 독서문화를 중심으로 식민지기 여성의 ‘문화사’ 전반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여성문화 전반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도 함께 하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시기는 3년이라는 연구 기간의 현실적 한계 때문에 근대문학사에서 여성이 ‘등장’하기 시작한 기원에서부터 해방 이전까지의 시기로 한정하여 살펴 궁극적으로 ‘근현대 여성문학문화’의 통사를 위한 1차 작업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1900~1910년대의 여성문학문화사에 대해 연구하였다. 남성 지식인들이 문학과 문화를 거의 완전히 장악했던 1900~1910년대에는 여성들은 교육 여부를 불문하고 남성 지식인(문인)들의 ‘계몽’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1907년과 1908년에는 국채보상운동을 계기로 신문에 여성 독자투고가 급증하였다. 이들이 공적 영역에서 글쓰기를 시작함으로써 단순히 남성의 ‘계몽’을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주체적으로 말하고 행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식민지 시기 여성 인물들을 문학 분야 인물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살펴보았다. 문학, 정치, 경제, 여성주의, 의학, 체육, 교육, 예술, 대중문화 등 각 방면에서 활약한 여성들이 어떠한 생각과 행동을 했는지를 추적하면서 그들 사이의 교차점, 접점을 찾아나가는 작업을 하는 데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었다. 아울러 본 연구가 목표로 하고 있는 ‘문화사’ 연구를 위해 최근의 문화사적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로버트 단턴, E.P. 톰슨, 나탈리 데이비스, 린 헌트 등의 문화사, 미시사, 혹은 정신사적 시각은 본 연구의 방법론에 많은 영감을 제공했다.
      2차 년도에는 1920~30년대의 한국여성들을 주로 ‘지식인 여성’들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1920~30년대에는 <공도>(1914), <여자계>(1917), <신여자>(1920) 등이 여성들의 주도로 집필, 편집, 발간되고 여성들이 문단 내의 주요 인사로 자리잡아 가면서 여성 지식인들은 계몽’의 대상으로서 ‘청자’, ‘독자’로 머무르기를 거부하기 시작하고, 남성들과 ‘토론’을 하려 하였다. 심각한 취업난과 성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write the 1900~1940s Korean history of literature/culture which was focused on the problem of gender. First, I wanted to research the women's history of literature related to current 'gender issues' of today. Second, I had an effort to research overcome the restricted category of a 'female' artist and the work. At last, I tried to approach and write the 'holistic'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I studied women's history of literature and culture of the 1900-1910 decade. In the early 1900s, intellectual and literary men were almost completely dominated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and women were the subject of 'enlightened' by intellectual men. However, in 1907 and 1908, the contribution of women readers were soaring in the newspaper on the occasion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Simply saying that women began to act as independent rather than just accepting the 'enlightenment' of men by writing in the public domain. Also I looked at a variety of female characters was not limited to the literature figures, for example, politics, economics, feminism, medicine, sports, education, arts and so 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review of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cultural history for the '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to write the 1900~1940s Korean history of literature/culture which was focused on the problem of gender. First, I wanted to research the women's history of literature related to current 'gender issues' of today. Second, I had an ef...

      This research aimed to write the 1900~1940s Korean history of literature/culture which was focused on the problem of gender. First, I wanted to research the women's history of literature related to current 'gender issues' of today. Second, I had an effort to research overcome the restricted category of a 'female' artist and the work. At last, I tried to approach and write the 'holistic'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I studied women's history of literature and culture of the 1900-1910 decade. In the early 1900s, intellectual and literary men were almost completely dominated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and women were the subject of 'enlightened' by intellectual men. However, in 1907 and 1908, the contribution of women readers were soaring in the newspaper on the occasion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Simply saying that women began to act as independent rather than just accepting the 'enlightenment' of men by writing in the public domain. Also I looked at a variety of female characters was not limited to the literature figures, for example, politics, economics, feminism, medicine, sports, education, arts and so 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review of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cultural history for the '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